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노인의 고혈압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및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in the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543 - 553  

김애실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  배한주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8년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신체활동, 체질량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자는 고혈압 진단을 받은 여성노인 550명, 고혈압 진단을 받지 않은 여성노인 375명으로 구성되었다.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다중 선형 회귀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나이, 교육,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예측인자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6.9%였다(F=14.30, p<.001). 즉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t=3.02, p=.003), 체질량 지수가 낮을수록(t=-3.12, p=.002), 우울이 낮을수록(t=-7.6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반면, 비고혈압군에서 교육과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인자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31.7%였다(F=5.37, p<.001). 즉, 우울이 낮을수록 (t=-5.53,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혈압 질환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다른 구체적 신체활동의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와 여성노인의 우울 및 비만 감소를 위한 신체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using the results of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18.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Specifically...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학기술의 발전과 저출산,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노인층의 인구가 증가되어 노년기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와 향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7, 27]. 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고혈압군과 비고혈압군으로 분류하여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하고자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고혈압 유무에 따라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신체활동량을 MET로 환산하여 분석한 결과, 지난 7일간 599MET 이하의 저-신체활동군은 고혈압군에서 78.
  • 본 연구는 여성 노인의 고혈압 질환 유무에 따라 고혈압군과 비고혈압군으로 분류하여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로서,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고혈압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여성노인들의 우울 예방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여 주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으로 가족과 지역사회 등의 사회적 지지체계 연계망을 확충하여 지속적 관리가 될 수 있는 통합적인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인과관계를 설명하기보다는 변수들의 관계성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여성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 요인을 반영해 건강을 유지 증진 시킬 수 있는 추가 연구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한다.
  • P01-202009-22-003). 본 연구자는 공식적으로 일반인에게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https://knhanes.cdc.go.kr/)에서 이용절차 지침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 후 개인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가상의 번호로 분류된 원시 자료를 제공받았기에 대상자의 익명성과 기밀성이 보장되었다.
  • 선행연구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련이 있는 변인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한국인 여성노인 모집단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혈압질환 유무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혈압 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노인의 고혈압 관리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중재를 준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Hypertension. [cited 2020 April 24].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health-topics/hypertension/#tabtab-1 

  2. H. C. Kim, M. C. Cho, "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18", Clinical hypertension, Vol.24, No.13, pp.1-4, October, 2018. DOI: https://doi.org/10.1186/s40885-018-0098-0 

  3.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for user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2018. [cited 2020 April 2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35001-A667421&vw-cdMT-ZTITLE&list-id350-35001-6&seqNo&lang-modeko&languagekor&obj-var-id&itm-id&conn-pathMT-ZTITLE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Information Portal. 2016. [cited 2020 October 2]. 

  5. J. H. Kim, A. Ebinger, J. E. Niiranen, T. J. Claggett, B. L. Merz, C. N. B., S. Cheng, (2020). "Sex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trajectories over the life course", JAMA cardiology, Vol.5, No.3, pp.19-26, January, 2020. DOI: http://doi.org/10.1001/jamacardio.2019.5306 

  6. National Statistical Office, Life Table,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No. 101035. 2019 https://www.index.go.kr/potal/info/idxKoreaView.do?idx-cd2758 

  7. disease control center. 2020. [cited 2020 April 24].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board.es?mida20602010000&bid0034&actview&list-no367214 

  8. N. L. Marpillat, I. Macquin-Mavier, A. I. Tropeano, A. C. Bachoud-Levi, P. Maison, "Antihypertensive classes, cognitive decline and incidence of dementia: a network meta-analysis", Journal of hypertension, Vol.31, No.6, pp.1073-1082, 2013. 

  9. M. J. Calvert, N. Freemantle, "U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rescribing research. Part 1: why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Vol.28, No.6, pp.513-521, 2003. 

  10. H. Y. Ko, J. K. Lee, J. Y. Shin, E. J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6, No.6, pp.349-356, November, 2015. DOI: https://doi.org/10.4082/kjfm.2015.36.6.349 

  11. B. Langhammer, A. Bergland, Rydwik, E.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exercise among older people".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Special Issue, pp.1-3, October, 2018. DOI: https://doi.org/10.1155/2018/7856823 

  12. G. Cardenas Fuentes, R. A. Bawaked, M. A. Martinez Gonzalez, D. Corella, I. Subirana Cachinero, J. Salas-Salvado, M. Fiol,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with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incidence of obesity in older adult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28, No.5, pp.944-950, October, 2018. DOI: https://doi.org/10.1093/eurpub/cky030 

  13. A. C. Goulart, K. M. Rexrode,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the elderly: a review". Current Cardiovascular Risk Reports, Vol.1, No.4, pp.340-347, August, 2007. DOI: https://doi.org/10.1038/sj.ijo.0803005 

  14. A. Pandey, M. LaMonte, L. Klein, C. Ayers, B. M. Psaty, C. B. Eaton, J. D. Berry,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risk of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69, No.9, pp.1129-1142, March, 2017. DOI: https://doi.org/10.1016/j.jacc.2016.11.081 

  15. J. R. Banegas, E. Lopez-Garcia, A. Graciani, P. Guallar-Castillon, J. L. Gutierrez-Fisac, J. Alonso, F. Rodriguez-Artalejo,"Relationship between obes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 Rehabilitation, Vol.14, No.3, pp.456-462, January, 2007. DOI: https://doi.org/10.1097/HJR.0b013e3280803f29 

  16. Y. H. Oh, J. H. Moon, M. H. Kong, B. J. Oh, H. J. Kim, "The Association between Sitting Ti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Elderly Korean".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Vol.17, No.4, pp.209-218, November, 2017. DOI: https://doi.org/10.15384/kjhp.2017.17.4.209 

  17. L. D. S. S. C. B. de Oliveira, E. C. Souza, R. A. S. Rodrigues, C. A. Fett, A. B. Piva,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Trends in psychiatry and psychotherapy, Vol.41, No.1, pp.36-42, Jun, 2019. DOI: https://doi.org/10.1590/2237-6089-2017-0129 

  18. Y. H. Oh, "The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s and policy considerations". In Health Welf Policy Forum, Vol.223, pp. 29-39, May, 2015. 

  19. G. M. Van Dijk, M. Kavousi, J. Troup, O. H. Franco, "Health issues for menopausal women: the top 11 conditions have common solutions". Maturitas, Vol.80, No.1, pp.24-30, September, 2015. DOI: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14.09.013 

  20. K. A. Kim, S. Y. Hwang, "Impact of physical activity, central obesity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ardiovascular risk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Secondary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9, No.4, pp.382-392, August, 2017. DOI: https://doi.org/10.7475/kjan.2017.29.4.382 

  21. C. H. Lin, S. L. Chiang, P. Yates, M. S. Lee, Y. J. Hung, W. C. Tzeng, L. C. Chia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level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4, No.9-10, pp.1234-1245, May, 2015. DOI: https://doi.org/10.1111/jocn.12683 

  22. R. C. Weisell, "Body mass index as a indicator of obesity".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11, pp.S681-S684, December, 2002. DOI: https://doi.org/10.1046/j.1440-6047.11.s8.5.x 

  23. K. Kroenke, R. L. Spitzer, J. B. Williams,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16, No.9, pp.606-613, 2001. DOI:https://doi.org/10.1046/j.1525-1497.2001.016009606.x 

  24. Jeon, J. A. Korean women's mental health indicators. Health and Welfare Forum. Vol.235, pp.47-60, 2016.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40371 

  25. Group, T. E.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Vol.16, No.3, pp.199-208, 1990. DOI:https://doi.org/10.1016/0168-8510(90)90421-9 

  26. S. I. Lee,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Vol.40, No.59, pp.1-106, 2011.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300000474 

  27. Y. C., Kim, J. Paik, "The effects of 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7, pp.279-287, July,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79 

  28. F. Orfila, M. Ferrer, R. Lamarca, C. Tebe, A. Domingo-Salvany, J. Alonso,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the role of objective functional capacity and chronic condition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3, No.9, pp.2367-2380, August, 2006. DOI: https://doi.org/doi:10.1016/j.socscimed.2006.06.017 

  29. J. An, H. Y. Choi, "Trend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2, No.2, pp.149-165, August, 2018.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8.32.2.275 

  30. Y. J. Son, Song E. K.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9, No.1, pp.6-15, February, 2012. DOI: https://doi.org/doi:10.7739/jkafn.2012.19.1.006 

  31. D. P. Guh, W. Zhang, N, Bansback, Z. Amarsi, C. L. Birmingham, A. H. Anis, "The incidence of co-morbidities related to obesityand overweigh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Vol.9, No.88, pp.382-392, March, 2009.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9-88 

  32. K. Lee, "Gender-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Public Health Nutrition. Vol.15, No.10, pp.1917-1924, February, 2012. DOI: https://doi.org/10.1017/S136898001100365X 

  33. J. Chung, M. Lee, M. Kim,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health-related habits and nutrients intak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5, No.4, pp.445-459, August, 2010. 

  34. C. Rosendorff, H. R. Black, C. P. Cannon, B. J. Gersh, J. Gore, J. L. Izzo Jr, S. Oparil,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for High Blood Pressure Research and the Councils on Clinical Cardiology and Epidemiology and Prevention". Circulation, Vol.115, No.21, pp.2761-2788, May, 2007. https://www.ahajournals.org/doi/full/10.1161/circulationaha.107.183885 

  35. J. A. Lee, "Relationship between Grip Strength and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Vol.19, No.3, pp.53-60, July, 2017. DOI: https://doi.org/10.15758/jkak.2017.19.3.53 

  36. M. R. Moraes, R. F. Bacurau, D. E. Casarini, Z. P. Jara, F. A. Ronchi, S. S. Almeida, C. C. Barros, "Chronic conventional resistance exercise reduces blood pressure in stage 1 hypertensive men".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Vol.26, No.4, pp.1122-1129, 2012. DOI: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22dfc5e 

  37. J. H. Kim, J. Y. Park,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5, No.9, pp.210-222, September,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210 

  38. Y. C. Kim, J. Paik, "The effects of 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7, pp.279-287, July,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79 

  39. J. I. Kim,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4, No.1, pp.99-109. January, 201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99 

  40. M. Haseda, N. Kondo, T. Ashida, Y. Tani, D. Takagi, K. Kondo, "Community social capital, built environment, and income-based inequality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people in Japan: An ecological study from the JAGES project". Journal of epidemiology, pp.1-9, October, 2017. DOI: https://doi.org/10.2188/jea.JE20160216 

  41. M. J. Park, M. Y. Chung, "Effects of Anxiety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31, No.1, pp.24-33, March, 2020.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1.24 

  42. J. Yeom, J. S. Park, D. H. Kim, "A study of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2, No.4, pp.1101-1118, November, 2012.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235154450014.p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