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증 담화 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분석을 중심으로
Methodolog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Argumentative Discourse Focused on Analyzing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3년, pp.840 - 862  

맹승호 (강원대학교) ,  박영신 (조선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논증 담화를 분석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들을 제안했던 최근의 주요 선행 연구들을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의 성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이 논증 담화 분석법을 실제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적용하여 그것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대한 선행 연구 중 Toulmin의 논증 틀을 논증 담화 분석에 적용한 연구, 논증의 구조, 내용, 및 정당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모색한 연구, 그리고 논증 담화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과정을 강조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또한, 담화 레지스터와 증거-설명의 연속선에 기반한 대안적 논증 담화 분석 방법으로서 DREEC을 고안하였고, DREEC을 수업 담화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 연구들에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들은 주로 Toulmin의 논증 틀에서 제시한 논증 구성 요소의 유무에 근거하여 논증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논증 담화의 정량적 분석 및 비교는 가능한 반면, 논증의 정당화 과정 및 인식적 실행의 전개 과정에 기반한 논증의 질적 기술 및 비교가 어려웠고, 논증 담화 참여자들의 협력적 논증 구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DREEC은 주제부/설명부 간에 형성된 연결 관계와 자료, 증거, 패턴, 및 설명에 이르는 연결 관계를 통해 논증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흐름에 기반하여 논증의 정당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ndertook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on previous research that had proposed alternative methods for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in science classes in terms of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The study also proposed a new way of analyzing ar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료의 주장을 논박하는 과학적 논증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과정을 구현하려면, 학생들이 과학 수업 상황에서 증거와 규칙, 이론을 종합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주장을 동료에게 설득하거나, 동료의 주장을 논박하는 과학적 논증활동(scientific argumentation)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게 제기된다. 왜냐하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증거를 제시하여 과학 현상에 대한 자신의 설명을 주장하는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이 그 설명에 필요한 이유와 경험적 증거로서 어떤 것이 타당한지를 이해하는 과학탐구의 인식론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과학적 논증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과학 지식을 사회적으로 재구성하는 기회를 얻게 되어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개념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과학 수업의 과학 탐구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가? 교실 또는 실험실의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사회적 실천을 통해 과학 학습 공동체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과학 지식을 구성하는 경험을 수행하게 된다(Kelly, 2008; Kelly & Green, 1998; Kelly, Regev & Prothero, 2008). 따라서 과학 수업의 과학 탐구는 관찰이나 측정, 분류, 실험 등과 같이 학생들이 직접 수행하는 활동(hands-on activities)뿐만 아니라, 그 활동을 통해 얻은 자료를 근거로 자연 현상의 발생과정 및 그것의 원리를 설명하고 논의하는 과학적 의사소통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김희경, 송진웅, 2004; 박영신, 2006; Duschl, 2008; Erduran & Jime'nez-Aleixandre, 2008; Jime'nez-Aleixandre, Rodriguez, & Duschl, 2000). 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과정을 구현하려면, 학생들이 과학 수업 상황에서 증거와 규칙, 이론을 종합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주장을 동료에게 설득하거나, 동료의 주장을 논박하는 과학적 논증활동(scientific argumentation)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게 제기된다.
과학수업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선 무엇이 중요하게 제기되는가? 따라서 과학 수업의 과학 탐구는 관찰이나 측정, 분류, 실험 등과 같이 학생들이 직접 수행하는 활동(hands-on activities)뿐만 아니라, 그 활동을 통해 얻은 자료를 근거로 자연 현상의 발생과정 및 그것의 원리를 설명하고 논의하는 과학적 의사소통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김희경, 송진웅, 2004; 박영신, 2006; Duschl, 2008; Erduran & Jime'nez-Aleixandre, 2008; Jime'nez-Aleixandre, Rodriguez, & Duschl, 2000). 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과정을 구현하려면, 학생들이 과학 수업 상황에서 증거와 규칙, 이론을 종합하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주장을 동료에게 설득하거나, 동료의 주장을 논박하는 과학적 논증활동(scientific argumentation)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게 제기된다. 왜냐하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증거를 제시하여 과학 현상에 대한 자신의 설명을 주장하는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이 그 설명에 필요한 이유와 경험적 증거로서 어떤 것이 타당한지를 이해하는 과학탐구의 인식론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순민, 곽경화, 남정희 (2006). 논의과정을 강조한 교수.학습전략이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과학개념 이해, 과학관련 태도 및 논의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50-461. 

  2.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24(6), 1216-1234. 

  3.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Hand, B.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922-936. 

  4. 맹승호, 신명환, 차현정, 함석진, 신현정, 김찬종(2010).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스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785-797. 

  5. 박영신 (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401-415. 

  6.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 (2009).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7. 이선경,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 (2005). 비형식적 과학 학습 자료의 시나리오 및 논증 구조: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룡관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849-866. 

  8. 이은경, 강성주 (2008).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분석을 통한 문제 해결형 탐구 모듈에서의 SWH 활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0-138. 

  9.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832-847. 

  10. 이주연, 이정아, 김찬종 (2010). 자연사 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도슨트의 담화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15-835. 

  11. 차현정, 김찬종, 맹승호 (2011). 장르와 레지스터 분석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32(1), 84-98. 

  12. 최문영, 맹승호, 박은지, 정원영, 김찬종 (2012). 관람대화의 흐름과 상호작용의 양상에 기반한 자연사 전시관의 전시물과 관람객 간 상호작용적 학습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51-1268. 

  13. Achieve, In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chieve Inc. On behalf of the twenty-six states and partners that collaborated on the NGSS. 

  14. Baker, M. (2003). Computer-mediated argumentative interactions for the co-ellaboration of scientific notions. In J. Andriessen, M. Baker, & D. Suthers (Eds.), Arguing to learn: Confronting cognition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pp. 47-78).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 Berland, L. K., & Reiser, B. J. (2011). Classroom communities'adaptations of the practice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5, 191-216. 

  16. Brown, N. J. S., Furtak, E. M., Timms, M., Nagashima, S. O., & Wilson, M. (2010). The evidence-based reasoning framework: Assessing scientific reasoning. Educational Assessment, 15(3-4), 123-141. 

  17. Christie, F. (2002).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A functional perspective. New York, NY: Continuum. 

  18. Clark, D. B., & Sampson, V. (2008). Assessing dialogic argumentation in online environments to relate structure, grounds, and conceptual qua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 293-321. 

  19. Clark, D. B., Sampson, V., Weinberger, A., & Erkens, G. (2007). Analytic frameworks for assessing dialogic argumenta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9(3), 343-374. 

  20.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21. Duschl, R. A. (2003a). Assessment of inquiry. In J. M. Atkin & J. Coffey (Eds.), Everyday assess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pp. 41-59). Arlingon, VA: NSTA Press. 

  22. Duschl, R. A. (2003b). The assessment of argumentation and explanation: Creating and supporting teachers'feedback strategies.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139-161).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Duschl, R. A. (2008). Quality argumentation and epistemic criteria. In S. Erduran & M.P. Jime'nez-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159-175).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24. Duschl, R. A.,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25.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London, UK: Continuum. 

  26. Erduran, S., & Jime'nez-Aleixandre, M. P.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27. Erduran, S., Simon, S., & Osborne, J. (2004). TAPping into argumentation: De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Toulmin's Argument Pattern for studying science discourse.Science Education, 88, 915-933. 

  28. Ford, M. J., & Wargo, B. M. (2012). Dialogic framing of scientific content for conceptual and epistemic understanding. Science Education, 96(3), 369-391. 

  29. Furtak, E. M., Hardy, I., Beinbrech, C., Shavelson, R. J., & Shemwell, J. T. (2010). A framework for analyzing evidence-based reasoning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Educational Assessment, 15(3-4), 175-196. 

  30. Halliday, M. A. K. (2004). The language of science. London, UK: Continuum. 

  31. Halliday, M. A. K., & Mathiessen, C. M. I. 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London, UK: Amold. 

  32. Jime'nez-Aleixandre, M. P., Rodriguez, A. B.,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 757-792. 

  33. Kelly, G. J. (2008). Inquiry, Activity, and Epistemic Practice. In R. Duschl & R. Grandy (Eds.)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pp. 99-117). Rotterdam: Sense Publishers. 

  34. Kelly, G. J., & Chen, C. (1999). The sound of music: Constructing science as sociocultural practices through oral and written discour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883-915. 

  35. Kelly, G. J., & Green, J. (1998). The social nature of knowing: Toward a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conceptual change and knowledge construction. In B. Guzzetti & C. Hynd (Eds.), Perspectives on conceptual change: Multiple ways to understand knowing and learning in a complex world. (pp. 145-18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Kelly, G. J., & Takao, A. (2002). Epistemic levels in argument: An analysis of university oceanography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ing. , 86, 314-342. 

  37. Kelly, G. J., Druker, S., & Chen, C. (1998). Students' reasoning about electricity: Combining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argumentatio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849-871. 

  38. Kelly, G. J., Regev, J., & Prothero, W. (2008). Analysis of lines of reasoning in written argumentation. In S. Erduran & M.P. Jime'nez-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137-157).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39. Kim, H., & Song, J. (2006). The features of peer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scientific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3), 211-233. 

  40. Maeng, S., & Kim, C-J. (2011). Variations in science teaching modalities and students'pedagogic subject positioning through the discourse register and language code. Science Education, 95(3), 431-457. 

  4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R. A. Duschl, H. A. Schweingruber, & A. W. Shouse (E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National Academy Press. 

  44. Nussbaum, E. M., Sinatra, G. M., & Owens, M. C. (2012). The two face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Applications to global climate change. In M. S. Khine (Ed.), Perspectives on scientific argumentation: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pp. 17-37). Dordrecht, The Netherlands:Springer. 

  4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994-1020. 

  46. Resnick, L. B., Saljo, R., Pontecorvo, C., & Burge, B. (1997). Discourse, tools, and reasoning: Essays on situated cognition. Berlin, Germany: Springer-Verlag. 

  47. Sampson, V., & Clark, D. B. (2008). Assessment of the ways students generate arguments in science education:Current perspectiv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irection. Science Education, 92, 447-472. 

  48. Schleppegrell, M. J. (2004).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9.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New York,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van Eemeren, F. H., & Grootendorst, R. (2004). A systematic theory of argumentation: The pragma-dialectical approach.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Zeidler, D.L., Sadler, T.D., Applebaum, S. & Callahan, B.E. (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