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재활 환자의 기능적 의존도와 스트레스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 Dependency and Str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0 no.2, 2013년, pp.81 - 90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최수영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송지현 (제주 한마음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Ninety-two stroke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from 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 후 재활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적 의존도와 스트레스,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 뇌졸중 재활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재활 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적 의존도, 스트레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재활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에서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인가? 뇌졸중 재활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은 스트레스, 기능적 의존도, 장해 유형 및 연령순이었다. 뇌졸중 재활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스트레스는 연령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의존도 또한 65세 이상 노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위험요인으로 확인된 기능적 의존도 및 스트레스가 높은 고령의 뇌졸중 재활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개선을 위하여 스트레스의 주기적 사정 및 관리를 포함한 일상생활 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무에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뇌졸중 발병 후 생존 환자는 어떠한 것으로 보고되는가? 뇌졸중 발병 후 생존 환자의 30~50%는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게 되는데(Jo̸rgensen et al., 1999),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동반한 환자는 일상생활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사회적 역할 및 대인관계에서도 제한을 받게 되고, 장기적인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면서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은 만성질환의 증가 및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당뇨병, 관절염 등 다양한 만성질환 대상자의 장기적인 예후 평가 지표로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만성적인 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재활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 평가를 위해서도 중요한 개념이다(Carod-Artal & Egido, 2009).
뇌졸중은 세계적으로 어떤 추세에 있는가? 뇌졸중은 인구 고령화 및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해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암, 허혈성 심장질환과 함께 성인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만성적인 장애(disability)를 초래함으로써 의료비 및 질병 부담을 가중시킨다(Haghgoo, Pazuki, Hosseini, & Rassafiani, 2013; Im et al., 2011; Shah,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guren, B., Fridlund, B., Cieza, A., Sunnerhagen, K. S., & Christensson, L.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A 1-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6 (3), 266-274. http://dx.doi.org/10.1177/1545968311414204 

  2. Aprile, I., Piazzini, D. B., Bertolini, C., Caliandro, P., Pazzaglia, C., Tonali, P., et al. (2006). Predictive variables on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out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Neurological Sciences, 27 (1), 40-46. http://dx.doi.org/10.1007/s10072-006-0563-5 

  3. Baune, B. T., & Aljeesh, Y. (2006). The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stres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stroke and hypertension in Gaza Strip.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5 (6). http://dx.doi.org/10.1186/1744-859x-5-6 

  4. Berges, I. M., Ottenbacher, K. J., Kuo, Y. F., Smith, P. M., Smith, D., & Ostir, G. V. (2007).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poststroke: Effect of sex differences in pain respons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 (4), 413-417. http://dx.doi.org/10.1016/j.apmr.2006.12.022 

  5. Bruggimann, L., Annoni, J. M., Staub, F., von Steinbuchel, N., Van der Linden, M., & Bogousslavsky, J. (2006).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nonsevere stroke. Neurology, 66 (4), 513-516. http://dx.doi.org/10.1212/01.wnl.0000194210.98757.49 

  6. Buyn, P. S., & Chon, M. Y. (2012).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on improvement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shoulder pain and stres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 (1), 46-56. http://dx.doi.org/10.5953/JMJH.2012.19.1.046 

  7. Carod-Artal, F. J., & Egido, J. A. (2009).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The importance of a good recovery. Cerebrovascular Diseases, 27 (Suppl 1), 204-214. http://dx.doi.org/10.1159/000200461 

  8. Cho, B. H., Ko, M. H., & Kim, S. Y. (2003). A study on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 (1), 51-60. 

  9. Ergeletzis, D., Kevorkian, C. G., & Rintala, D. (2002). Rehabilitation of the older stroke patient: Functional outcome and comparison with younger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1 (12), 881-889. 

  10.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2), 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1. Gosman-Hedstrom, G., Claesson, L., & Blomstrand, C. (2008). Consequences of severity at stroke onset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and informal care: A 1-year follow-up in elderly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7 (1), 79-91. http://dx.doi.org/10.1016/j.archger.2007.07.006 

  12. Haghgoo, H. A., Pazuki, E. S., Hosseini, A. S., & Rassafiani, M. (2013).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28 (1-2), 87-91. http://dx.doi.org/10.1016/j.jns.2013.02.027 

  13. Hansson, E. E., Beckman, A., Wihlborg, A., Persson, S., & Troein, M. (2013).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in relation to self-perceived quality of life and function among patients with stroke - a 12 month follow-up.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7 (2), 373-379. http://dx.doi.org/10.1111/j.1471-6712.2012.01041.x 

  14. Im, J. H., Lee, K. S., Kim, K. Y., Hong, N. S., Lee, S. W., & Bae, H. J. (2011). Follow-up study on mortality in Korea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 (11), 1199-1208. http://dx.doi.org/10.5124/jkma.2011.54.11.1199 

  15. Jorgensen, H. S., Kammersgaard, L. P., Nakayama, H., Raaschou, H. O., Larsen, K., H?bbe, P., et al. (1999).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n a stroke unit improves 5-year survival: A community-based study. Stroke, 30 (5), 930-933. http://dx.doi.org/10.1161/01.str.30.5.930 

  16.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 K., Pyun, S. B., Paik, N. J., et al. (2007).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 (3), 283-297. 

  17. Kim, J. S. (2005). Post-stroke depression, anxiety, emotional incontinence, anger-proneness and fatigu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3 (1), 1-8. 

  18. Kim, K. N., Park, J. Y., Shin, T. S., Jun, K. J., Choi, E. Y., Kim, H. J., et al. (1998). Degree of stress and stress-related factors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BEPSI.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 (7), 559-570.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2). (11-1351159-000027-1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 Kwon, Y. D., Chang, H., Choi, Y. J., & Yoon, S. S. (2012). Nationwide trends in stroke hospitalization over the past decad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 (10), 1014-1025.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1014 

  21. Lee, Y. K., Nam, H. S., Chuang, L. H., Kim, K. Y., Yang, H. K., Kwon, I. S., et al. (2009).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12 (8), 1187-1193. http://dx.doi.org/10.1111/j.1524-4733.2009.00579.x 

  22. Lim, N. Y., Lee, I., Lee, E. N., Lee, K. S., Cho, K. S., Rhee, S., et al. (2010). A validation study of EQ-5D in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7 (2), 203-211. 

  23. Manimmanakorn, N., Arrayawichanon, P., Wattanapun, P., Nuntharuksa, C., & Kuptniratsaikul, V. (2008). Age-related rehabilitation outcom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Medical Association of Thailand, 91 (3), 388-393. 

  24. Moon, J. Y., & Cho, B. H. (2011). Relationships among rehabilitation motivation,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4 (1), 24-31. 

  25. Park, E. Y., Shin, I. S., & Kim, J. H. (2012).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4), 537-54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37 

  26. Park, S. W., Jang, K. E., Lee, H. S., & Park, D. S.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anxiety, stress,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 (1), 1-8. 

  27. Patel, M. D., Tilling, K., Lawrence, E., Rudd, A. G., Wolfe, C. D., & McKevitt, C. (2006). Relationships between long-term stroke disability, handica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ge Ageing, 35 (3), 273-279. http://dx.doi.org/10.1093/ageing/afj074 

  28. Shah, M. V. (2006). Rehabilitation of the older adult with stroke.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2 (2), 469-489. 

  29. Suh, M., & Choi-Kwon, S.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 533-54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33 

  30. Yim, J. H., Bae, J. M., Choi, S. S., Kim, S. W., Hwang, H. S., & Huh, B. Y. (1996).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translated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7 (1), 4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