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과 자신감
Clinical Competence and Self-confidence of New Graduate Nurses with an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of Simul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349 - 3357  

노영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성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양선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강윤숙 (알엠컨설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와 교과목 중심의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간의 간호수행능력정도와 간호수행능력 자신감의 차이를 표준화환자 기반 간호수행평가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 39명과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 35명, 총 7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두 대상자 그룹간에 표준화환자 기반 간호실무능력 평가 시험에서 간호수행능력 평가점수와 간호수행능력 자신감을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 연구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Fisher's exact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간호실무수행능력 평가시험을 실시한 결과 통합간호교육과정 이수 신졸업간호사와 교과목 중심의 전통적 간호교육과정 이수 신졸업간호사 간에 표준화 환자가 채점한 간호수행능력 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통합간호교육과정 이수 신졸업간호사의 교수자가 평가한 기술적 술기 점수, 비기술적 술기 점수와 간호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교육과정에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과를 적용할 것을 제언하며,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의 임상간호 현장에서의 실무능력과 환자 성과 변화를 장기추적 관찰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based on simul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PBL) by comparing the clinical competence and the self-confidence of newly graduated nurse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시뮬레이션 연계 PBL 수업은 강의, 문제중심학습 모듈을 활용한 토론식 수업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상황실습이 포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목 중심의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와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간의 간호수행능력과 자신감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간호교육과 정의 효과를 전통적 교육과정과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적용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 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간호수행능력 평가시험을 통해 교육과정별 신졸업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과 자신감을 비교 평가 하였다.
  • 본 연구는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의 유효성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간호수행능력 평가 시험을 활용하여 간호수행능력에 대한 신졸업간호사의 자신감과 표준화환자와 교수자의 다면평가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몇 가지 연구 제한점을 논의함으로써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개별 신졸업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수자와 표준화환자가 관찰법을 통한 다면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와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 간호사간에 표준화환자 기반 간호실무능력 평가 시험에서 간호수행능력 평가점수와 간호수행능력 자신감을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 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 연구 이다[Fig. 1].
  • 통합교육과정은 서로 다른 교과에 포함된 관련 교육 내용을 특정한 주제 하에 모아, 교육내용을 적절한 시기에 교육할 수 있도록 배열하고, 동일한 시기에 다른 과목의 관련 내용을 집중적으로 교육하며, 주제와 관련된 타 여러 분야의 전공교수들이 함께 공통의 목표를 향하여 가르치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에서 2010년의 3개년간 R 간호대학에서 적용된 PBL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의미하며,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사고 능력, 기본간호술,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과 전문직 태도 등과 같은 핵심간호역량 배양을 목표로 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은 전공선택과 교양과목 외에 전공기초 6개 교과 12학점, 기초간호 전공필수 4개 교과 10학점, 임상 전공필수 이론 11개 교과 37학점, 임상전공필수 실습 10개 교과 24학점의 총 83학점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와 교과목 중심의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신졸업간호사간의 간호수행 능력정도와 간호수행능력 자신감의 차이를 표준화환자 기반 간호수행평가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정 수준의 핵심간호역량을 갖춘 간호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대 되는 까닭은? 간호실무현장에서 환자의 권리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일정 수준의 핵심간호역량을 갖춘 간호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호실무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간호대학의 교육목표도 자기주도 학습, 간호수기 능력과 전문직 역할수행 등의 핵심간호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1-2].
간호대 학생의 강의 위주의 주입식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전통적인 교육방법인 강의 위주의 주입식 교육과 수동적 형태의 수기 반복훈련을 받은 졸업생은 실제 상황에 서의 대처능력이 부족 하다는 평가로 실무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의 수행능력을 갖춘 의료인을 양성하는데 제약이 있다[5].이에 대한 개선방법으로 보건의료교육에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같은 고등사고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제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과[6,7] 기술적 및 비기 술적 술기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시뮬레이션 학습의 긍정적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8-10]. 특히, 시뮬레이션과 문제중심학습(PBL) 교수학습 전략을 연계할 경우 PBL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적 상황에 대한 문제 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어, 두 교수학습 방법의 장점을 배가 시킬 수 있다[11].
교과목 중심의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의 문제점은? 따라서 이러한 간호실무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간호대학의 교육목표도 자기주도 학습, 간호수기 능력과 전문직 역할수행 등의 핵심간호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1-2]. 현재의 교과목 중심의 전통적 간호교육과정은 강의 위주의 주입식 교육, 교육 내용의 연계성 및 관련성의 부족, 기본 임상수기의 부족과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대한 교육 부족 등의 문제점을 보이나[3], 통합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자율학습능력에 중점을 두고 교과목의 경계를 없애며 서로 관련 있는 개념을 묶어 같은 시기에 가르침으로써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의미 있는 전체를 이해하도록 하고 이론과 실무를 통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ennenga, H. A., & Smyer, T. (2010). A model for easily incorporating team-based learning into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7(1), Article4. Advanced online publication. DOI: http://dx.doi.org/10.2202/1548-923X.1924. 

  2. Rideout, E., & Carpio, B. (2001).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f nursing education. In Rideout, E(Ed.), Transforming nursing education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pp.21-49). Mississauga: Jones and Barlett Publishers. 

  3. K. K. Kim, B. Yun, H. S. Jang & E. S. Kong. (2002). A study on the methods of nursing curriculum integration for 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Margaret Pritchard University, 14(1), 149-164. 

  4. J. Yoon.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4(2), 159-166 

  5. Reilly, A., & Spratt, C. (2007). The percep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 nurse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learning: a case report from the University of Tasmania. Nurse Education Today, 27(6), 542-550.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6.08.015 

  6. Rochmawati, E., & Wiechula, R. (2010). Education strategies to foster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clinical reasoning skill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2(2), 244-250. DOI: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09.00512.x 

  7. Yuan, H., Williams, B. A., & Fan, L. (2008). A systematic review of selected evidence on developing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28(6), 657-663.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7.12.006 

  8. Harder, B. N. (2010). Use of Simul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Health Scienc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 23-28.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0828-08 

  9. Issenberg, S. B., McGaghie, W. C., Petrusa, E. R., Lee Gordon, D., & Scalese, R. J. (2005).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27(1), 10-28. DOI: http://dx.doi.org/10.1080/01421590500046924 

  10. May, W., J. H. Park, & J. P. Lee. (2009). A ten-year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use of standardized pati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1996-2005. Medical Teacher, 31(6), 487-492. DOI: http://dx.doi.org/10.1080/01421590802530898 

  11. Maxwell, N. L., Mergendoller, J. R., & Bellisimo, Y. (2004). Developing a problem-based learning simulation: An economics unit on trade. Simulation & Gaming, 35(4), 488-498. DOI: http://dx.doi.org/10.1177/1046878104264789 

  12. Docherty, C., Hoy, D., Topp, H., & Trinder, K. (2005). E-Learning techniques supporting problem based learning in clinical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4(7-8), 527-533. DOI: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05.03.009 

  13. Liaw, S. Y., Chen, F. G., Klainin, P., Brammer, J., O'Brien, A., & Samarasekera, D. D. (2010). Developing clinical competency in crisis event management: An integrated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activity.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5(3), 403-413. DOI: http://dx.doi.org/10.1007/s10459-009-9208-9 

  14. M. S. Chu., Y. Y. Hwang, & C. S. Par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 module using simulator- Focused on SimM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2), 182-189. 

  15. J. Y. Kim., & E. Y. Choi. (2008).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 receiving PBL with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5), 731-742. 

  16. W. S. Lee, K. C. Cho, S. H. Yang, Y. S. Roh, & G. Y. Lee.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16(1), 65-73. 

  1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8. M. R. Eom, H. S. Kim, E. K. Kim & K. Y. Seong. (2010).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151-16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51 

  19. Wallace, P. (2007). Coach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use in the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20. M. S. Yoo, & I. Y. Yoo. (2003). Effects of OSCE method on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of studen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2), 228-235. 

  21. Ericsson, K. A. (2004). Deliberate practice and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expert performance in medicine and related domains. Academic Medicine, 79(10Suppl), S70-81. 

  22. Wayne, D. B., Butter, J., Siddall, V. J., et al. (2006). Mastery learning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kills by internal medicine residents using simulation technology and deliberate practic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3), 251-256. DOI: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6.00341.x 

  23. J. Y. Choi, K. S. Jang, S. H. Choi & M. S. Hong.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83-9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83 

  24. Farrand, P., McMullan, M., Jowett, R., & Humphreys, A. (2006). Implementing competency recommendations into pre-registration nursing curricula: effects upon levels of confidence in clinical skills. Nurse Education Today, 26(2), 97-103.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5.06.002 

  25. Lauder, W., Watson, R., Topping, K., et al. (2008). An evaluation of fitness for practice curricula: self-efficacy, support and self-reported competence in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and midwiv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14), 1858-1867.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23.x 

  26. Kable, A. K., Arthur, C., Levett-Jones, T., & Reid-Searl, K. (2012). Student evaluation of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in Australia using quality indicators. Nursing & Health Sciences. DOI: http://dx.doi.org/doi/10.1111/nhs.12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