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빈곤가정 아동의 비만도와 문제행동 양상
A Study on Obesity and Behavior Problems in Elementary Children Living in Povert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140 - 148  

조경미 (경인여자대학교 간호과) ,  김은주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연구의 목적은 빈곤가정아동의 문제행동과 비만도의 발생양상을 밝히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인천지역 22개의 지역아동센터의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197명을 대상으로 신체검진과, 아동이 직접 아동문제행동검사(K-BASC2)를 수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계측결과 중등도이상비만이 9.6%이었다. 문제행동에서는 내면화문제의 위험군이상은 8.6%, 주의력결핍/과잉행동문제 위험군 이상은 22.8%, 학교문제의 위험군은 33.8%, 적응기술에서 49%가 위험군 이상이었다. 이는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우리나라 전국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서행동선별검사보다 매우 높은 비율이었다.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의 결과는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에서 높은 비율이었다. 비만도에 따른 문제행동의 결과는 학교문제와 정서지표에서 비만도 그룹간 차이가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빈곤가정아동을 대상으로 현재의 학교 체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검진시스템보다 더 자주,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하며, 특히 정신, 행동문제의 조기발견과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하기 전에 아동 일대일 맞춤치료와 지속적인 상담, 간호중재가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빈곤가정의 비만한 아동은 정신건강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만큼, 이 아동들을 질병발생의 위험군으로 선정하고 조기발견, 예방중재, 치료적 상담의 시스템을 아동에게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being from low-income familie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obesit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nd the participants were 197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took part in activities at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빈곤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정도와 행동문제의 양상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빈곤한 비만아동의 행동정서 문제를 개선하기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행동문제를 규명함에 부모나 교사의 관찰에 의한 것이 아니라 아동이 직접 참여하여 정서행동문제 선별검사를 시행한 점과, 빈곤가정아동을 집약적으로 스크리닝 검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 본 연구는 인천의 지역아동센터에 등록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을 포함한 빈곤가정아동의 행동문제와 비만도의 발생양상을 밝히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간호사들이 빈곤가정아동들을 방문하였을 때 행동문제가 의심되는 아동을 빈번히 만난다는 경험을 기초로 연구가 설계되었다. 스크리닝 이후 아동 개인에 관하여 신뢰할 만한 진단 결과를 얻었고, 행동문제가 있다고 진단된 아동들의 부모와 지역아동센터의 교사들에게 검사 결과를 알려주어 치료적 상담을 진행할 것을 권유하였다.
  • 연구의 목적은 빈곤가정아동의 문제행동과 비만도의 발생양상을 밝히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빈곤가정의 아동들의 비만정도와 외현화 문제, 내면화 문제, 대인관계, 학교문제 양상을 확인하고, 비만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빈곤가정 학령기 아동의 비만과 문제 행동을 조기 발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등도 이상의 비만아동에게는 어떤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가? 아동기 비만은 질병의 조기발생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부정적인 시각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조기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중대한 장애(Barness, Opitz, & Gilbert-Barness, 2007; Epstein, Wing, & Valoski, 1985)이다. 중등도 이상의 비만아는 고지혈증, 지방간, 고혈압, 당뇨병등과 같은 신체적 합병증뿐 아니라 열등감과 불만이 높아지며 외톨이가 되기 쉽고(Erickson, Rhobinson, Haydel, & Killen, 2000), 자존심의 상실, 우울, 부정적 자기 신체상 같은 정신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Cheon, Bae, Lee, & Namkoong, 2003), 더 나아가 신체형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식이장애등이 동반되기도 한다(Buddeburg-Fisher, Klaghofer, & Reed, 1999; Csabi, Tenyi, & Molnar, 2000).
빈곤은 학령기 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빈곤은 특히 학령기 아동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신체적 건강 수준(Kim & Kim, 2012)은 물론 학업수행과 학교생활문제(Ku, 2003; Lee, Bae, Lee, Choi, & Lee, 2004; Lee, LeBlanc, & Sim, 2006)와 정서적 측면(Shin, 2012)에서 부정적 요인이 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아동기 비만이 조기 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중대한 장애인 이유는? 아동기 비만은 질병의 조기발생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부정적인 시각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조기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중대한 장애(Barness, Opitz, & Gilbert-Barness, 2007; Epstein, Wing, & Valoski, 1985)이다. 중등도 이상의 비만아는 고지혈증, 지방간, 고혈압, 당뇨병등과 같은 신체적 합병증뿐 아니라 열등감과 불만이 높아지며 외톨이가 되기 쉽고(Erickson, Rhobinson, Haydel, & Killen, 2000), 자존심의 상실, 우울, 부정적 자기 신체상 같은 정신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Cheon, Bae, Lee, & Namkoong, 2003), 더 나아가 신체형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식이장애등이 동반되기도 한다(Buddeburg-Fisher, Klaghofer, & Reed, 1999; Csabi, Tenyi, & Molnar,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M. H. (2007). Korea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Seoul: Assessta. 

  2. Barness, L. A., Opitz, J. M., & Gilbert-Barness, E. (2007). Obesity: Genetic, molecular, and environmental aspect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 Part, 143, 3016-3034. http://dx.doi.org/10.1002/ajmg.a.32035 

  3. Bayanah, S., Ayyoub, M., Mehrangiz, E-M., & Ali, T. (2012). Correlation of obesity and overweight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primary school age girls in Tabriz, Iran. Iran Journal of Pediatrics, 22(1), 15-22. 

  4. Buddeburg-Fisher, B., Klaghofer, R., & Reed, V. (1999).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psychiatric disorders and body image in female adolescent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8, 325-332. 

  5. Cheon, K. A., Bae, S. C., Lee, D. H., & Namkoong, K.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 factors and motivation for weight loss in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2(5), 600-607. 

  6. Csabi, G., Tenyi, T., & Molnar, D. (2000). Depressive symptoms among obese children. Eating and Weight Disorders, 5, 43-45. 

  7. Elder, G. H. (1974). Children of the great depress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Epstein, L. H., Wing, R.R., & Valoski, A. (1985). Childhood obesity.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2, 363-379. 

  9. Erermis, S., Certin, N., Tarmar, M., Bukusoglu, N., Akdeniz, F., & Goksen, D. (2004). Is obesity a risk factor for psychopathology among adolescents? Pediatric International, 66, 387-394. http://dx.doi.org/10.1111/j.1442-200x.2004.01882.x 

  10. Erickson, S. J., Rhobinson, T. N., Haydel, K. F., & Killen, J. D. (2000). Are overweight children unhappy? Body mass index, depressive symptoms, and overweight concer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4, 931-935. 

  11. Hwang, J. W., Yoo, H. I., Kim, B. N., Shin, M. S., & Cho, S. C. (2005). The Psychopathology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ommunity childre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 247-252. 

  12. Kim, M. S., & Bae, H. O. (2007). Child poverty in Korea: Its magnitude and caus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7(1), 3-26. 

  13. Kim, S. W., & Kim, S. S. (2012) The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among neighborhoods on children's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9, 127-150. 

  14.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The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commentary for the development of 2007 growth chart). Seoul: Division of Chronic Disease Surveillance. Retrieved November 2007, from: http://www.cdc.go.kr/webcdc/ 

  15. Kovacs, M. (1996). Presentation and cour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during childhood and later years of the life spa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5, 705-715. http://dx.doi.org/10.1097/00004583-199606000-00010 

  16. Ku, I. H. (2003).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adolescents educational attain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2, 5-32. 

  17. Ku, I. H., Park, H. S., Chung, I. J., & Kim, K. H. (2009). A pane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61(1), 57-79. 

  18. Lee, K. H., LeBlanc, J. C., & Sim, H. O. (2006). Prediction and early intervention model of low school performance for impoverished children.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2(1), 176-198. 

  19. Lee, M .H., Bae, N. Y., Lee, G. S., Choi, K. C., & Lee, M. R. (2004). Problem in emotion and behavior presented by poverty children in their school activitie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0(4), 311-333. 

  20. Lim, H. J., Park, H. R., & Ku, H. K. (2009). A study on the obesity situation of youth and children and policy measures. Seoul: National Youth Polish Institute. 3-8.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 February). 2012 Mental health screening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Issue brief: feb 08). Seoul.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Key child indicators in Korea. Seoul. 

  23. Park, R. G., & Kang, W. S. (2006).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 of low-Income class children. Korean Child Psychotherapy, 1(1), 1-23. 

  24. Pyo, K. S., Park, S. H., Kim, S. H., Cho, Y. R., Kim, H. R., & Moon, K. R. (2001). The prevalenc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urb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6(2), 105-117. 

  25. Reynolds, C. R., & Kamphaus, R. W. (2004). BASC-2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2nd ed.). Circle Pines: AGS Publishing. 

  26. Shin, I. S.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emotional problems of impoverish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4), 115-125. 

  27. Yoo, J. P., Slack, K. S., & Holl, J. L. (2012). The Impact of material hardship on children's physical health trajecto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7, 10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