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모유수유태도와 모유수유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east-Feeding Attitude and Breast-Feeding Practice by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310 - 3318  

유영란 (안동성소병원) ,  박상연 (경북대학교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모유수유 태도와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로, 연구 기간은 2011년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었다. 참여자는 일개 모자보건센터에 산전관리를 위해 내원한 임신 32주 이상의 임신부 64명(실험군; 32, 대조군; 32)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모유수유 태도 점수와 모유수유 실천율이 더 높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두 그룹 간 모유수유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별적 모유수유 증진 프로그램은 모유수유 태도를 변화시키고, 모유수유 실천율 상승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on breast-feeding attitude and breast-feeding practice i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pregnant women who were more than 32 weeks of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만 전후 초산모에게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퇴원 후에도 전화 상담 등을 통한 추후간호 방법으로 모유 수유를 지속하기 위한 개별적 정보와 상담을 지속적으로 제공한 후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와 실천율을 측정하고, 모유 수유 지속 기간을 6개월까지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모유수유 태도와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synchronized design)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하는 일개 모자보건센터에서 재태기간 37-42주 사이에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태도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기간은 2011년 6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이었다. 산전 관리를 위하여 내원하는 임신 32주 이상인 임신부를 대상으로 모유수유교육 프로그램을 홍보한 후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고 산전 집단모유수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 선정 기준을 충족시키는 실험군 32명과 산전교육에는 참여하지 않고 분만 후 집단모유수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 32명으로 나누어 총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모유수유태도와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수유 실천율이 높을 것이다.
  •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수유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1.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 수유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수유 실천율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UNICEF, Retrieved 2012, Available from: www.childinfo.org/areas/breastfeeding/countrydata.ph 

  2. Lodermilk, D. L., Perry, S. E. Maternity nursing(6th ed). St. Louis: Mosby Company, 2003. 

  3. C. M. Park,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2), 167-178, 2002. 

  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rom http://www.hhs.gov/ 

  5.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from: http://www.kihasa.re.kr/html/jsp/. 

  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Health Plan 2010",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7. Mother safe, "Breast feeding, When do I need it?" Retrieved February 24, 2011, Available from: http://www.koreahealthlog.com/2909 

  8. I. A. Sohn,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about, attitude towards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7. 

  9. J. H. Yeo, "Influencing factors in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2), 142-147, 2005. 

  10. H. E. Oh, N. J. Park, E. S. Im, "An analytic study measuring factors interrupting in breast-feeding, Journal of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4(1), 68-79, 1994. 

  11. G. H. Jeong,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997. 

  12. S. E. Yun, H. K. Lee,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18(2), 75-84,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75 

  13. I. S. Seo, M. S. Jung, Y. S. Suh, "Effect of education for encouraging breastfeeding on practice of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4), 2000. 

  14. Y. J. Choi, M. O. Kim, "Effect of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4), 245-253, 2007. 

  15. C. A. Stashwick, "Overcoming obstacles to breastfeeding", Patient care, 28, 88-92. 1994. 

  16. J. W. Um, I. S. Lee, M. S. Whang, E. J. Kim, M. S. Kim,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by Postpartum Home Health Care on the Promotion of Mothers' Feeding Complia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6(1), 49-71. 2001. 

  17. WHO, "Exclusive breastfeeding for six months best for babies everywhere",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news/statements/2011/breastfeeding_20110115/en/, 2011. 

  18.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88. 

  19. E. Helsing, "Infant feeding and infectious illness. Repor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1985. 

  20. E. S. Nam, "The effect of breastfeeding act by education program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94. 

  21. M. S. Jung, M. Y. Kim, H. J. Koh, Y. H. Shin, K. A. Chung, I. H. Lee, S. J. KIm, I. S. Song, S. Y. Lee,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Activities for Breastfeeding Promo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3(2), 187-196, 1993. 

  22. S. J. Pyun, K. J. Han, J. H. Lee, "A Study on Type of Feeding and Attitude of mothers to Breast Feed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4(1), 52-67, 1994. 

  23. H. K. Lee, Y. Song, N. M. Kang, "A Survey of Fe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4), 365-375, 2008. 

  24. S. H. Park, H. J. Koh, "Focused on Home Visit and Phone Counselling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Follow - up care on the Breast-feeding Rate and the Breast-feeding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7(1), 30-43, 2001. 

  25. E. J. Lee, "The effect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retension of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1997. 

  26. I. E. Cecilia, Svedilf, L. Ingegerd, Bergbom Engberg, Harriet Berthold, E. Ingela, Holund, "A comparison of the incidence of breast feeding two and four months after delivery in mothers discharged within 75hours and after 72 hours post delivery", Midwifery, 14, 37-47,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266-6138(98)90113-9 

  27. G. Freed, T. M. Jones, J. Fraley, "Attitudes and education of pediatric house staff concerning breasfeeding", Southern Medical Journal, 85, 483-485, 1993. DOI: http://dx.doi.org/10.1097/00007611-199205000-00006 

  28. H. Littman, S. V. Medendorp, J. Goldfarb, "The Decision to Breastfeed",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