$\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성부 도시계획서 상의 공원녹지 개념과 현황의 변화 양상
Change in Concepts and Status of Park and Green Space in Urban Planning Documents of Gyeongseong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2, 2019년, pp.117 - 132  

조세호 ((주)싸이트플래닝건축사사무소) ,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도시계획 문헌에 기록된 공원녹지 현황표를 분석하여 근대 공원녹지계획의 의의와 한계를 파악하였다. 1925년부터 1940년의 문서 7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1930년과 1940년의 문헌은 공식적인 경성 공원녹지 계획안을 담고 있다. 경성의 근대 도시계획 흐름에서 공원녹지는 1920년대까지는 중요한 계획의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의 제정을 계기로 1930년대부터 공원계획은 법정 시가지계획의 일부가 되었고, 1940년에 경성시가지계획공원안을 통해 경성의 종합적인 공원녹지계획이 완성된다. 도시계획 초기에 공원은 위생시설로 인식되다가 이후 방공, 여가, 문화적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계획된다. 주요 문헌의 계획 내용을 비교하면 규모와 기능에 따른 공원의 유형 구분, 공간적 배치를 고려한 계획 기준, 시설녹지를 통한 녹지체계의 구상 등의 중요한 계획 내용의 발전이 있었다. 공원녹지계획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공원녹지의 수나 면적의 실질적인 증가는 거의 없었으며, 계획안과 현황 사이에는 심각한 괴리가 나타난다. 1920년대에는 경성운동장이 유일하게 조성된 시설이었으며, 1930년대에도 삼청공원, 앵정공원 두 개소만 신설된다. 1930년의 계획에서 38개소가, 1940년에는 140개소의 계획 공원이 제안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하지만 산림의 공원화, 대한제국 황실 토지의 공원화, 공원 용도의 중복지정, 소규모 아동공원 중심의 실행 등 현실적 조건에서 공원녹지의 양과 질을 향상하려는 대안이 계속해서 탐색되었다. 부족한 예산과 전쟁 준비의 상황으로 인해 일제강점기의 공원녹지계획안은 상당 부분 실현되지 못했지만, 해방 이후 서울의 공원녹지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중요한 틀로서 역할을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modern park planning by analyzing major planning documents of Gyeongs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mong seven selected documents from 1925 to 1940, which show the contents related with park planning, documents of 1930 and 1940 presented the of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30년대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의 특징은 무엇인가? 개념적으로 1920년대 도시계획에서 공원녹지는 도시위생시설로서 인식되었으나, 1930년대 도시계획 문헌에서는 공원녹지의 다양한 필요성과 역할이 제시된다. 1930년대에는 위생시설로서 역할 이외에도 공원의 문화, 여가, 교육적 기능이 함께 언급되며, 특히 전시를 대비한 방공시설로의 기능이 강조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공원녹지계획의 체계에도 발전된 사항들이 나타난다.
1897년에는 한양에 어떤 공원이 생기는가? 1876년 김기수는 수신사일기 에서 일본의 우에노 공원을 소개했으며, 1895년 유길준은 서유견문 에서 센트럴 파크의 기록을 남긴다. 1897년에는 한양에 탑골공원, 독립공원, 왜성대공원이 조성된다. 그러나 공원계획은 개별 공원의 조성과는 다른 방식의 사고와 접근을 요구한다.
19세기 우리에게 처음 소개된 공원의 개념에 대한 기록은 무엇인가? 19세기 서구의 근대 문물이 도입되면서 우리에게도 공원의 개념이 소개된다. 1876년 김기수는 수신사일기 에서 일본의 우에노 공원을 소개했으며, 1895년 유길준은 서유견문 에서 센트럴 파크의 기록을 남긴다. 1897년에는 한양에 탑골공원, 독립공원, 왜성대공원이 조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