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체형지각 유형이 건강관심, 우울, 식이제한 및 운동실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 of Body Shape Perception on Health Concern, Depression, Dietary Restriction, and Exercise Practice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0 no.2, 2013년, pp.151 - 160  

함영림 (대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박미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ype of body shape perception on health concern, depression, dietary restriction and exercise practic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structu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대학생들의 왜곡된 신체지각에 대한 이해 없이 이들의 현재 신체상과 그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왜곡된 신체지각 즉 실체 신체 치수가 아닌 스스로 지각하는 체형 만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체중조절 행위를 이해하고 부적절한 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중재를 계획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체형 유형이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우울을 비롯한 일반적인 체중조절 형태인 식이제한, 운동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봄으로써, 왜곡된 신체지각이 체중 조절 행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올바른 신체상 확립과 왜곡된 신체지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 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하고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의 특징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지각은 실제 자신의 신체치수에 대한 정확한 정보로 평가되기 보다는 주관적 인식과 정서적 반응에 의해 좌우된다(Nam & Lee, 2001). 특히 대학생 시기는 신체적 외모와 연관된 사회적 압력에 민감하고 신체적 자기평가를 통해 정체성과 자기가치를 형성하는 시기로(Crocker & Wolfe, 2001), 많은 대학생들이 신체에 대한 왜곡된 기준을 내재화시켜 자신의 신체상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Kim, 2010; Yom & Lee, 2011). 일부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건강손상의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맹목적으로 무리한 체중조절을 시도하기도 하는데(Suh, 2013), 이들은 체중조절을 위한 가장 중심이 되는 방법으로 운동이 아닌 식이요법 및 식사제한, 단식을 주로 선택하고 있다(Chaung, 2001).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체중조절을 위한 가장 중심이 되는 방법으로 선택한 것은 무엇인가? 특히 대학생 시기는 신체적 외모와 연관된 사회적 압력에 민감하고 신체적 자기평가를 통해 정체성과 자기가치를 형성하는 시기로(Crocker & Wolfe, 2001), 많은 대학생들이 신체에 대한 왜곡된 기준을 내재화시켜 자신의 신체상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Kim, 2010; Yom & Lee, 2011). 일부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건강손상의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맹목적으로 무리한 체중조절을 시도하기도 하는데(Suh, 2013), 이들은 체중조절을 위한 가장 중심이 되는 방법으로 운동이 아닌 식이요법 및 식사제한, 단식을 주로 선택하고 있다(Chaung, 2001). 과체중인 사람들은 물론 정상체중이나 저체중인 사람들까지도 스스로를 비만이라 인식하며 체중감소를 위해 운동요법이 아닌 식이제한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Kim, 2010; Suh, 2013), 이러한 체중감소를 위한 사용하는 부적절한 식이제한은 영양 상태 불량으로 인한 전반적인 신체 기능저하 뿐만 아니라 성장장애, 골다공증, 어지러움, 의욕상실 등을 비롯하여 거식증, 폭식증 등의 섭식장애, 우울과 같은 정신적 문제까지 초래할 수 있다(Chung & Lee, 2010; Kim, Kim, & Jung, 2012).
맹목적으로 무리한 체중조절을 위한 부적절한 식이제한이 신체에 끼치는 영향은? 일부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건강손상의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맹목적으로 무리한 체중조절을 시도하기도 하는데(Suh, 2013), 이들은 체중조절을 위한 가장 중심이 되는 방법으로 운동이 아닌 식이요법 및 식사제한, 단식을 주로 선택하고 있다(Chaung, 2001). 과체중인 사람들은 물론 정상체중이나 저체중인 사람들까지도 스스로를 비만이라 인식하며 체중감소를 위해 운동요법이 아닌 식이제한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Kim, 2010; Suh, 2013), 이러한 체중감소를 위한 사용하는 부적절한 식이제한은 영양 상태 불량으로 인한 전반적인 신체 기능저하 뿐만 아니라 성장장애, 골다공증, 어지러움, 의욕상실 등을 비롯하여 거식증, 폭식증 등의 섭식장애, 우울과 같은 정신적 문제까지 초래할 수 있다(Chung & Lee, 2010; Kim, Kim, & Ju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ung, S. K. (2001).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 (3), 163-175. 

  2. Choi, S. W. (2010). Relationship between fitness locus of control, exercise attitudes, and intention of exercise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Incheon. 

  3. Chung, H. K., & Lee, H. Y. (2010). The concepts of weight control and dietary behavior in high school senior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3 (6), 607-619. http://dx.doi.org/10.4163/kjn.2010.43.6.607 

  4.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 (3), 593-623. http://dx.doi.org/10.1037/0033-295X.108.3.593 

  5. Dunkley, D. M., & Griloc, C. M. (2007). Self-criticism, low self-esteem, depressive symptoms, and over-evaluation of shape and weight in binge earing disorder pati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 (1), 139-149. http://dx.doi.org/10.1016/j.brat.2006.01.017 

  6. Gingras, J., Fitzpatrick, J., & McCargar, L. (2004). Body image of chronic dieters: Lowered appearance evaluation and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4 (10), 1589-1592. http://dx.doi.org/10.1016/j.jada.2004.07.025 

  7. Groesz, L. M., Levine, M. P., & Murnen, S. K. (2002). The effect of experimental presentation of thin media images on body satisfaction: A meta-analy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1 (1), 1-16. http://dx.doi.org/10.1002/eat.10005 

  8. Je, H. J., Lee, K. H., Sakong, J. K., Song, C. J., & Sohn, I. K. (2003). Eating attitudes and the body-shape change i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9 (1), 98-105. 

  9. Kim, B. H., & Choi, J. H. (2009). Perceived body image, intentional caloric restriction and physical manifestations of unbalanced nutrit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of Nursing, 15 (4), 359-366.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4.359 

  10. Kim, D. H., & Kim K. H. (2010). The study of satisfaction of somatotype for women in twenties on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ideal somatotype -Based on the obesit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 (2), 82-97. 

  11. Kim, H. K., Kim, J. H., & Jung, H. K. (2012).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5 (4), 336-346. http://dx.doi.org/10.4163/kjn.2012.45.4.336 

  12. Kim, J. G. (2012). Perception of body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i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ercise regularity.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4 (1), 115-123. 

  13. Kim, K. I., Kim, J. W., & Won, H. T. (1984). SCL-90-R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Jungang Aptitude Publisher. 

  14. Kim, M. S. (2010). Study on weight control attitude, obesity stress,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s by actual overweight status and overestimated self body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Pochon. 

  15. Kim, Y. S., & Kong, S. S. (2004). A study on weight-control behaviors, eating disorder symptoms and depression among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 (3), 304-314. 

  16. Lee, J. 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nutrition knowledge, nutrient intake, eat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dancing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9 (4), 501-510. 

  17. Lee, S. S., & Oh, K. J. (2004). The effect of shape and weight based self-evalu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1), 91-106. 

  18. Lee, Y. M. (2004).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 of body shape and body image on their negative emo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 (8), 133-145. 

  19. Mase, T., Miyawaki, C., Kouda, K., Fujita, Y., Ohara, K., & Nakamura, H. (2013). Relationship of a desire of thinness and eating behavior among Japanese underweight female students. Eating and Weight Disorders, 18 (2), 125-132. http://dx.doi.org/10.1007/s40519-013-0019-x 

  20. McCarthy, M. (1990). The thin ideal,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in wome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8 (3), 205-214. http://dx.doi.org/10.1016/0005-7967 (90)90003-2 

  21. Nam, Y. J., & Lee, S. H. (2001). Comparison of perceived body size and actual body siz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 (4), 764-772. 

  22. Noh, J. H. (2009). Sexual differences of college students in health-concerns,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hab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3. Paek, K. S. (2002). A study on obesity index, body shape satisfaction and body shape esteem according to weight perception in elementary students. The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3 (1), 115-123. 

  24. Pagoto, S., Bodenlos, J. S., Kantor, L., Gitkind, M., Curtin, C., & Ma, Y. (2007). Association of major depression and binge eating disorder with weight loss in a clinical setting. Obesity, 15 (11), 2557-2559. http://dx.doi.org/10.1038/oby.2007.307 

  25. Stunkard, A. J., Sorensen, T. I., & Schulsinger, F. (1980). Use of the danish adoption register for the study of the heritability of obesity and thinness. In S. S. Kety, L. P. Rowland, R. L. Sidman, & S. Mathysee (Eds.), The Genetics of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pp. 115-120). New York, NY: Raven Press. 

  26. Suh, M. K. (2013). The relationship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psycholosic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moon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27. Wilson, G. T. (1993). Relation of dieting and voluntary weight loss to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binge eating.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9 (7), 727-730. 

  28. Woo, H. J. (2008). Exploring the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television audiences' diet intention: Focused on TV program genre viewing, body image, perceptions toward health anxiety, and characteristics of planned behavio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2 (6), 290-326. 

  29. Yom, Y. H., & Lee, K. E. (2011).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4), 452-462. 

  30. Yook, Y. S., & Shim, J. Y. (2009). Analyses of eating behaviors and disorders among under weight group and normal weight group of physical university fe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 (1), 185-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