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Clinical Nurse's Burnout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55 - 61  

최경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한상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health related to task by examining whether nurses' burnout is related with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in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20 nurses who 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에서 소진의 영향요인으로 파악된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소진과의 관계와 설명력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소진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간호업무의 질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간호사가 이런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부응하지 못할 때 스트레스와 함께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Maslach는 소진이란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는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그리고 성취도가 낮아진 상태(Maslach, Schaufeli,&Leiter, 2001)라고 했으며, 또한 소진은 스트레스를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의 한 형태로 대인적인 접촉이 잦을 수밖에 없는 업무 중에서 업무 담당자가 장시간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됨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적 경험(Kim, 2004)이다. 소진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타인과 조직에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하기 위한 빠른 대처는 조직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각기 다른 환경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을 위한 반복연구와 간호사의 소진경감을 위한 모색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여러선행연구(Kim, 2009;Jeong, Lee,&Song, 2006)와비슷한결과이나 대학 부속병원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측정한 Byun과 Yum (2009)의 연구와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측정한 Kwon과 Lee(2012)에서는 중간 미만의 소진을 보여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간호사의 소진을 연구 한선행연구에서 소진의 정도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간호사들이 인간의 생명을 다루며, 잦은 교대 근무를 경험하며, 각기 다른 병원 환경에서 다른 정서와 상황에 처하는 것에 기인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각기 다른 환경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을 위한 반복연구와 간호사의 소진경감을 위한 중재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사가 스트레스와 소진을 함께 경험하게 되면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는가? 소진의 영향요인으로 많이 알려진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지만 이는 어느 정도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되고 인간 생존을 위하여 필수적이며 계획된 변화, 개인적 성장, 생산성 증가를 가져오게 되지만, 직업에 대한 기대와 현실과의 갈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간호사를 소진상태에 빠지게 한다고 하였다(Jung & Jang, 2010). 특히,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도와야 하는 간호사의 경우 스트레스와 함께 소진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 업무에 불만족과 함께 부정적인 자아개념 및 태도 형성은 물론 직무만족, 조직몰입, 사기, 능률, 업무수행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저해하며 결과적으로 환자 간호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병원조직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저해한다(Ko Yo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atty, B. W., & Schinier, C. E. (1981). Personal Administration : An Experimental skill-Building Approach. New York : Addision Wesley. 

  2. Bong, Y. S., So, H. S., & You, H.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425-433. 

  3. Byun, D. S., & Yum, Y. H.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444-454. 

  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5. Cho, C. H., & Kim, M. S. (2010). An Effect of Nurses' Job Stress and Job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Large-sized Hospital in Daegu. Gyeongbuk Area.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0(3), 366-380. 

  6. Demerouti, E., & Nachreiner, F. (1999). Burnout as on outcome of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specific short-term consequences of strain. Paper presented at the Fifth European Conference on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Health Care, Ghent, Belgium.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chem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8. Jeong, S. I., Lee, E. N., & Song, Y. S. (2006). The Main & Buffer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Burnout of Insurance Review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2(3), 482-490. 

  9. Jung, Y. S. (2000).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0. Jung, Y. M., & Jang, H. K. (2010). Research on Job Stress of Hospital Workers in Busa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5), 241-251. 

  11. Kim, I. S. (2009).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4), 515-526. 

  12. Kim, S. L., Shon, I. S., Lee, H. J., & Han, S. S. (2000). A Study of the Degree of Duty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urses's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6(1), 5-18. 

  13. Kim, M. Y.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ain and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14. Kim, W. O., Moon, S. J., & Han, S. S. (2010). Contingent Nurses' Burnout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882-891. 

  15. Ko, J. W., & Yom, Y. H. (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3(2), 265-274. 

  16. Ko, Y. K., & Kang, K.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2(2), 276-286. 

  17. Kwon, K. J., & Lee, S. H. (2012).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4), 383-393. 

  18.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7-1349). Chicago: Rand-McNally. 

  19.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20. Pa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77. 

  21. Peeters, M. C. W., Buunk, B. P., & Schaufeli, W. B. (1995). Social interactions, stressful events and negative affect at work: A micro-analytic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5, 391-401. 

  22. Schuler, R. S. (1980). Definition conceptualizations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23.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4. Slavitt, D. B., Stamps, P. L., Piedmont, E. B., & Hasse, A. M.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2), 114-120. 

  25. Suh. Y. O. (1995). Structural model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life women. Unpublished docto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