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체질량지수 관련 요인: 전기 및 후기 노인 비교
Body Mass Index (BMI)-Related Factor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Elderly Peopl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1, 2013년, pp.62 - 73  

현혜순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BMI between early and late elderly people, and factors having influence of them. Methods: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secondary data that used the raw materials from the KNHANES from 2008 to 2010. The subjects involved in the final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노인의 경우 다른 생애주기와 달리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약 20~30년의 넓은 연령 범위를 가진 노인 모두를 한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연령의 차이에 따른 전·후기 노인의 건강상태 및 문제의 차이를 간과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Lee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연령군별 체질량지수와 관련요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른 체질량지수 관련 요인을 비교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노인의 연령군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 및 식이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한 체중관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연령구분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연령군(전기·후기)에 따른 체질량 지수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의 연령군(전기 및 후기)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차이를 확인하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연령군에 따른 노인의 적정 체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층의 비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비만의 경우, 최근 선진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도 그 유병률이 급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소득수준의 향상 및 식생활습관의 서구화 경향으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년층의 비만 유병률은 1995년에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최근 노년기 비만율은 다른 연령대와 비교할 때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며 건강 및 사회문제로 새로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Bae et al., 2009).
노인들과 마주하는 간호사들에게 어떤 요인들이 체중상태와 관련이 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노인들과 지역사회 간호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간호사들은 노인들로 하여금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도움을 주여야 하기 때문에 어떤 요인들이 체중상태와 관련이 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른 체질량지수 관련 요인을 비교하고자 실시된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른 체질량지수 관련 요인을 비교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노인의 연령군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 및 식이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한 체중관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연령구분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연령군을 전기(65~74세)와 후기(75세 이상)로 구분하여 전기 및 후기 노인의 체질량지수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질환수, 씹기문제, 하루 평균 식사횟수로 확인되었고, 후기노인에서는 흡연, 주관적 건강감, 질환수, 씹기문제가 체질량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질환수, 씹기문제 등은 전 ‧ 후기 노인 모두에서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전기 노인에서는 특히, 하루평균 식사횟수가, 후기 노인에서는 주관적 건강감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노인 연령군에 따른 체질량지수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노인의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N. K., Kwon, I., & Cho, Y. C. (2009). Ten year change of body mass index in Korean: 1997-2007.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8 (1), 24-30. 

  2. Berraho, M., Nejjari, C., Raherison, C., ElAchhab, Y., Tachfouti, N., Serhier, Z., et al. (2010). Body mass index, disability, and 13-year mortality in older French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2 (1), 68-83. 

  3. Chae, K. H., Won, C. W., Choi, H., & Kim, B. S. (2010). Obesity indices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65 years and older.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 (7), 540-546. 

  4. Cho, Y. H. (2007).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and status of body mass index in rural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 (4), 897-912. 

  5. Choi, H. (2009).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s of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 by dental health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6. Choi, J. H., Kim, M. H., Cho, M. S., Lee, H. S., & Kim, W. Y. (2002).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attern by BMI in Korea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5 (4), 480-488. 

  7. Donini, L. M., Savina, C., & Cannella, C. (2003). Eating habits and appetite control in the elderly: The anorexia of aging.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5 (1), 73-87. 

  8. Ferra, A., Bibiloni, D. M., Zapata, M. E., Pich, J., Pons, A., & Tur, J. A. (2012). Body mass index,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 free living elderly people in menorca island.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6 (4), 298-305. 

  9. Hickson, M. (2006). Malnutrition and ageing.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82, 2-8. 

  10. Kim, J. S., Kim, Y. H., & Yu, J. O. (2011). Factors contributing to low weight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 (4), 429-437. 

  11. Kim, N. S., Moon, O. R., Kang, J. H., Lee, S. Y., Jeong, B. G., Lee, S. J., et al. (2001).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related disease for Koreans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4 (4), 309-315.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Retrieved June 22, 2011, from http://knhanes.cdc.go.kr/ 

  1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Census of elderly population in Korean 2011 year. Seoul: Author. 

  14. Krall, E. A., Hayes, C., Garcia, R. (1998). How dentition status and masticatory function affect nutrient intak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29 (9), 1261-1269. 

  15. Lee, M. S. (2012). Nutritional risk,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 (1), 12-22. 

  16. Lee, I. S., Ko, Y., & Lee, K. O. (2012).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frailty preventing multi-factorial program concentrated on local community for high-risk younger and olde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 (2), 201-211. 

  17. Lee, J. H. (2004). Effect of body weight on mental health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8 (2), 102- 106. 

  18. Lee, K. S., Hwang, I. C., Kim, S. S., & Kim, K. K. (2009). Perception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8 (3), 116-122. 

  19. Lee, S., Jeon, S., & Lee, J. (2008). Factors related with low body weight in older adults at a urban-rural composite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 (1), 105-121. 

  20. Oh, Y., Bae, W., & Kim, O. (2006).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 (3), 461-476. 

  21. Ritchie, C. S., Joshipura, K., Silliman, R. A., & Miller, B. (2000). Oral health problems and significant weight lo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55 (7), M366-M371. 

  22. Statistics Korea. (2010). 2010 elderly statistics. Retrieved Oct. 28, 2011, from http://kostat.go.kr 

  23. Statistics Korea. (2011). 2011 elderly statistics. Retrieved Feb. 20, 2013, from http://kostat.go.kr 

  24. Woo, J., Leung, J., & Kwok, T. (2007). BMI,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adults. Obesity, 15 (7), 1886-1894. 

  25. Yan, L. L., Daviglus, M. L., Liu, K., Pirzada, A., Garside, D. B., Schiffer, L., et al. (2004). BMI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65 years and older. Obesity Research, 12 (1), 69-76. 

  26. Yeom, J., Kim, J. K., & Crimmins, E. M.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among older adults: A comparison study of the U.S., Japan,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4), 1477-1498. 

  27. Yim, K. S., & Lee, T. 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of elderl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7 (3), 210-222. 

  28. Yoo, J., & Yoo, K. (2006). The influence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n body weight and exercise abilitie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8 (4), 185-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