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건강수준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among White Collar Workers in a Commun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8, 2014년, pp.411 - 421  

이지민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권영숙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  백경신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일 지역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건강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J시의 S대학교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 199명을 대상으로 2012년 8월 7일부터 8월 2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는 8문항으로 구성된 생활 습관과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SF(Short-Form Health Survey)-36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은 건강수준(r= .164, p= .020)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생활습관 중 여가활용(r= .270, p= .000)과 규칙적인 운동(r= .180, p= .011)은 건강수준의 정신건강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습관의 실천을 강조하며 여가활동과 운동을 포함한 중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among employees in a community. The participants were 199 white collar workers in J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7 to 24, 2012 us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SF-36을 이용하여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생활습관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건전한 생활습관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유지, 증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사무직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시 여가활동과 운동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과 건강수준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생활습관의 중요성과 건강의 포괄적인 면을 평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 지역의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단면적 연구로서 연구결과의 해석에 제한이 있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건강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상자의 생활습관 중 알콜 섭취, 운동 및 흡연은 성인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22]에서 보고한 결과와 비교하면 알콜 섭취는 최근 1년간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한 월간 음주율이 59.
  • 본 연구는 일 지역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건강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한 생활습관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좋은 건강습관을 가질수록 조기사망을 예방하여 생명이 연장되며 건강한 생활습관 요인으로 운동, 영양, 흡연, 음주, 수면, 안전벨트 사용 및 약물복용 등 7가지를 제시하며 생활습관과 건강유지 및 증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6].
SF-36 중 신체건강 영역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나?  SF-36은 총 36문항으로 신체건강(Physical Component Summary)과 정신건강(Mental Component Summary) 두 영역 35문항과 건강상태변화에 대한 인식변화 1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신체건강 영역에는 신체적 건강상태와 일상 활동에 지장을 받는 정도를 평가하는 신체적 기능상태(Physical functioning) 10문항, 신체적 건강문제가 직업적인 일이나 일상생활 중 자신의 역할에 제약을 주는 정도를 평가하는 신체적 역할제한(Role limitation-Physical) 4문항, 일상생활 중에 신체적으로 통증을 느낀 정도와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정도를 평가하는 통증(Bodily pain) 2문항, 평소의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전반적인 건강상태(General health) 5문항이 포함되며, 정신건강 영역은 일상생활 중에 느끼는 원기나 활력소의 정도를 평가하는 활력(Vitality) 4문항,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대인관계나 그룹 활동 등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는 사회적 기능(Social functioning) 2문항, 정신적 문제가 직업적인 일이나 일상생활 중 자신의 역할에 제약을 주는 정도를 평가하는 감정적 역할제한(Role limitation-Emotion) 3문항, 일상생활 중에 느끼는 정신적 기분의 정도를 평가하는 정신건강(Mental health) 5문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21]. 각 문항의 점수는 건강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 1점으로 하여 문항에 따라 3점, 5점 또는 6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며 각 문항을 항목별로 합산한 점수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수준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 시 특징은? 4%를 차지하고 있다. 만성퇴행성 질환은 일단 발병하게 되면 쉽게 완치가 되지 않고 평생을 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발병의 시작에서 질병의 발생까지 오랜 기간이 필요하고 질환의 발생에는 한 가지 원인보다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는 특징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1. Statistics Korea, [cited 2012 Sep. 13], Available From: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 /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2600 4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 &sTargettitle&sTxt. (accessed Sep., 20, 2013). 

  2. J. K. Kang, Concept of lifestyle-related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65, No. 1, pp. 121-125, 2003. 

  3. D. J. Oh, Lifestyle modification and die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47, No. 1, pp. 195-201, 2004. 

  4. F. E. Ahmed, Effect of diet, life style, and other environmental/chemopreventive factors on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e risk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 Health Part C Environmental Carcinogenesis & Ecotoxicology Reviews, Vol. 22, No. 2, pp. 91-147, 2004. 

  5. M. O. Ahn, Women's health: Women's health and quality of life: A perspectives of lifecycle. Journal of nursing query, Vol. 5, No. 1, pp. 56-70, 1996. 

  6. L. Breslow, J. E. Enstrom,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entive Medicine, Vol. 9, No. 4, pp. 469-483, 1980. 

  7. J. S. Lee, Changes in health status of industrial employees in response to their change in life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0. 

  8. Statistics Korea. Census 2010. Statistics Korea, [cited 2012 Aug. 2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 dDT_1IN0001&vw_cd&list_id&scrId&seqNo &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 K1&path#. (accessed Sep., 20, 2013). 

  9. S. H. Lee, Interests, cognitions, practices about health behaviors and job commitments among white collar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2003. 

  10. H. S. Jang, J. H. Choi,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of male workers in Daegu.Gyeongbuk region. Journal of Food Science & Nutrition, Vol. 36, No. 3, pp. 318-326, 2007. 

  11. U. J. Kwon, I. K. Kim, C. W. Lee, An Analysis of Physical Fitness of Office Workers. Mokwon Journal of Natural Science, Vol. 10, No. 2, pp. 101-118, 2001. 

  12. S. L. Lusk, M. J. Kerr, D. L. Ronis, Health-promoting lifestyles of blue-collar, skilled trade and white-collar workers. Nursing Research, Vol. 44, No. 1, pp.20-24, 1995. 

  13. Y. S. Choi, A study on relation of job stress, heart rate variability, blood pressure and lifestyle on whit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7, No. 2, pp. 250-259, 2008. 

  14. J. H. Kim, J. Sakong, Life style perception of obesity of male white collar workers.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 24, No. 2, pp. 287-295, 2007. 

  15. J. Naidoo, J. Wills, Health promotion: Foundations for practice. pp. 51-70, Bailliere Tindall Publishers, 2000. 

  16. B. S. Cha, S. B. Koh, S. J. Chang, J. K. Park, M. G. Kang, The assessment of worker's health status by SF-36.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 10, No. 1, pp. 9-19, 1998. 

  17. S. A. Kim, K. S. Park, M. K. Jang, S. Kam,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according to health status measured by SF-36 in male work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Vol. 18, No. 4, pp. 272-283, 2006. 

  18. P. Contoyannis, A. M. Jones,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lifestyle.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 23, No. 5, PP. 965-995, 2004. 

  19. J. E. Ware, C. D. Sherbourn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Vol. 30, No. 6, pp. 473-483, 1992. 

  20. S. B. Koh, S. J. Chang, M. G. Kang, B. S. Cha, J. G. Park,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30, No. 2, pp. 251-266, 1997. 

  21. T. H. Kwak, Relationship between 7 health habits (Alameda 7) and health-related qualnd heal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shed master. 2004.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2).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23. J. P. Myong, H. R. Kim, W. S. Choi, S. E. Jo, B. R. Lee, J. W. Koo, et al.,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 an electronics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Vol. 21, No. 1, pp. 1-9, 2009. 

  24. K. J. Lee, J. J. Kim, The assessment of workers' health status in the small scaled industry using SF-3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 14, No. 3, pp. 171-180, 2009. 

  25. E. J. Kim, M. A. Kim, K. L. Kyeun,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7, No. 1, pp. 45-54, 2008. 

  26. C. Jenkinson, A. Coulter, L. Wright, Short form 36(SF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 normative data for adults of working age.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06, No. 6890, pp. 1437-1440, 1993. 

  27. R. J. Volk, S. B, Cantor, J. R. Steinbauer, A. R. Cass, Alcohol use disorders, consumption pattern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imary care patients. Alcoholism-clinical & Experimental Research, Vol. 21, No. 5, pp. 899-905, 1997. 

  28. H. N. Cha, The assess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f low-income women using SF-36.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2009. 

  29. T. Kimura, Y. Ogushi, M. Takahashi, Y. Munakata, S. Ishii, Associ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health examination including organic function and lifestyle in Japanese employee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3, No. 2, pp. 519-529, 2004. 

  30. E. Y. Kim, T. Y. Lee, M. S. Lee, The change of health statu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community health center bas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program.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ol. 29, No. 1, pp. 77-89, 2004. 

  31. A. K. Van der Bij, M. G. Laurant, M. Wensing,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Americam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22, No. 2, pp. 120-133, 2002. 

  32. M. Laaksonen, O. Rahkonen, P. Martikainen, S. Karvonen, E. Lahelma, Smoking and SF-36 health functioning. Preventive Medicine, Vol. 42, pp. 206-209, 2006. DOI: http//dx.doi.org/10.1016/ j.ypmed.2005.12.003 

  33. J. W. Lynch, G. A. Kaplan, S. J. Shema, Cumulative impact of sustained economic hardship on physical, cogno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ing.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37, No. 26, pp. 1889-1895, 1997. 

  34.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Korea National Leisure Activity Examination Survey 20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cited 2012 Dec. 28], Available From: http://culturenori. tistory.com/2958.(accessed Oct., 2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