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F-κB와 MAPK 억제를 통한 스테비아 잎의 항염증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Stevia Rebaudiana as a Results of NF-κB and MAPK Inhibition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6 no.3, 2013년, pp.54 - 64  

김선영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조미정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황보민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백영두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정태영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조일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지선영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tevia rebaudiana is a well-known herbal sweetener in the Korea, Japan and China, and its medical uses were originated from countries in South America. Although it has been shown the various medical effects of S. rebaudiana including contraception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s such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SRE에 의한 LPS 유도성 염증매개인자의 유리 억제에 있어 세포 내 MAPK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식세포에서 SRE가 LPS에 의해 증가하는 MAPK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Raw264.
  • rebaudian 추출물의 항염 소재로서의 연구와 그 염증억제의 분자기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 rebaudian 잎 메탄올 추출물이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나타나는 급성 염증관련 지표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SRE의 항염증 효능 및 이에 대한 분자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 rebaudian 잎 메탄올 추출물 (SRE)의 신규 약리 효능으로서 염증성 질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 rebaudian 잎 메탄올 추출물을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 전처치한 후, LPS로 유도한 NO 생성, iNOS 발현 및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등의 염증성 cytokine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또한 SRE가 염증반응의 주요 신호전달 분자인 NF-κB와 MAPK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염증세포에서 신규 약리 효능의 분자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분비되는 염증매개인자 중 NO 및 prostaglandin의 유리는 염증과정의 중요 인자로 대표된다10,21).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S.rebaudian 추출물이 LPS에 의한 NO 유리를 억제할 수 있는지 관찰하였다. Raw264.
  •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LPS에 의해 활성화된 염증 매개 유전자 발현과 관련 신호 네트워크의 변화에 Stevia rebaudiana 잎 메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탕 대체감미 보조제 및 만성 질환 치료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S. rebaudian 추출물에 대한 신규 약리 효능 연구로서, 급성염증에 대한 치료효능을 대식세포주를 활용하여 규명하였고, 부분적으로 이에 관련된 분자기전을 연구하였다. 이후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이란? 염증은 인체에 침입한 외인적 병원체 또는 내인적으로 발생하는 염증인자를 인지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화되는 인체의 적극적인 방어 기전이다. 적절한 염증반응은 외인적/내인적 인자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필수 불가결한 반응이나, 과도하고 부적절한 염증 반응은 정상 조직의 파괴와 더불어 암과 대사성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Stevia rebaudian란?  Stevia rebaudian은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자생하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여러해살이풀로 설탕에 비해 약 200 - 300 배의 강한 단맛을 가져 설탕 성분을 대체할 수 있는 저칼로리의 다양한 식품의 감미소재로 활용되어 왔다3). S.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LPS에 의해 활성화된 염증 매개 유전자 발현과 관련 신호 네트워크의 변화에 Stevia rebaudiana 잎 메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어떠한 결론을 얻었는가? 1. Stevia rebaudiana 잎 메탄올 추출물 (SRE)은 Raw264.7 세포에서 3 - 100 ㎍/㎖의 농도 범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SRE는 LPS에 의해 증가한 NO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3. SRE는 LPS에 의해 유도된 PGE2 및 염증성 cytokine (TNF-α, IL-6)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4. SRE는 LPS에 의해 활성화된 IκB-α의 인산화 및 분해, NF-κB의 핵내 이동 억제를 통하여 NF-κB 신호 네트워크를 억제하였고 이와 더불어 MAP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ndt TJ, Goldsby RA, Osborne BA, Kuby J. Kuby Immunology. 6th Edit. New York:W.H. Freeman and Company. 2007:52-75. 

  2. Park SM, Byun SH, Kim YW, Cho IJ, Kim SC. Inhibitory Effect of Mori Folium ethanol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264.7 cells. Kor J Herbology. 2012;27:31-8. 

  3. Park DC, Lee YH. Production, transglycosylation and application of stevios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7;2:31-41. 

  4. Komisseranko NF, Derkuch AI, Kovalyou IP, Bublik NP. Diterpene glycoside and phenylpropanoid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astercae). Rast Res. 1994;1:53-64. 

  5. Dyrskog SE, Jeppensen PB, Colombo M, Abudula R, Hermansen K. Preventive effects of soy based diet supplemented with stevioside on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tabolism. 2005;54:1181-8. 

  6. Chan P, Xu DY, Liu JC, Chen YJ, Tomlinson B, Huang WP, et al. The effect of stevioside on blood pressure and plasma catecholamines in pontaneously hypertension rats. Life Sci. 1998;19:1679-84. 

  7. Srijani G, Anindita B, Avijit P, Sharmila C. Oxidative DNA damage preventive activ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bertoni, a natural sweetener. J Agric Food Chem. 2007;55:10962-7. 

  8. Yasukawa K, Kitanaka S, Shujiro S. Inhibitory effect of stevioside on tumor promotion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ouse skin. Biol Pharm Bull. 2002;25:1488-90. 

  9. Wang MT, Honn KV, Nie D. Cycloxygenases, prostanoids and tumor progression. Cancer Metastasis Rev. 2007;26:525-34. 

  10. Qiao-Wen X, Richard W, Carl N. Promoter of the mouse gene encoding calciumindependent nitric oxide synthase confers inducibility by interferon- ${\gamma}$ and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J Exp Med. 1993;177: 1779-84. 

  11. Rhodes KL, Golub SH, Economou JS. The regulation of the huma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promoter region in macrophage, T cell, and B cell lines. J Biol Chem. 1992;267: 22102-7. 

  12. Libermann TA, Baltimore D. Activation of interleukin-6 gene expression through the NF-kB transcription factor. Mol Cell Biol. 1990;10:2327-34. 

  13. Johnson GL, Lapadat 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mediated by ERK, JNK, and p38 protein kinases. Science. 2002;298:1911-2. 

  14. Oshima Y, Saito JI, Hikino H. Sterebins A, B, C and D, bisnorditerpenoids of Stevia rebaudiana leaves. Tetrahedron. 1986;42: 6443-6. 

  15. Oshima Y, Saito JI, Hikino H. Sterebins E, F, G and H, diterpenoids of Stevia rebaudiana leaves. Phyochemistry. 1988;27:624-6. 

  16. Dacome AS, da Silva CC, da Costa CEM, Fontana JD, Adelmann J, da Costa SC. Sweet diterpenic glycoside balance of a new cultivar of Stevia rebaudiana (Bert.) Bertoni: isolation and quantitative distribution by chromatography, spectroscopic, and electrophoretic methods. Process Biochem. 2005;40:3587-94. 

  17. Park JE, Kee HJ, Cha YS.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42:586-92. 

  18. Byun MW.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ustroinulin from Stevia rebaudiana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41:456-61. 

  19. Liew FY, Xu D, Brint EK, O’Neill LA. Negative regulation of Toll-like receptorediated immune responses. Nat Rev Immunol. 2005;5:446-58. 

  20. O'Neill LA. How Toll-like receptors signal: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know. Curr Opin Immunol. 2006;18:3-9. 

  21. Wadleigh DJ, Redddy ST, Kopp E, Ghosh S, Herschman HR.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cyclooxygenase-2 gene in endotoxinreated Raw264.7 macrophages. J Biol Chem. 2000;275:6259-66. 

  22. Byun SH, Yang CH, Kim SC. Inhibitory effect of Sct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 ${\alpha}$ , IL-1 ${\beta}$ ,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saccharide-activated Raw264.7 cells. Kor J Herbology. 2005;20:7-16. 

  23. Dong C, Davis RJ, Flavell RA. MAP kinases in the immune response. Annu Rev Immuno. 2002;20:55-72. 

  24. Palombella VJ, Rando OJ, Goldberg AL, Maniatis T.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s required for processing the NF- ${\kappa}$ B1 precursor protein and the activation of NF- ${\kappa}$ B. Cell. 1996;78:773-85. 

  25. Ki SH, Choi MJ, Lee CH, Kim SG. Galpha12 specifically regulates COX-2 induction by sphingosine 1-phosphate. Role for JNKdependent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of I kappa B alpha. J Biol Chem. 2007;282: 1938-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