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음성장애 예측모형
The Prediction Model for Self-Reported Voice Problem Using a Decision Tree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368 - 3373  

변해원 (남부대학교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언어치료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요인으로 구명된 주요 변수를 기반으로 주관적 음성장애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이며, 이비인후검진을 완료한 전국의 19세 이상 지역사회 성인 3,600명(남 1,501명, 여 2,09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주관적 음성장애 여부를 결과변수로 성, 연령, 흡연, 음주, 교육수준, 직업, 갑상선장애, 최근 2주간 급성 및 만성질환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였고, 예측모형은 의사결정나무 모형(Decision Tree)의 exhaustive CHAID(Chi 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주관적 음성 장애와 관련된 통계학적 분류 모형을 구축한 결과, 유의미한 예측 변수는 연령, 교육수준, 최장 직업, 갑상선 장애, 최근 2주 동안의 신체 불편 및 통증경험 여부였다. 이 연구의 모형을 기초로 음성장애 예방을 위해서 음성장애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self-reported voice problem. Data were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8. Subjects were 3,600 persons (1,501 men, 2,099 women) aged 19 years and older.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by the use of a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 조사의 이비인후과 검진자료를 이용하여 주관적 음성장애의 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음성장애의 예방을 위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대표성 있는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하여만 19세 이상 지역사회 성인 인구를 대상으로 주관적 음성장애의 잠재적 위험요인의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의 결과변수와 마찬가지로 질병의 유병률이나 불량제품의 선별 등과 같이 발생률이 드문 경우에는 분포의 불 균형(unbalanced data)이 초래되어 다수의 결과범주로 분류가 진행되는 분류 알고리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8]. 이러한 자료의 분포 불균형 문제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음성장애 유병률을 고려하여 오분류 비용(misclassification costs)의 가중치를 비대칭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자료의 균형을 조정하였다[9]. 모형의 타당성 평가는 10-fold 교차타당성 검정(10-fold cross-validation)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셋째, 발생률이 낮은 인구집단에서의 음성장애 유 병을 결과변수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분포의 불균형이 초래되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음성장애 유병률을 고려하여 오분류 비용의 가중치를 비대칭적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장애가 보건 정책에서 중요성이 간과된 이유는? 음성장애(voice disorder)는 질병학적으로 사망과의 관련성이 높은 질환이 아니라는 이유로 보건 정책에서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그러나 음성장애는 지역사회에서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과정에서 기능적 문제를 초래하여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민 건강 차원에서 중요한 현안이다.
의사결정나무 분석(Decision Tree)의 장점은? 최근에는 사회학, 경제학, 보건학, 의학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관심이 있는 대상을 분류하거나 예측하는 방법으로 신경망분석(Neural Network Analysis), 의사결정나무 분석(Decision Tree),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등의 데이터마이닝 분석(data mining)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첫째, 모수적 자료와 비모수적 자료에 상관없이 분석이 가능하고, 둘째, 분석과정이 나무구조에 의해서 표현되기 때문에 신경망분석이나 군집 분석에 비해서 음성장애의 속성에 대한 근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셋째, 결과변수에 우선적으로 관여하는 요인을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가가 쉽게 해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관심이 있는 대상을 분류하거나 예측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최근에는 사회학, 경제학, 보건학, 의학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관심이 있는 대상을 분류하거나 예측하는 방법으로 신경망분석(Neural Network Analysis), 의사결정나무 분석(Decision Tree),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등의 데이터마이닝 분석(data mining)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첫째, 모수적 자료와 비모수적 자료에 상관없이 분석이 가능하고, 둘째, 분석과정이 나무구조에 의해서 표현되기 때문에 신경망분석이나 군집 분석에 비해서 음성장애의 속성에 대한 근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셋째, 결과변수에 우선적으로 관여하는 요인을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가가 쉽게 해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hen, S. M., "Self-reported impact of dysphonia in a primary care population: an epidemiological study", Laryngoscope, Vol. 120, No. 10, pp. 2022-2032, 2010. DOI: http://dx.doi.org/10.1002/lary.21058 

  2. Roy, N., Merrill, R. M., Gray, S. D., & Smith, E. M., "Voice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prevalence,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impact", Laryngoscope, Vol. 115 No.11, 1988-1995, 2005. DOI: http://dx.doi.org/10.1097/01.mlg.0000179174.32345.41 

  3. Roy, N., Stemple, J., Merrill, R. M., & Thomas, L., "Epidemiology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preliminary findings", Laryngoscope, Vol. 117, pp. 628-633, 2007. DOI: http://dx.doi.org/10.1097/MLG.0b013e3180306da1 

  4. Byeon, H., "The Risk Factor of Voice Disorder",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pp.284-286, 2011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7-2009", Seoul: Author. 2010. 

  6. Byeon, H., "Comparative Analysis of Unweighted Sample Design and Complex Sample Design Related to the Exploration of Potential Risk Factors of Dysphonia",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5, pp.2251-2258, 2012. 

  7. Breiman, L., Friedman, J. H., Olshen, R. A., & Stone, C. J.,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 Wadsworth. 1984. 

  8. Tan, P., Steinbach, M., & Kumar, V., " Introduction to data mining", Boston: Addison Wesley, 2006. 

  9. Cristianini, N., & Shawe-Taylor, J., "An introduction to support vecter machins", Cambridge: Cambridge Univerity Press. 2000. 

  10. Bermudez de Alvear, R. M., Baron, F. J., & Martinez-Arquerom, A. G., "School teachers' vocal use, risk factors, and voice disorder prevalence: guidelines to detect teachers with current voice problem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63, pp. 209-215, 2011. DOI: http://dx.doi.org/10.1159/000316310 

  11. Best, S. R., & Fakhry, C. F., "The preval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oice disorders in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NAMCS) cohort", Laryngoscope, Vol. 121, No. 1, pp. 150-157, 2011. DOI: http://dx.doi.org/10.1002/lary.21169 

  12. Chen, S. H., Chiang, S. C., Chung, Y. M., Hsiao, L. C., & Hsiao, T. Y., "Risk factors and effects of voice problems for teachers", Journal of Voice, Vol. 24, No. 2, pp.183-19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voice.2008.07.008 

  13. Herrington-Hall, B. L., Lee, L., Stemple, J. C., Niemi, K. R., & McHone, M. M., "Description of laryngeal pathologies by age, sex, and occupation in a treatment-seeking sample", Journal of Speech, Hearing Disorders, Vol. 53 No. 1, pp.57-64. 1988. 

  14. Smith, E., Kirchner, H. L., Taylor, M., Hoffman, H., & Lemke, J. H., "Voice problems among teachers: differences in gender and teach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Voice. Vol. 12, pp. 328-334, 1988. DOI: http://dx.doi.org/10.1016/S0892-1997(98)80022-2 

  15. Miller, M. K., & Verdolini, K., "Frequency and risk fators for voice problems in teachers of singing and control subjects", Journal of Voice, Vol. 9, No. 4, pp.348-362, 1995. DOI: http://dx.doi.org/10.1016/S0892-1997(05)80197-3 

  16. Verdolini, K., & Ramig, L.O., "Review: occupational risks for voice problem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Vol. 26, No. 1, pp.37-46. 2001. DOI: http://dx.doi.org/10.1080/140154301300109125 DOI: http://dx.doi.org/10.1080/14015430119969 

  17. Byeon, H., & Hwang, Y., "Gender Differences in Risk Factors of Self-reported Voice Problem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ol. 4, No. 1, pp.99-108, 2011. 

  18. Nam, I. C., Bae, J. S., Shim, M. R., Hwang, Y. S., Kim, M. S., & Sun, D. I., "The importance of preoperative laryngeal examination before thyroidectomy and the usefulness of a voice questionnaire in screening", World Journal of Surgery, Vol. 36, No. 2, pp.303-309, 2012. DOI: http://dx.doi.org/10.1007/s00268-011-1347-5 

  19. Byeon, H., & Lee, Y., "Laryngeal pathologies in older Korean adul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Laryngoscope, Vol. 123, No. 2, pp.429-433, 2013. DOI: http://dx.doi.org/10.1002/lary.236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