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후의 구강보건지식과 관리 및 태도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management and attitude change after health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4, 2013년, pp.569 - 579  

최미숙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김한곤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  최규일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marriage imimigrant women.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 and post education effects includ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oral health. Methods : Subjects were 51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 및 변화를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인식과 지식, 구강위생지수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일부지역 안동, 예천에 소재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한 후 구강보건지식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제 구강위생지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 연구도구는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지식, 그리고 구강위생지수를 검증하기 위한 질문지이다. 연구도구 개발을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지식에 대한 항목은 Lang 등17)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구강보건인식에 대한 문항은 백18), 신19), 장20) 등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질문지 문항을 구성하였다.
  •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 인식. 지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구강위생지수에 변화도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 이주여성들이 치료를 잘 받지 못하고 있는 영역은? 결혼 이주여성들이 치료를 잘 받지 못하고 있는 영역으로는, 정신과적 영역(우울증 치료 수진율 26.0%, 정신분열증 치료수진율 32.7%)과 생활 습관병 영역(고혈압 치료 수진율 32.2%, 고지혈증 치료수진율 39.3%), 그리고 부인과 질환 영역(자궁 근종 치료수진율 35.4% )들로 조사되고 있다3). 이와 같이 결혼 이주 여성의 전신 건강 및 정신 건강상태에 관련된 연구4-6)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7).
우리사회는 민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까닭은? 1990년 이후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이 증가되고, 동남아시아 위주의 외국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의 결혼이 급증하여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단일 민족이라는 민족의 혈통을 중시해 온 우리사회의 인구구성의 양태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우리사회는 민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2011년 1월 결혼이민자는 211,458명으로 2010년도(181,671명)에 비해 16.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구강보건지식과 관리 및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먼저,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구강지식, 치주질환, 칫솔질 영역에서 대조군에 비해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 인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지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구강지식, 치주질환, 칫솔질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 지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간이구강위생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간이구강위생지수(OHI-S)와 하위요인인 Debris Index 지수가 낮아졌다. 이는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실험군의 연구대상자가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구강관리를 지식을 함양하고 이를 실천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unicipalities foreign residents survey results. Seoul: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2: 58-65. 

  2. Lee HW, Ko ZK. Study on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medical services(the health and medical care) for the foreign workers. Hanyang Law Review. 2010; 21(3): 323-52. 

  3.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07: 145-276. 

  4. Hwang YJ. A study on the oral knowledge and the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2008. 

  5. Kim HL.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 155: 29-52. 

  6. Ahn YH.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 Korea comm health murs acad Soc. 2008; 22(2): 200-10. 

  7. Nam JY.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wome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Master's thesis]. Daegu: Univ. of Kyungbook National, 2011. 

  8. Kim JB. Preventive dentistry. 3nd ed. Seoul: Komoonsa; 1999: 120-45. 

  9. Lee HO, Yang CH, Kim J, Kim YI. Domestic disabled people's use of dental service institutes and thei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 Dent Hyg Sci 2009; 9(5): 593-600. 

  10. Song KH.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Hanyang, 2007. 

  11. Jeon ES, Jin HJ, Choi SL, Jang BJ, Jeong SY, Song KB, et al. Oral health status in women of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 33(3): 499-509. 

  12. Yun HK. A study on oral health management for immigrated women who get internationally married[Master's thesis]. Daegu: Univ. of Yeungnam, 2010. 

  13. Cho WS. Oral health car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gyungsangnam -do[Master's thesis]. Busan: Univ. of Inje, 2011. 

  14. Jang KI, Hwang YS, Kim JB.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al methode. J Korean Acad Dent Health 1987;11(1): 85-98. 

  15. Chen M, Hunter P.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New Zealand: A social perspective. Soc Sci Med 1986; 43: 1213-22. 

  16. Kowm HS, Lee SS, Lee MO. Oral health education. 2nd ed. Seoul: Cheongcu; 2006: 21-34. 

  17. Lang P, Woolfolk MW, Faja BW.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Michigan. J Pub Health Dent 1989; 49(1): 44-50. 

  18. Paik DI.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about Dental Caries among Koreans.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3; 17(1): 1-10. 

  19. Sin KH.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Short-term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Oral Health Promo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Dankook, 2011. 

  20. Jang JY. An effect on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f the middle-aged women in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Dankook, 2011. 

  21. Lim KO, Choi JH. Survey on oral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2): 241-8. 

  22. Grath CM, Bedi R, Gilthorpe MS.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Views of the public in the United Kingdom. Community Dent Health 2000; 17: 3-7. 

  23. Lee HS, Kim KS. Oral health behavior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in Chollabuck Do Republic of Korea: 2. oral preventive behavior.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9; 23(3): 287-99. 

  24. Wilkin EM.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11th ed. North American Edition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3-7. 

  25. Hoogstraten J, Moltzer PJ. Effects of dental health care instruction on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nd fear. Community Dent Oral Epidemilogy 1983; 11: 278-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