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경호경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경호경비원들의 경계근무와 CCTV 모니터링 요원들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비교 평가하기 위해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를 통하여 생체리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실제 근무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계근무와 CCTV 모니터링근무를 150분간 실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자율신경검사를 관찰한 결과 HRT는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 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안정시, 근무 30분과 60분보다 90분, 120분, 150분은 낮게 나타났다. SDNN은 모니터링 근무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 30분과 60분 보다 근무 150분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자율신경검사에서는 TP는 근무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무 30분 보다 근무 150분에 더 높은 시기적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 LF는 근무 60분 보다 근무 150분에 높은 시기간의 차이를 보였다. HF는 모니터링 근무 집단에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 30분 보다 근무 120분과 150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LF/HF ratio는 경계근무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기 간에 차이와 함께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보다 부교감신경활동이 더 활발함에 따라 더 낮은 심기능 활동을 보였다. 매일 반복되는 장기간의 모니터링 근무는 VDT증후군이나 신경피로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경호경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경호경비원들의 경계근무와 CCTV 모니터링 요원들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비교 평가하기 위해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를 통하여 생체리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실제 근무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계근무와 CCTV 모니터링근무를 150분간 실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자율신경검사를 관찰한 결과 HRT는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 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안정시, 근무 30분과 60분보다 90분, 120분, 150분은 낮게 나타났다. SDNN은 모니터링 근무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 30분과 60분 보다 근무 150분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자율신경검사에서는 TP는 근무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무 30분 보다 근무 150분에 더 높은 시기적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 LF는 근무 60분 보다 근무 150분에 높은 시기간의 차이를 보였다. HF는 모니터링 근무 집단에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 30분 보다 근무 120분과 150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LF/HF ratio는 경계근무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기 간에 차이와 함께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보다 부교감신경활동이 더 활발함에 따라 더 낮은 심기능 활동을 보였다. 매일 반복되는 장기간의 모니터링 근무는 VDT증후군이나 신경피로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changes in biorhythm are observed by measuring heart rate variabilities in order to verify, compare, and evaluate stresses in guard duties of guards and CCTV monitoring works of staffs serviced in practical guard sites. Guard duties and CCTV monitoring works similar to a practical situ...
In this study changes in biorhythm are observed by measuring heart rate variabilities in order to verify, compare, and evaluate stresses in guard duties of guards and CCTV monitoring works of staffs serviced in practical guard sites. Guard duties and CCTV monitoring works similar to a practical situation are implemented for nin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urity at K University over 150 minutes. In the results of observing heart rate variabilities and autonomic function tests for six times with an interval of 30 minutes,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CCTV monitoring works represents lower levels than that of guard duties. Also, in a stable condition the guard duties for 30 and 60 minutes exhibit lower levels than that of 90, 120, and 150 minutes. Regarding SDNN, CCTV monitoring works show higher levels that guard duties and the guard duties for 30 and 60 minutes represent lower levels than that of 150 minutes. In autonomic function test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P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uard duties and CCTV monitoring works. Also, the guard duties for 150 minutes represent more differences in TP compared to that of 30 minut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uty type and the duty duration is presented. In the case of LF, guard duties for 150 minutes show large differences in duty duration compared to that of 60 minutes. In the case of HF, the CCTV monitoring work group shows higher levels than the guard duty group in which the guard duties for 120 and 150 minutes represent higher levels than that of 30 minut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uty type and the duty duration is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LF/HF ratio, the guard duty group exhibits higher levels than the CCTV monitoring group. Also,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duty type and the duty duration including the difference in durations. The CCTV monitoring works represent lower heart function activities than the guard duties according to increases in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ies. It shows that the long-term CCTV monitoring duty repeated everyday shows a high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exposures of VDT syndrome and nervous breakdown.
In this study changes in biorhythm are observed by measuring heart rate variabilities in order to verify, compare, and evaluate stresses in guard duties of guards and CCTV monitoring works of staffs serviced in practical guard sites. Guard duties and CCTV monitoring works similar to a practical situation are implemented for nin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urity at K University over 150 minutes. In the results of observing heart rate variabilities and autonomic function tests for six times with an interval of 30 minutes,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CCTV monitoring works represents lower levels than that of guard duties. Also, in a stable condition the guard duties for 30 and 60 minutes exhibit lower levels than that of 90, 120, and 150 minutes. Regarding SDNN, CCTV monitoring works show higher levels that guard duties and the guard duties for 30 and 60 minutes represent lower levels than that of 150 minutes. In autonomic function test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P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uard duties and CCTV monitoring works. Also, the guard duties for 150 minutes represent more differences in TP compared to that of 30 minut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uty type and the duty duration is presented. In the case of LF, guard duties for 150 minutes show large differences in duty duration compared to that of 60 minutes. In the case of HF, the CCTV monitoring work group shows higher levels than the guard duty group in which the guard duties for 120 and 150 minutes represent higher levels than that of 30 minut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uty type and the duty duration is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LF/HF ratio, the guard duty group exhibits higher levels than the CCTV monitoring group. Also,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duty type and the duty duration including the difference in durations. The CCTV monitoring works represent lower heart function activities than the guard duties according to increases in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ies. It shows that the long-term CCTV monitoring duty repeated everyday shows a high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exposures of VDT syndrome and nervous breakdow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장소에 서서 장시간 같은 행동을 반복해야하는 경계근무의 경호 ․ 경비원들과 장시간 모니터링 근무로 인해 VDT증후군에 우려가 있는 모니터링 요원을 근무가 시간을 지속함에 있어 인체에 미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밸런스를 검사하였다. 경계근무와 CCTV 모니터링 근무지속시간에 따라 심박동변이와 자율신경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 인체의 안정피로와 생리적 변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계근무와 CCTV모니터링 근무의 시간을 설정에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장소에 서서 장시간 같은 행동을 반복해야하는 경계근무의 경호 ․ 경비원들과 장시간 모니터링 근무로 인해 VDT증후군에 우려가 있는 모니터링 요원을 근무가 시간을 지속함에 있어 인체에 미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밸런스를 검사하였다. 경계근무와 CCTV 모니터링 근무지속시간에 따라 심박동변이와 자율신경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 인체의 안정피로와 생리적 변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계근무와 CCTV모니터링 근무의 시간을 설정에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자세로 서서 장시간 경계근무를 실시해야하는 경호 ․ 경비원들과 같은 장소에서 장시간 CCTV 모니터 앞에서 근무해야 하는 모니터링 요원을, 근무가 시간을 지속함에 있어 인체에 미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심박동 변이와 자율신경계의 밸런스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심기능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HRT는 모니터링 근무자가 경계근무자 보다 더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호경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경호경비원들의 경계근무자와 CCTV 모니터링 근무자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밸런스를 검사하였다.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150분간 근무를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1차 실험에서는 경계근무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피험자가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편안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하고, 경계근무연구에 대한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HRV(Heart rate variability) 검사를 위해 안전교육을 마치고 동의서를 구한다음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고, Biospace사의 InBody720을 이용하여, 체구성비를 측정 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경계근무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피험자가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편안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하고, 경계근무연구에 대한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HRV(Heart rate variability) 검사를 위해 안전교육을 마치고 동의서를 구한다음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고, Biospace사의 InBody720을 이용하여, 체구성비를 측정 하였다. 피험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1명씩 안정시 HRV검사를 시작한 후 5분의 검사가 끝난 후 바로 경계근무를 시작하였다.
각 피험자가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편안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하고, 경계근무연구에 대한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HRV(Heart rate variability) 검사를 위해 안전교육을 마치고 동의서를 구한다음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고, Biospace사의 InBody720을 이용하여, 체구성비를 측정 하였다. 피험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1명씩 안정시 HRV검사를 시작한 후 5분의 검사가 끝난 후 바로 경계근무를 시작하였다. 이후 30분마다 HRV검사를 통하여 150분까지 HRV리듬 변화를 관찰하였다.
피험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1명씩 안정시 HRV검사를 시작한 후 5분의 검사가 끝난 후 바로 경계근무를 시작하였다. 이후 30분마다 HRV검사를 통하여 150분까지 HRV리듬 변화를 관찰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CCTV모니터링 근무를 실시하였다.
이후 30분마다 HRV검사를 통하여 150분까지 HRV리듬 변화를 관찰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CCTV모니터링 근무를 실시하였다. 각 피험자가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편안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하고, CCTV모니터링 근무 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CCTV모니터링 근무를 실시하였다. 각 피험자가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편안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하고, CCTV모니터링 근무 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모니터 앞에 앉은 자세에서 1명씩 안정시 HRV검사를 시작하였으며, 검사가 끝난 후 바로 CCTV모니터링근무를 실시하였다.
각 피험자가 실험실에 도착하게 되면 편안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하고, CCTV모니터링 근무 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모니터 앞에 앉은 자세에서 1명씩 안정시 HRV검사를 시작하였으며, 검사가 끝난 후 바로 CCTV모니터링근무를 실시하였다. CCTV 검사도중 일어나지 않도록 HRV검사장비를 이동하며 검사하였다.
모니터 앞에 앉은 자세에서 1명씩 안정시 HRV검사를 시작하였으며, 검사가 끝난 후 바로 CCTV모니터링근무를 실시하였다. CCTV 검사도중 일어나지 않도록 HRV검사장비를 이동하며 검사하였다. 안정시 검사 이후 30분마다 검사 하여 총 6차례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CCTV 검사도중 일어나지 않도록 HRV검사장비를 이동하며 검사하였다. 안정시 검사 이후 30분마다 검사 하여 총 6차례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제 현장에 실시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피험자의 발밑에 지름 1m정도의 둥근 원을 그려서 움직임을 통제하였으며, 자세는 열중쉬어 자세를 기본으로 하도록 하였고, 타인과의 대화나 잡담을 할 수 없도록 피험자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실제 현장에 실시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경호 실습실에서 현관을 비추는 CCTV를 보도록 하였으며, 현관에 출입하는 학생들을 시간에 맞추어 숫자와 성별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근무가 끝날 때 까지 일어나지 않도록 통제하였으며, 타인과의 대화나 잡담을 할 수 없도록 피험자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실제 현장에 실시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경호 실습실에서 현관을 비추는 CCTV를 보도록 하였으며, 현관에 출입하는 학생들을 시간에 맞추어 숫자와 성별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근무가 끝날 때 까지 일어나지 않도록 통제하였으며, 타인과의 대화나 잡담을 할 수 없도록 피험자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150분간 근무를 실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HRV검사를 통하여 생체리듬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실제 경호경비현장의 경험이 있는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신체적 특성은 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경호경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경호경비원들의 경계근무자와 CCTV 모니터링 근무자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밸런스를 검사하였다.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150분간 근무를 실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HRV검사를 통하여 생체리듬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데이터처리
경계근무의 시간에 따른 HRV리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경계근무와 CCTV모니터링근무의 시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법인 Two-way (2RG × 6RM)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비교는 Bonferroni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 하였다.
성능/효과
자율신경계의 전체적인 활성정도를 반영하는 TP는 경계근무와 모니터링 근무의 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무 30분 보다 근무 150분에 더 높은 시기적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
CCTV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보다 부교감신경활동이 더 활발함에 따라 더 낮은 심기능 활동을 보였다. 매일 반복되는 장기간의 모니터링 근무는 VDT증후군이나 신경피로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니터링 근무집단의 HRT가 낮게 나타났다(F=13.495, p=.002). 시기에 따른 차이는 안정시, 근무 30분, 근무 60분에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F=11.
28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니터링근무 집단의 SDNN가 높게 나타났다(F=5.931, p=.024). 시기에 따른 차이는 근무 30분과 60분이 근무 120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3.
53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계근무와 모니터링근무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F=3.046, p=.096). 시기에 따른 차이는 근무 30분 보다 120분이 높게 나타났다(F=3.
85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계근무와 모니터링근무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F=.242, p=.628), 시기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F=1.491, p=.200). 하지만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F=3.
72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계근무와 모니터링근무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F=4.332, p=.050), 시기에 따른 차이는 근무 60분이 근무 120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3.351, p=.008).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에 따른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F=1.
98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니터링근무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F=18.272, p=.000), 시기에 따른 차이는 근무 30분이 근무 90분과 120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3.805, p=.003). 근무 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F=4.
40bpm를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계근무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F=22.389, p=.000), 시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다(F=2.907, p=.017).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F=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자세로 서서 장시간 경계근무를 실시해야하는 경호 ․ 경비원들과 같은 장소에서 장시간 CCTV 모니터 앞에서 근무해야 하는 모니터링 요원을, 근무가 시간을 지속함에 있어 인체에 미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심박동 변이와 자율신경계의 밸런스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심기능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HRT는 모니터링 근무자가 경계근무자 보다 더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서서 근무하는 것 보다 같은 자세로 앉아 있는 모니터링 근무자의 심기능 활성도가 더 낮은 것을알 수 있었다.
또한 근무시간 90분이 지나면서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스트레스의 저항도를 나타내는 SDNN은 모니터링 근무자가 더 높고, 시기에 따른 차이는 120분 근무 보다 30분과 60분이 더 낮아 근무 초기에 스트레스의 저항도가 더 높은 것을알 수 있었다.
자율신경 검사에서 자율신경활성도를 나타내는 TP는 경계근무형태와 모니터링근무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근무 30분 보다 150분이더 높은 자율신경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자율신경 검사에서 자율신경활성도를 나타내는 TP는 경계근무형태와 모니터링근무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근무 30분 보다 150분이더 높은 자율신경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이는 근무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심기능 활성도가 낮아져, 자율신경의 활성을 높여 신체리듬을 유지하려고 한 것으로 생각된다.
교감신경을 나타내는 LF는 근무시간 60분보다 150분에 더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반면, 부교감신경을 나타내는 HF는 모니터링근무형태가 더 높은 활성도를 내어 신체리듬과 활성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HRT도 모니터링 근무형태가 더 낮은 활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HRT도 모니터링 근무형태가 더 낮은 활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HF는 120분과 150분에 근무 30분 보다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근무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신체리듬과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와 시기에 대하여서도 상호작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와 시기에 대하여서도 상호작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비율을 나타내는 LF/HF ratio는 교감신경에 비례하고 부교감신경에 반비례하는데, 경계근무 형태가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교감신경의 비율이 높았다.
모니터링 근무는 교감신경 비율이 낮게 나타나 부교감신경의 활성에 더 많은 지배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 더 높아졌으며, 근무형태와 시기 간에도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CTV 모니터링 근무는 같은 자리에서 서서 근무하는 경계근무 보다 더 낮은 심기능 활성도를 보였고, 이는 부교감신경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며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극심한 탈수 증상을 느끼는 중년남성 직장인에서 안정시 부교감신경 기능이 저하되어도 교감/부교감 신경 평형에는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주장처럼 신체리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교감신경의 활성도는 부교감신경의 활성도의 비율보다 분명히 낮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가 늘어나 그 만큼의 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늘림으로써 전체적인 자율신경활성도는 낮아지지 않았으며, 자율신경 활성도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차이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만약 자율신경의 평형을 유지 할 수 없는 상태라면 부교감신경 기능의 감소와는 반대로 교감신경 기능은 항진될 수도 있을 것이다.
Steinhart(1991)은 극심한 피로가 심혈관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기보다는 다른 위험 인자들과 서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 좀 더 설득력이 있지만, 심박동변이가 감소하게 되면 허혈성 심질환, 부정맥 등의 발현이 증가 되어, 이와 관련된 심혈관 사망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고 한다. 모니터링 근무자들이 서서 근무하는 경계근무자들 보다 HRT가 낮고, SDNN은 높았으며, HF는 높았다. 그리고 LF/HF ratio도 낮아, 오랜 시간의 근무가 장기간 지속된다면, 심박동변이가 감소되어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는 모니터 요원의 관제와 함께 범죄 의심상황이나 특정 행동을 자동으로 인식해 줌으로써 돌발 상황을 인공 지능적으로 감지해 주는 기술들의 개발과 그에 따른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비상 교대근무자를 두어 개인 사정으로 인한 업무의 공백이나, 비상상황 대비, 휴식 등을 위한 대기근무자가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업무시작과 끝, 혹은 업무 교대시간에 각성효과와 신체적 근관절의 이완작용을 위한 체조와 스트레칭 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1. 심기능활성도를 나타내는 HRT는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 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안정시, 근무 30분과 60분보다 90분, 120분, 150분이 낮게 나타났다.
2. 스트레스의 저항도를 나타내는 SDNN은 모니터링 근무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 30분과 60분 보다 근무 150분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3. 자율신경계의 전체적인 활성정도를 반영하는 TP는 경계근무와 모니터링 근무의 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무 30분 보다 근무 150분에 더 높은 시기적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났다.
4. 교감신경활성도를 나타내는 LF는 근무 60분보다 근무 150분에 높은 시기간의 차이를 보였다.
5. 부교감신경 정보인 HF는 모니터링 근무 집단에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 30분보다 근무 120분과 150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6.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도를 나타내는 LF/HF ratio는 경계근무 집단이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기 간에 차이와 함께 근무형태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CCTV 모니터링 근무가 경계근무보다 부교감신경활동이 더 활발함에 따라 더 낮은 심기능 활동을 보였다. 매일 반복되는 장기간의 모니터링 근무는 VDT증후군이나 신경피로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둘째는 모니터 요원의 자질과 관리 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모니터링 요원의 교육 및 인정제도의 도입이 요구 된다. 셋째는 모니터 요원의 관제와 함께 범죄 의심상황이나 특정 행동을 자동으로 인식해 줌으로써 돌발 상황을 인공 지능적으로 감지해 주는 기술들의 개발과 그에 따른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비상 교대근무자를 두어 개인 사정으로 인한 업무의 공백이나, 비상상황 대비, 휴식 등을 위한 대기근무자가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비상 교대근무자를 두어 개인 사정으로 인한 업무의 공백이나, 비상상황 대비, 휴식 등을 위한 대기근무자가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업무시작과 끝, 혹은 업무 교대시간에 각성효과와 신체적 근관절의 이완작용을 위한 체조와 스트레칭 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업무자 스스로가 근무긴장도를 낮추고, 잦은 스트레칭이나, 각성효과가 있는 특정 동작들을 자주 실시하여, 장기간의 지속근무로 인한 VDT증후군을 예방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업무시작과 끝, 혹은 업무 교대시간에 각성효과와 신체적 근관절의 이완작용을 위한 체조와 스트레칭 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업무자 스스로가 근무긴장도를 낮추고, 잦은 스트레칭이나, 각성효과가 있는 특정 동작들을 자주 실시하여, 장기간의 지속근무로 인한 VDT증후군을 예방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CTV가 범행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 잠재적 범죄자의 범행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CCTV는 통합관제시스템이나 합동관제시스템의 모니터 요원을 통한 실시간 현행범 검거에 도움을 주거나, 강력범죄 수사의 지원뿐만 아니라,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심리적 긴장과 부담감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범행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 잠재적 범죄자의 범행을 억제하는 기능(박현호, 2005)이 있으며, 또한 주민들에게 범죄로 부터의 불안감을 50%에서 41%로 낮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CCTV 통합관제시스템은 무엇인가?
CCTV 통합관제시스템이란 자치단체가 행정구역 내에 설치한 범죄예방 ․ 재난안전 ․ 주정차 단속 등 옥내 ․ 외 CCTV를 한 장소에서 모니터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관제․ 관리 ․ 기능을 하나로 통합 운영하고 경찰관과 자치단체 담당자, 모니터요원이 협업 하여 관리하는 체계를 말한다(오경석. 2012).
자율신경은 어떤 상황에서 작용하는가?
자율신경은 해부학적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하는데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는 상호 통합 작용을 하기도 하고 서로 반대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흥분하거나 응급상황 또는 위급한 상황 시 작용한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면 심장박동수가 빨라지고 호흡이 증가하며, 동공이 확대되는 반응을 보이며, 신체의 항상성 유지 및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을 받으면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여러 신체반응을 일으킨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