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
Exploration of the Factors Determining Satisfaction in First Job of Graduates from Engineering College by Decision Tree Analysi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4 no.1, 2021년, pp.15 - 23  

이지연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  이영주 (명지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rst job of university graduates is the beginning of career development,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a personal life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a labor market later. The study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major variables (whether or not one participates in the career and emp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4년제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을 전체 대학졸업자와 비교함으로써 공과대학 전공계열이 갖는 고유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첫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 등과 같은 통계기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7GOMS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하여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대학 생활 경험인 진로 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 졸업대학의 교육인프라 및 교육과정과 관련된 변수 위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2017GOMS의 첫 일자리와 관련된 14개 문항(임금・소득, 고용 안정성, 직무내용, 근무환경, 일하는 시간, 개인 발전 가능성, 인간관계, 복리 후생 제도, 인사체계, 일에 대한 사회적 평판, 자율성과 권한,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 적성 흥미의 일치, 직무관련 교육ㆍ훈련)의 만족도를 합산하여 ‘첫 일자리 만족도(5점 리커트 척도, 14점∼70점)’로 하였다.
  • 즉, 기존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많은 요인을 분류, 예측한 결과를 비교적 해석하기 쉬운 나무구조로 제시하고, 요인들 간의 우선순위 및 상호작용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과 그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우선순위 및 그 영향 정도, 상호작용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첫 일자리 만족도 관련 다양한 요인 중 대학교육 관련 요인인 대학 재학 중 진로선택 및취업준비 프로그램 참여여부, 졸업대학의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 만족도에 초점을 두어 공학교육의 질적 강화 및 공과 대학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 특히, 4년제 대학 전체 졸업생과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과대학 맞춤형 지원 설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공학교육의 질적 강화 및 공과대학 졸업생의 졸업 후 첫 일자리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 및 상호작용을 포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의사결정 나무 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적용하여 차별화하였다. 즉, 기존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많은 요인을 분류, 예측한 결과를 비교적 해석하기 쉬운 나무구조로 제시하고, 요인들 간의 우선순위 및 상호작용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과 그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우선순위 및 그 영향 정도, 상호작용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대학 생활 경험인 진로 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 졸업대학의 교육인프라 및 교육과정과 관련된 변수 위주로 살펴보았다. 즉, 첫 일자리 만족도 관련 다양한 요인 중 대학교육 관련 요인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첫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학의 구체적인 개선 및 지원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4년제 대학 전체 졸업생과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과대학 맞춤형 지원 설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즉, 첫 일자리 만족도 관련 다양한 요인 중 대학교육 관련 요인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첫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학의 구체적인 개선 및 지원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4년제 대학 전체 졸업생과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과대학 맞춤형 지원 설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공학교육의 질적 강화 및 공과대학 졸업생의 졸업 후 첫 일자리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하여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우선순위 및 그 영향 정도, 상호작용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첫 일자리 만족도 관련 다양한 요인 중 대학교육 관련 요인인 대학 재학 중 진로선택 및취업준비 프로그램 참여여부, 졸업대학의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 만족도에 초점을 두어 공학교육의 질적 강화 및 공과 대학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원준.김종인.김정원(2008).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1), 17-36. 

  2. 김영은.한지영.오명숙(2013). 성별에 따른 공과대학 졸업생의 취업 및 진로개발 단계의 특징 분석. 공학교육연구, 16(5), 19-28. 

  3. 김우영(2017). 대학전공별 첫 직장의 입직 및 직무만족도: 공학계열 정원확대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제연구, 35(2), 113-142. 

  4. 김혜숙.길혜지(2017). 대졸자의 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 특성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8(1), 145-167 

  5. 노경란.박용호.허선주(2011a).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 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9(1), 63-92. 

  6. 노경란.박용호.허선주(2011b). 대졸 청년층의 대학 재학 중 경험한 교육서비스와 직장이동과의 관계 분석: 첫 직장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0(1), 29-49. 

  7. 박정주(2011). 청년여성 임금근로자의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교육연구, 30(2), 213-229. 

  8. 박화춘.박천수(2019). 진로교과목과 직장체험 참여 경험이 일자리 만족, 직업과 적성 및 전공 일치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32(3), 109-137 

  9. 방하남.김상욱(2009).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분석, 한국사회학, 43(1), 56-88. 

  10. 백병부.황여정(2009).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2(2), 123-146. 

  11. 서화정.김병주(2016). 취업준비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34(3), 51-75. 

  12. 신선미(2017). 대졸자의 첫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주는 일자리 특성 - 인구학적 하위집단 간 비교분석 -. 2017 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분과 13 발표논문, 822-848. 

  13. 안재영.이병욱(2015). 특성화 고교출신 임금근로자의 첫 직장 만족도와 직무 관련요인 및 이직 가능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2), 113-129. 

  14. 오성욱(2013).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4), 93-117. 

  15. 오윤정.유희영(2020). 전공만족도와 지기효능감이 대학 졸업자의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매개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20(21), 323-341. 

  16. 우주형.이미영(2018). 디자인 전공이 졸업자의 취업과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 졸업자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9(1), 357-368. 

  17. 원세림.남수경(2019). 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8(3), 53-79. 

  18. 유현숙.조영하(2005). 고등교육기관졸업자의 전공일치 취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 32(4), 223-244, 한국교육개발원. 

  19. 유현옥.김은비(2016). 2-3년제 대졸 청년의 직업가치 유형과 첫 일자리 만족도 및 이직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5), 127-147. 

  20. 윤정이(2020). 진로.취업프로그램이 이공계열 대학졸업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20(7), 857-878. 

  21. 이승구.이제경(2008). 한국 대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1(3), 1-25. 

  22. 이영민.이수영(2010).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 행동 분석 - 취업 후 고용형태 와 근무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 평생교육.HRD연구, 6(2), 77-98 

  23. 이영민.이수영.임정연(2013). 4년제 대학 예체능계열 졸업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52(1), 1-28. 

  24. 이자형.연보라(2012).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의 결정요인.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2(4), 199-226. 

  25. 이정민 외(2019). 비연속시간 생존혼합분석을 이용한 대졸자의 첫 일자리 획득시점 및 직업가치 결정요인 탐색과 삶의 만족도 차이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20(3), 745-772. 

  26. 임정연.이영민(2008).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 준비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5-47. 

  27. 정주영(2013).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1(1), 53-83 

  28. 조대연.두민영(2016).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8(1), 29-56. 

  29. 주영주.한상윤(2015). 대졸 청년층의 학교 지원 및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내재적 직업가치 및 외재적 직업가치가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2), 53-75. 

  30. 한순희(2017).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교수절차와 지원요소 도출: 국내외 공과대학 사례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9), 935-942. 

  31. 황해정(2020). 뷰티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10(11), 288-295. 

  32. Bardasi, E., & Francesconi, M(2004). The impact of atypical employment on individual wellbeing: Evidence from a panel of British worker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8(9), 1671-1688. 

  33. Hemelt, S. W.(2010). The college double major and subsequent earnings. Education Economics, 18(2), 167-189. 

  34. Hoff, D. A., Andersen, A. & Holstein, B. E.(2010). Poor school satisfaction and number of Cannabis using peers within school classes as individual risk factors for Cannabis use among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5), 547-556. 

  35. Kass, G. V.(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d statistics, 119-127. 

  36. Shmueli, G., Patel, N. R. & Bruce, P. C.(2011). Data mining for business intelligence: 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Microsoft Office Excel with XLMiner. John Wiley and Sons. 

  37. Wolniak, G. C. & Pascarella, E. T.(2005). The effects of college major and job field congruence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233-2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