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골밀도 영향요인
Lifestyl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mong Employees in a Communit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2, 2013년, pp.236 - 244  

백경신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ifestyle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mong employees in a commun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employees. Their lifestyles and BMIs were measured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s for their BMDs, their calc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과 골밀도를 알아보고 골밀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골밀도 정도를 알아보고 정상 골밀도와 골감소증을 구분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골밀도를 알아보고 골밀도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경제 활동 인구에 해당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골밀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격 대사의 변화로 인한 대표적인 대사성 골질환으로 낮은 골 질량과 골조직의 미세 구조의 퇴행으로 인해 골격이 약해져서 약간의 외부 충격이나 충격이 없어도 척추, 요골 및 대퇴부 등에서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낸다(Sambrook & Cooper, 2006).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크게 무엇이 있는가? 골밀도는 유전적인 요인과 식이요인 및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2012). 유전적인 요인으로는 골다공증은 약 46~80% 정도의 강한 유전적 성향을 가지며(Korean Society for Bone & Mineral Research, 2008), 백인이나 동양인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2007).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인 요인과 식이요인 및 환경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골밀도는 유전적인 요인과 식이요인 및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2012). 유전적인 요인으로는 골다공증은 약 46~80% 정도의 강한 유전적 성향을 가지며(Korean Society for Bone & Mineral Research, 2008), 백인이나 동양인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2007). 연령이 증가하면서 골밀도가 감소하여 여성의 경우 35~40세부터, 남성의 경우 40~45세부터 골 량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2012). 식이요인으로는 부적절한 칼슘섭취와 비타민 D 결핍, 과다한 동물성 단백질과 나트륨 섭취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Munger, Cerhan, & Chiu, 1999)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알코올과 카페인의 과다 섭취(Lim, 2004), 운동 부족(Chang et al., 2006; Lee, 2012; Sharkey, Williams, & Guerin, 2000), 흡연(Bakhireva, Barrett-Connor, Kritz- Silverstein, & Morton, 2004; Chang et al., 2006) 등의 생활습관과 영양소 섭취와 신체 활동의 상호작용 결과로 형성된 개인의 신장과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과 같은 신체조성 수준(Lee, Lee, & Kim, 2011)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hireva, L. N., Barrett-Connor, E., Kritz-Silverstein, D., & Morton, D. J. (2004). Modifiable predictors of bone loss in older 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6 (5), 436-442. http://dx.doi.org/10.1016/j.amepre.2004.02.013. 

  2. Bassey, E. J., Rothwell, M. C., Littlewood, J. J., & Pye, D. W. (1998).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have different bone mineral density responses to the same high impact exercise. Journal of Bone & Mineral Research, 13 (12), 1805-1813. http://dx.doi.org/10.1002/jbmr.v13:12/issuetoc 

  3. Chang, Y. K., Seo, H. J., Jin, Y. W., Joeng, M. S., Sung, S. H., Park, D. Y., et al. (2006).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40-59 year-old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8 (2), 130-137. 

  4. Douchi, T., Yamamoto, S., Kuwahata, R., Oki, T., Yamasaki, H., & Nagata, Y. (2000). Effect of non-weight-bearing body fat on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menopause. Obstetrics & Gynecology, 96 (1), 13-17. 

  5. Fehily, A. M., Coles, R. J., Evans, W. D., & Elwood, P. C. (1992). Factors affecting bone density in young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6 (3), 579-586. 

  6. Fries, J. F. (1996).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Possibil ities, the role of exercise and limitations. Scandinavian Journal of Rheumatology, 25 (s103), 6-10. http://dx.doi.org/10. 3109/03009749609103736 

  7. Jung, S. H. (2009). Dietary intak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adults Korea affect the bone den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Jung, Y. R. (2006).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s intake status and blood Cd, Pb levels and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Korean non-smoking and smoking mal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9. Kang, H. Y. (2009).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 mineral density (BMD)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6 (3), 325-332. 

  10. Kang, Y. H. (2012). A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MD(bone mineral density), knowledge of BMD and lifestyle and eating habits of the women who 20-30s: Mainly with the subjects on health check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1. Kanis, J. A., Melton, L. J., Christiansen, C., Johnston, C. C., & Khaltaev, N. (1994).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ournal of Bone & Mineral Research, 9 (8), 1137-1140. http://dx. doi.org/10.1002/jbmr.5650090802 

  12. Kannus, P., Parkkari, J., Niemi, S., Pasanen, M., Palvanen, M., Jaarvinen, M., et al. (2000). Prevention of hip fracture in elderly people with use of a hip protecto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 (21), 1506-1513. http://dx.doi.org/ 10.1056/NEJM200011233432101 

  13. Kim, S. C., & Kwon, D. M. (2005). The relation between a practical life and a bone mineral density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28 (3), 235-239. 

  14. Korean Society for Bone & Mineral Research. (2008).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 treatment of osteoporosis. Seoul: Author. 

  15. Lee, J. H., Lee, B. K., & Kim, Y.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life 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24 (4), 786-796. 

  16. Lee, J. K., Kim, E. J., Suk, M. H., Kim, E. Y., & Hwang, L. I. (2003).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 (2), 253-262. 

  17. Lee, J. W. (2007). The relationship of bone density and eating habit, nutritional intake in th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8. Lee, S. H. (2012).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dietary intake and health-related behavior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19. Lim, H. J. (2004).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Nutrition, 33 (2), 339-348.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Seoul: Author.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Seoul: Author. 

  22. Munger, R. G., Cerhan, J. R., & Chiu, B. C. (1999).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protein intake and risk of hip fractur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9 (1), 147-152. 

  23. Myong, J. P., Kim, H. R., Choi, W. S., Jo, S. E., Lee, B. R., Koo, J. W., et al. (2009).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 an electronics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1 (1), 1-9. 

  24. Oh, Y. K., & Sohn, C. M. (2010).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s intake, physical activitie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specialized gam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obesity leve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5 (3), 393-402. 

  25. Park, M. J. (2005).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nutrient intake and lifestyles of postmenopausal omen in Chungnam.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 (12), 61-78. 

  26. Sambrook, P., & Cooper, C. (2006). Osteoporosis. Lancet, 367 (9527), 2010-2018. http://dx.doi.org/10.1016/S0140-6736(06)68891-0 

  27. Sang, J. H., Hwang, I. C., Han, H. S., Lee, W. S., Kim, T. H., Lee, H. H., et al. (2012).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women in Gumi Gyeongbuk provi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8 (1), 28-35. http:// dx.doi.org/10.6118/jksm.2012.18.1.28. 

  28. Sharkey, N. A., Williams, N. I., & Guerin, J. B. (2000). The role of exerci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nd osteoarthritis.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5 (1), 209-221.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Lancet, 363 (9403), 157-163. http://dx.doi.org/10.1016/S0140-6736 (03)15268-3 

  30. Yoo, S. Y. (2008).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of young females in Seou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