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정온화 구역 과속방지턱 최적 설치간격
The Optimal Spacing of Speed Humps in Traffic Calming Area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5 no.3 = no.59, 2013년, pp.151 - 157  

여인수 ((사)한국도로교통협회 기술국) ,  백정길 ((사)한국도로교통협회 기술국) ,  최장원 ((사)한국도로교통협회 기술국) ,  김용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optimal spacing between speed humps which is placed at traffic calming areas including pedestrian priority zones, school zones, and residential areas. METHODS: The study measured the operating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wo successive humps by using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두 과속방지턱이 독립적인지 상호 영향인자를 구분하기 위한 가정을 세웠으며, 현장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가정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해 설치간격과 감속도 차이(전방 감속도와 후방 감속도 차)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차량의 감속 패턴을 분석해본 결과 과속방지턱 전방 5m 지점부터 감속하는 형태를 보였으므로 과속방지턱 통과 5m 전방부터 과속방지턱 진입 순간까지의 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감속도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제한속도 30km/h로 운영되고 있는 보행우선구역, 어린이보호구역 및 생활도로구역에 연속으로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도로 구간에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사하고 제한속도에 부합하는 설치간격을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의 감속도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이 연속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 감속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설치간격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적정 설치간격을 산정하기 위하여 제한속도 30km/h로 운영되는 구역 내에서 서로 다른 간격의 연속형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조사하여 연속형 과속방지턱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그러나 현장 조사지점의 설치간격이 최소 23m에서 최대 90m의 사이에 있어 90m를 초과한 간격에 대해서는 모형만으로 결과를 완전하게 추정하기 곤란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연속되는 과속방지턱 간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최대 간격에 대한 연구를 현장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검토 결과, 과속방지턱 설치간격이 70m를 넘게 되는 경우는 후방 과속방지턱의 감속도가 전방에 비해 크거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점 23에서 간격 90m의 경우는 0.027m/s2(0.26g)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는 지점 20, 21, 22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70m를 경계로 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속도조사 장소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보행우선구역, 어린이보호구역 및 생활도로구역은 제한속도가 30km/h로 설정되어 운영되고 있으므로 운전자는 같은 제한속도 준수를 염두하고 운전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수립한 가정은 두 번째 과속방지턱의 감속도 값이 첫 번째 과속방지턱의 감속도와 같거나 큰 값이면 두 과속방지턱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두번째 과속방지턱의 감속도 값이 작은 경우는 첫 번째 과속방지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제하였다. Fig 3은 “독립”에 해당한 경우의 속도 프로파일을 개념화한 것으로, 전방 과속방지턱을 통과한 운전자의 속도가 시설에 영향이 없는 속도(구간의 희망속도[Desired Speed]로 정의함)에 도달한 이후에 다시 과속방지턱의 존재를 인지하고 속도를 줄이는 것으로 전제하였다.
  • 또한, 과속방지턱 설치간격에 관한 관계식은 제시되었으나 과속방지턱의 효과가 발휘되는 최대 간격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속되는 두 개의 과속방지턱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구 가정을 수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속방지턱이란? 과속방지턱은 도로법 제2조 및 도로법 시행령 제2조 11의 도로부속물로서, 도로법 제37조 및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에 의하여 도로 교통의 안전 증진을 도모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 하는 과속방지 시설이다. 과속방지턱은 교통량을 감소 시키거나 통과하는 자동차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대표적인 교통정온화 시설물로서 집산도로, 국지도로 등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는 구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최대 설치 간격이 70m 이하인 이유는?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대표적인 교통정온화 기법으로 차량의 속도를 30km/h 이하로 제어하기 위한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적정 간격은 20m로 나타났다. 또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의 감속도를 비교한 결과 설치 간격이 70m 이상인 경우 연속형 과속방지턱으로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차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최대 설치 간격은 70m를 제안한다.
과속방지턱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과속방지턱은 형상에 따라 원호형 과속방지턱, 사다리꼴 과속방지턱 및 가상 과속방지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호형 과속방지턱은 과속방지턱 상부면의 형상이 원호(圓弧) 또는 포물선인 과속방지턱이고 사다리꼴 과속방지턱은 과속방지턱 상부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인 과속방지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Department for Transport(2007), Traffic Calming. 

  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1), The Guidelines for Road Safety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3.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2011), Guidelines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Speed Humps and Speed Tables. 

  4. Dan Smith, Shauna Hallmark, Keith Knapp, and Gary Thomas(2002), Temporary Speed Hump Impact Evaluation, CTRE Project 00-73 final report, IOW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and Education Iowa State University. 

  5. Bruce Robinson, Elizabeth Wemple, James Colyar(1997), City of Portland Speed Bump Peer Review, Kittelson & Associates, inc.,City of Portland, Bureau of Traffic Management. 

  6. Kim, Cho,(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Design, Operating and Posted Spee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3 No.7 

  7. Los Angeles County(2011), Model Design Manual for Living Streets.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