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성 1인가구 소형임대주택계획을 위한 주거의식과 주거요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Housing Consciousness and Needs of Single Woman Household for the Small-sized Rental Housing Development - Focused on the Residents of Seoul, Incheon, and Gyeonggi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4, 2013년, pp.109 - 120  

김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utlines the housing consciousness and needs of single woman household. In order to analyze housing consciousness of single woman househol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housing consciousness, housing needs,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s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여성 1인가구의 주거의식 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 여성 1인가구의 주거요구를 파악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여성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의 양적공급에서 질적 환경개선으로의 방향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 이에 여성 1인가구의 주거의식 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 여성 1인가구의 주거요구를 파악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여성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의 양적공급에서 질적 환경개선으로의 방향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1인가구 주거연구가 1인가구의 물리적 환경을 주로 다루어 온 데 반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서울 및 수도권 거주 여성 1인가구의 주거의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여성 1인가구의 주거요구를 주거의식의 차원에서 파악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란 무엇인가? 1인가구란 가족 구성원이 없이 단독으로 세대가 분리되어 혼자 생활하는 가구를 말한다. 즉, 공간적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남녀이다.
현 거주지의 선택요인으로는 교통의 편리성 혹은 학교 또는 직장의 근접성 때문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으로 분석되는가? 본 조사 결과, 현 거주지의 선택요인으로는 교통의 편리성 혹은 학교 또는 직장의 근접성 때문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3]. 이는 1인가구는 가족가구가 구성원의 다양한 이동수요로 인해 거주이동성이 약한데 비하여 이러한 제약이 약하기 때문에 직주근접 경향을 강하게 나타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Lee, 2011).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다양한 가족의 유형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출산률의 감소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청장년층의 만혼·비혼 추세, 이혼·별거율의 증가 등에 따라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다양한 가족의 유형이 등장하게 되었다. 노인, 독신자, 대학생 및 취업준비자를 중심으로 한 1-2인가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M. (1974). The Single Woman in Today's Society. In A. Skoinick & J. Schoinik (eds.), Intimacy, Family and Society. Boston: Little, Brown & Co. 

  2. Altman, I., and Werner, C. (edited) (1985). Home Environments. New York and London: Plenum Press. 

  3. Byun, M., Shin, S., & Cho, K. (2008). Single Person Household and Urban Policy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4. Chang, W., & Kim, T. (2007).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12.0. Daejeon: Dakyung Publisher. 

  5. Cho, S. (1994). A Study on the User's Housing Needs for Dwelling Unit of Apartmen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0(12), 141-150. 

  6. Choi, E. (2001).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 of the oneroom housing by use'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 Han, J. (2010). A study on the unit planning of rental houses for single under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Holahan, C. (1978). Environment and Behavior: A Dynamic Perspective. New York: Plenum Press. 

  9. Hwang, J., & Lee, S. (2012). The Impact of Divorce on Tenure Choice for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1), 55-66. 

  10. Hwang, M. (2004). Housing needs for the planning of housing for one-person househol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Busan. 

  11. Kang, J. (2008). Types of housing consciousness and housing needs: focused on Seoul and metropolitan resi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Kang, J., & Yoon, C. (2009). Residents' Perception on Housing and Community - Focused o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Residen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2), 31-40. 

  13. Kang, S., Kim, J., Ham, S., & Kwon, Y. (2011). A Study on 1-2 Person Household's Lifestyle and Needs of Small Hous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2), 121-129. 

  14. Kim, H., Seon, B., Jin, M., & Sagong, E. (2007). A study on the family consciousness and the living condition of single person household.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5. Kim, J. (2012). Housing Consciousness and Needs of Single Woman Household for the Small-sized Rental Housing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Kim, L. (2010). A Study in Change of Residence Stability through Analyzing Homeownership Rate: A Case Study in Seoul, Republic of Korea(1985-2005). Seoul Studies, 11(1), 43-59. 

  17. Kim, M. (1991). Housing life styles of apartment dwellers in the city of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8. Kim, M., & Moon, H. (1997). Needs for Shared Community Spaces and Housing Consciousness among Apartment Housing Dweller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8(3), 91-98. 

  19. Kim, O., & Moon, Y. (2009). Housing analysis of one person household. Journal of Residention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7(2), 37-53. 

  20. Kim, S., & Im, M. (2005). A Study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Double-income Households Considering their Youngest Child.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0), 3-12. 

  21. Kim, Y. & Kim, H. (2003). A Study on the Prospective Housing Preference of Middle-agers in Seoul.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21, 193-202. 

  22. Lee, Y. (2011). Planning Criteria of 'Urban Housing for One Person Household' Based on Resident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Park, S., Oh, C., & Kim, S. (2005). A Comparative Study on Residents' Housing Needs between Busan and Gimhae Using the Housing Lifestyle Scal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5), 95-105. 

  24. Shim, E. (1997). The Preference of One Room Apart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5. Shin, S. (2010). Current State and Policy Directions for Quasi-Housing Establishments in Seoul.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6. Statistics Korea. (2011)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Available: http://kostat.go.kr 

  27. Stein, P. (1978). The Lifestyles and Life Changes of the Never-married. Marriage & Family Review [On-line], 1.4. Available: ProQuest. 

  28. Tan, J. (2010). Social Relationships in the Modern Age: Never-married Women in Bangkok, Jakarta and Manil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1(5), 749-765. 

  29. Yang, E. (2005). Study of life and career development of the highly educated never-married career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0. Yoon, B., & Ji, S. (1992). Housing. Seoul: Shinkwang Publishe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