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1, 2014년, pp.37 - 46  

김연하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이애영 (성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performed by new graduate nurses in Korea. Methods: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confidence in 20 item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 졸업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규졸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여 학부교육 및 신규졸업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졸업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 정도와 학습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향후 학부교육 및 신규졸업간호사를 위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3월 18일부터 31일까지였다. 본 연구자는 4개 기관의 종합병원 간호부 책임자에게 연구에 관하여 사전 동의를 얻은 후 연구 대상자들이 합격한 기관에서 예비교육을 받는 날에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윤리적 고려를 위해 익명성보장과 연구목적 외에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설명하고 서면화된 동의서를 받은 후 연구 참여자 스스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기입하도록 하고 자료를 회수하였다.
  •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졸업 후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였고 취약한 항목을 찾아 고찰함으로써 학부교육 및 신규졸업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기본간호술이란 무엇인가? 이는 국내 간호학과의 신설과 증설에 다른 병원 실습지 부족, 실습현장의 지도와 감독의 질 저하, 열악한 실습 기자재 등의 문제로 졸업 간호사들의 기본간호수행 능력의 표준화가 필요했기 때문이다(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핵심기본간호술이란 간호사 직무수행 중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간호술로써 간호사 양성 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20가지 항목들을 포함한다(KABON, 2012). 이는 간호학과 실습교육을 개선, 졸업간호사의 임상현장에서의 적응, 그리고 국내외 간호전문직에서 요구하는 간호사의 핵심역량을 보장하기 위함이다(Alexander & Runciman, 2003; KABON, 2011).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프로토콜 및 평가채점표를 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KABON])에서는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이론과 임상실습 교육 시 핵심적 간호수행능력을 확인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프로토콜 및 평가채점표를 개발하였다(KABON, 2012). 이는 국내 간호학과의 신설과 증설에 다른 병원 실습지 부족, 실습현장의 지도와 감독의 질 저하, 열악한 실습 기자재 등의 문제로 졸업 간호사들의 기본간호수행 능력의 표준화가 필요했기 때문이다(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핵심기본간호술에 포함된 내용은 무엇인가? 이는 국내 간호학과의 신설과 증설에 다른 병원 실습지 부족, 실습현장의 지도와 감독의 질 저하, 열악한 실습 기자재 등의 문제로 졸업 간호사들의 기본간호수행 능력의 표준화가 필요했기 때문이다(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핵심기본간호술이란 간호사 직무수행 중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간호술로써 간호사 양성 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20가지 항목들을 포함한다(KABON, 2012). 이는 간호학과 실습교육을 개선, 졸업간호사의 임상현장에서의 적응, 그리고 국내외 간호전문직에서 요구하는 간호사의 핵심역량을 보장하기 위함이다(Alexander & Runciman, 2003; KAB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exander, M., & Runciman, P. (2003).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Report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nsultation.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 Baxter, P., & Norman, G. (2011). Self-assessment or self deception? A lack of associ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elf-assess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11), 2406-2413. 

  3. Carlson, S,. Kotz, W., J., & Van Rooyen D. (2005). Experience of final year nursing students in their preparedness to become registered nurses. Curationis, 28(4), 65-73. 

  4. Cho, M. H., & Kwon, I. S. (2007).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3(2), 143-154.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6. Cowin, L. S., Craven, R. G., Johnson, M., & Marsh, H. W. (2006). A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 and experienced nurses' self-concept. Collegian, 13(3), 25-31. 

  7. Cowin, L. S., & Hengstberger-Sims, C. (2006). New graduate nurse self-concept and retention: A longitudi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59-70. 

  8. Dearmon, V., Graves, R. J., Hayden, S., Mulekar M. S., Lawrence, S. M., Jones, L. et al. (2013).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orient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reparing fo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2(1), 29-38. 

  9. Fesler-Birch, D. M. (2005). Critical thinking and patient outcomes: A review. Nursing Outlook, 53(2), 59-65. 

  10. George, J. T., Warriner D. A., Anthony J., Rozario K. S., Xavier S., Jude E. B. et al. (2008, August 22). Training tomorrow's doctors in diabetes: Self-reported confidence levels, practice and perceived training needs of post-graduate trainee doctors in the UK, A multi-centre survey. BMC Medical Eduction, Retrieved November 9, 2013, from http://www.biomedcentral.com/1472-6920/8/22 

  11. Johns C. (2003). Clinical supervision as a model for clinical leadership.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1(1), 25-34. 

  12. Kang, Y. S., Cho, H., Roh, Y. S., Boo, E. H., & Ahn, K. H. (2006). The effects of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2(1), 13-20. 

  13. Kim, J. Y., & Choi, E. Y. (2008).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 receiving PBL with simula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5). 731-742. 

  14. Ko J. K., Jung. M. S., Choi, M. A., Park, Y. I., Bang, K. S., & Kim, J. A. (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1), 87-96. 

  1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1). Nursing core competency. retrieved July 17, 2013,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Web site: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1127132143.pdf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2).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retrieved July 17, 2013,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Web site: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0319112302.pdf 

  17.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retrieved July 17, 2013, from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Web site: http://www.koreanurse.or.kr:444/resources/nurse_edu.php 

  18. Lasater, K. (2007).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6), 269-276. 

  19. Lee, H. Y., Lim, H. S., & Kim, M. Y. (2011). The clinical practice of newly graduated nurses who are resigned. Qualitative Research, 12(1), 39-48. 

  20. Lee, M. S., & Han, S. W. (2011).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17(2), 226-234. 

  21. Lee, W. S., & Kim, M. O. (2011).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4), 433-443. 

  22. Lim, K. C.(2011).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7(2), 246-256. 

  23. Park, Y. R. (2007).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cal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4(4), 429-436. 

  24. Reyes H., Hadley L., & Davenport, D.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competence in beginning and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SRN Nursing, Article ID 929764, 5. Retrieved November 9, 2013, from http://dx.doi.org/10.1155/2013/929764 

  25. Schlegel, C., Shaha, M., & Terhaar, M. (2009). The value of standardized patient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7(2), 40-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