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에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논의 분석
A Discussion and Analysis of Animation in a Culture and Art Education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1, 2013년, pp.29 - 55  

조정래 (한림대학교 중국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적 합리성,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상상력과 통찰력, 예술적 창조성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의 교육은 지식정보의 단순한 전달과 암기나 기능중심의 교육보다는 역사적 문맥의 폭넓은 이해, 학습자의 반성적 판단력, 창의적 기획력, 의사소통능력, 인지와 감성의 통합, 매체해석과 활용능력을 함양하는 문화예술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예술분야인 애니메이션의 교육담론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가치와 중요성,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은 영향력이 막강한 예술장르간의 융합, 학제간의 융합을 유도하여 탈장르의 형태로 인간의 삶과 문화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교육방법과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국가차원의 문화복지 성격의 예술교육정책이 추진되고, 국민들의 문화예술의 향수권과 사회문화교육이 점차 확대되는 시점에서, 통합적 문화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역할 증대와 학문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애니메이션의 교육학적 역할 재정립, 애니메이션교육의 다양화와 대중화, 애니메이션 전문 교육인력양성, 애니메이션 인프라확대와 종합교육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ntemporary modern society, information and knowledge generate a set of new social values. These changes demand a transformation not only in socio-cultural and educational spheres, but also,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e and Art education emphasizes the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국의 문화예술정책은 문화미디어체육부, 예술진흥위원회 그리고 교육부를 중심으로 실행된다. 국가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성격이 강하며 예술가와 문화예술기관을 지원하여, 창의적 문화의 다양성을 증진하며, 교육제도 내에서 청소년의 문화예술기회를 확대하여, 문화적 소양과 가치를 고취하데 목표를 두고 있다. 영국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활동을 도구로 삼아 창의적 사고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으로 자립적인 주체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창의교육(creative learning)과 문화예술의 본질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예술에 대한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삼는 문화교육(cultural learning)으로 나타난다.
  •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 정갑영의 논문 「초등생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처음 보인다. 그의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 결과와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을 참고하여 실행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이후 「문화예술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2004), 「국가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연구」(2005),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 모색」(2010) 등이 있으며, 애니메이션 관련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만화·애니메이션교육 연구」(2006),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예술통합교육에서 유희적 측면의 활용 가능성 - 만화·애니메이션 통합교육 프로그램 」(2007),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2009),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 교재 개발」(200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2010),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정책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만화애니메이션」(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만화애니메이션」(2011)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영상예술분야인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담론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가치와 중요성,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학계, 정책, 현장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헌자료의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의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다각적인 관점에서 도출된 연구논의를 조율하고 숙의하는 과정으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를 수정·보완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각 장의 연구내용서술을 정교화 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애니메이션의 사실성과 가정성. 애니메이션은 영화와 회화 즉, 카메라의 사실성과 표현방식의 가정성 그리고 움직임의 결합을 통해 예술을 실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문화예술정책의 특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그 외, 뉴욕시 교육청이 제정한 예술과목 교육 표준 지도서인 블루프린트(Bluepri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arts)는 유아교육부터 고등학교과정까지 미술, 음악, 연극, 무용, 영상 다섯 가지의 예술 과목에 대한 교육표준과 목표를 구체화하였다.21) 미국의 문화예술정책의 특징은 예술교육과 자율적 향유권의 강조, 파트너십의 형성과 강화, 문화유산의 보존 등을 들 수 있다.
학생들의 감각과 감성을 활성화시키고 개인의 자율적인 표현과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교육30)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애니메이션교육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는 새로운 교육적 필요와 방법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주목하고 있다. 단순히 지적능력만을 키우기보다는 감성과 창의적 문제해결, 문화에 대한 이해와 배려, 비판적 사고와 혁신,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등 전인적인 능력과 소양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이 바탕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문화예술진흥법에서 사용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용어 정의는 무엇인가? 예컨대,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문화예술진흥법에서 사용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용어 정의는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語文) 및 출판을 말한다.”6) 라고 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서 용어의 정의는 “‘문화예술교육’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2조 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하며, 다음 각 목과 같이 세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선아, 문화예술교육 핵심 용어 정립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2. 김대현.이영만, 학교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양서원, 1995년. 

  3. 김세훈,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년. 

  4. 김재웅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만화애니메이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년. 

  5. 김재웅 외,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 교재 개발, 경기문화재단, 2009년. 

  6. 김종백, 문화예술분야 교수학습방법론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7. 문광부.WCAE 조직위원회,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 보고서, 2010년. 

  8. 문병호, 문화산업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자연사랑, 2007년. 

  9. 문화연대편, 2009년,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아직 존재하는가?, 문화연대, 2009년 

  10. 박신의, 2011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년. 

  11. 박은영, 문화예술 교재분석 및 개발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12.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년. 

  13. 백 령, 2005 문화예술교육 우수사례모델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5. 

  14. 류정아, 2006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 문화관광부, 2007년. 

  15. 손기환.조정래, 애니메이션의 이해와 감상, 보고사, 2005년. 

  16. 신승환, 문화예술교육론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17.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 2008년. 

  18. 심광현 외, 이제 문화교육이다, 문화과학사, 2003년. 

  19. 양현미, 문화예술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년. 

  20. 이병준 외,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교육과학사, 2010년. 

  21. 최보연 외,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정책 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년. 

  22. 최현묵, 문화예술 교육과 지역문화 정책, 해조음, 2011년. 

  23. 정갑영, 초등생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년. 

  24.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문화 예술교육과 문화 정책, 북코리아, 2012년.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편집위, 초등학교 통합 교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년. 

  2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해외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5년. 

  2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제1차 예술 교육에서의 인간 이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2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예술교육의 포괄성과 접근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2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예술교육의 Framework,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30. 황금숙, 방과 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31. 황동렬, 문화학습기회 확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운영방안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년. 

  32.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년. 

  33. 강석훈,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정책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목원대 석사학위논문(2011). 

  34. 김숙정,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과제, 2009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비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년. 

  35. 김은진.임병노,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3)(2012), pp.102-113. 

  36. 김자현,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 발표, 강릉지역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워크숍자료, 2006년. 

  37. 박신자,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디자인디지털학연구, 제10권 제4호 통권28호(2010.10), pp.199-208. 

  38. 박유신, "애니메이션 창작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교육적 가치", 중앙대 박사학위논문(2012). 

  39. 백형찬, 국가전략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연구학회논문집, 2005년. 

  40. 안혜리.조정래,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예술통합교육에서 유희적 측면의 활용 가능성, 조형교육, 2007년. 

  41. 이동연,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안 모색,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방안, 문화관광부, 2003년. 

  42. 이동연, 문화예술교육, 그 이념과 가치, 문화예술교육 4차 포럼 자료집, 2007년 

  43. 황금숙,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08년. 

  44. 황연주,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관계 고찰, 예술교육연구, 2007년. 

  45. 홍성만 외,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우선순위 탐색,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12년. 

  46. NAGB,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2008. 

  47. Blue Pr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Moving image, New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2007. 

  48. BFI, Film Institute, Moving Image in the Classroom, English&mediacenter, 2000. 

  49. ACARA, Shape of the Australian Curriculum:The Arts,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