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76 - 84  

라진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특성에 따른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과 대전, 대구의 총7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153명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은 59.3%의 정답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는 5점 척도에서 평점 $3.70{\pm}0.41$으로 다소 긍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모유수유 간호활동은 중간정도로, 평점 $3.26{\pm}0.74$이었다. 모유수유 지식은 모유수유 태도(r=.554, p<.001)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r=.203, p=.002)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유수유 태도와 간호활동도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243, p=.00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nurses. Methods: Survey methodology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research design. A total of 153 questionnaires from 7 un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는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기회 증진과 지식 향상을 위해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가 다른 의료진에 비해 미숙아 어머니와의 접근이 용이하므로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지지를 위해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Black, 2012), 실제적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 간호활동이 부족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들의 모유수유 관련 지식과 태도 그리고 간호활동을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대상의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을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시도와 지속을 위해서는 미숙아를 침상 옆에서 항시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는 다소 낮은 모유수유 지식과 중간 정도의 긍정적인 모유수유 태도를 나타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삭아에 비해 미숙아에게 모유수유가 더욱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미숙아들이 만삭아와 비교하여 모유수유의 효과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는 이유는? 이와 같이 만삭아에 비해 미숙아에게 모유수유가 더욱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모유수유율과 모유수유 기간의 감소로 인해 미숙아들은 만삭아와 비교하여 모유수유의 효과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다(Killersreiter, Grimmer, Buhrer, Dudenhausen, & Obladen, 2001). 미숙아의 어머니가 경험하는 모유수유 시작 및 지속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미숙아의 불안정한 건강상태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으로 인한 조기 모유수유의 제한, 그리고 그로 인한 수유량 감소, 어머니의 분만 후 합병증, 신생아집중치료실내 복잡한 절차와 환경 등이 있다(Singer et al., 1999). 이 외에도 모유수유의 잠재적 장애요인으로는 미숙아 모유수유의 효과에 대한 부정확하거나 비일관적인 정보, 간호사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자로부터의 지지 부족, 모유수유를 위한 환경과 물품의 부족 등이 보고되었다(Smith, Durkin, Hinton, Bellinger, & Kuhn, 2003). 이에 최근들어 미숙아 어머니들이 모유수유와 관련된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환경을 조절하고 모유수유를 지지하는 간호가 강조되고 있다(Black, 2012).
모유는 어떤 측면에서 유익한가? 영아에 대한 모유의 유익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건강한 만삭아 뿐 아니라 미숙아에게도 모유는 영양학적, 위장관 발달, 면역학적, 성장발달, 정서적 측면에서 유익하다. 즉, 모유로부터 얻게 되는 항체는 감염으로부터 미숙아를 보호해 주고, 조제유에 비해 쉽게 소화되고 위장관의 성숙을 도와 괴사성 장염의 유병률 감소에 도움을 준다.
모유로부터 얻게 되는 항체는 어떤 도움을 주는가? 건강한 만삭아 뿐 아니라 미숙아에게도 모유는 영양학적, 위장관 발달, 면역학적, 성장발달, 정서적 측면에서 유익하다. 즉, 모유로부터 얻게 되는 항체는 감염으로부터 미숙아를 보호해 주고, 조제유에 비해 쉽게 소화되고 위장관의 성숙을 도와 괴사성 장염의 유병률 감소에 도움을 준다. 또한 모유는 미숙아의 인지능력 향상과 어머니와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Newto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med, A., Bantz, D., & Richardson, C. (2011). Breastfeeding knowledge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36, 361-367. 

  2. Ahmed, A., & Guindy, E. I. (2011).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among Egyptian baccalaureate student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8, 372-378. 

  3. Bernaix, L. W. (2000). Nurse'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support of breastfeeding mothers. Journal of Human Lactation, 16, 201-209. 

  4. Bernaix, L. W., Magaret, L. B., Schmidt, C. A., Harris, J. K., & Miller, L. M. (2010). Succes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maternal/newborn nurses' breast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9, 658-666. 

  5. Bernaix, L. W., Schmidt, C. A., Arrizola, M., Iovinelli, D., & Medina-Poelinez, C. (2008). Success of a lactation education program on NICU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7, 436-445. 

  6. Black, A. (2012). Breastfeeding the premature infant and nursing implications. Advances in Neonatal Care, 12(1), 10-14. 

  7. Boucher, C. A., Brazal P. M., Graham-Certosini, C., Carnaghan-Sherrard, K., & Feeley, N. (2011). Mothers' breastfeeding experience in the NICU. Neonatal Network, 30, 21-28. 

  8. Brodribb, W., Fallon, A. B., Jackson, C., & Hegney, D. (2008). Breastfeeding and Austrailian GP registars: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Human Lactation, 24, 422-439. 

  9. Cosimano, A., & Sandhurst, H. (2011). Strategies for successful breastfeeding in the NICU. Neonatal Network, 30, 340-343. 

  10. De la Mora, A., & Russell, D. W. (1999). The iowa infant feeding attitude scal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9, 2362-2380. 

  11. DiGirolamo, A., Thompson, N., Martorell, R., Fein, S., & Grummer-Stran, L. (2005). Intention or experience? Predictors of continued breastfeeding.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32(2), 208-226. 

  12.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13. Gagnon, A. J., Leduc, G., Waghorn, K., Yang, H., & Platt, R. W. (2005). In hospital formula supplementation of healthy breastfeeding newborns. Journal of Human Lactation, 21, 397-405. 

  14. Guillemin, F., Bombardier, C., & Beaton, D. (1993). Cross-cultural adapt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literature review and proposed guidelin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6, 1417-1432. 

  15. Hellings, P., & Howe, C. (2004). Breastfeed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pediatric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18(1), 8-14. 

  16. Jung, M. S., Kim, M. Y., Koh, H. J., Shin, Y. H., Chung, K. A., Lee, I. H., et al. (1993).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activities for breastfeeding promotion.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3(2), 187-196. 

  17. Killersreiter, B., Grimmer, I., Buhrer, C., Dudenhausen, J. W., & Obladen, M. (2001). Early cessation of breast milk feeding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60, 193-205. 

  18. Kim, M. S., Kim, J. E., Ahn, Y. M., Bae, S. M., & Kim, M. J. (2003). The research on the breastfeeding and its related facto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272-284. 

  19. Miracle, D. J., Meier, P. P., & Bennett, P. A. (2004). Mothers' decisions to change from formula to mothers' milk for very-low-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3, 692-703. 

  20. Moran, V. H., Bramwell, R., Dykes, F., & Dinwoodie, K. (2000). An evaluation of skills acquisition on the WHO/UNICEF breastfeeding management course using the pre-validated breastfeeding support skills tool (BeSST). Midwifery, 16, 197-203. 

  21. Newton, E. R. (2004). Breastmilk: The gold standard.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47, 632-642. 

  22. Patton, C., Beaman, M., Csar, N., & Lewinski, C. (1996). Nurses'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promote breastfeeding. Journal of Human Lactation, 12, 111-115. 

  23. Sable, M. R., & Patton, C. B. (1998). Prenatal lactation advice and intention to breast feed: Selected mater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Human Lactation, 14, 35-40. 

  24. Siddell, E., Marinelli, K., Froman, R. D., & Burke, G. (2003).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breastfeeding of NICU nurses. Journal of Human Lactation, 19, 293-302. 

  25. Singer, L.T., Salvator, A., Guo, S., Colin, M., Lilien, L., & Baley, J. (1999).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parenting stress after the birth of a very low-birth-weight infan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799-805. 

  26. Smale, M., Renfrew, M. J., Marshall, J. L., & Spiby, H. (2006). Turning policy into practice: More difficult than it seems. The case of breastfeeding education.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2, 103-113. 

  27. Smith, M. M., Durkin, M., Hinton, V. J., Bellinger, D., & Kuhn, L. (2003). Initiation of breastfeeding among mother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111, 1337-1342. 

  28. Spear, H. J. (2006).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breastfeeding knowledge: A descriptive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6, 332-337. 

  29. Sung, M. H. (2000). N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and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2), 258-268. 

  30. Wheeler, B. (2009) Human-milk feeding after NICU discharge. Neonatal Network, 28, 381-3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