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홍삼추출액의 사포닌 조성과 품질특성
Ginsenoside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Extracting Method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1 no.4, 2013년, pp.276 - 281  

이강선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남기열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최재을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tents of ginsenoside according the water extract conditions of red ginseng. In method A, red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at $75^{\circ}C$ for 18 hours by 1 time extraction, and method B, the preparation was done at $85^{\circ}C$ for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모든 시료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Brix 측정은 digital refractometer (GMK-701AC, G-won, Korea), pH는 pH meter (Model 720P, ISTEK, Korea)를 사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 HPLC 분석은 UV Detector가 부착된 HPLC (NS-4000, FUTECS Co., Korea)로 분석하였다. Ginsenoside 표준물질은 Fleton Natural Products Co.
  • 0 ㎖/min, Column temperature는 35℃에서 실시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acetonitrile 20% (0분), 20% (10분), 29% (39분), 41% (67분), 47% (70분), 71% (90분), 71% (95분), 20% (95분), 20% (115분)로 실시하였다.
  • Method C는 주근과 세근을 7 : 3 비율로 1 ㎏을 정량한 홍삼에 10배액 (10 L)의 물을 추출기에 넣고 75℃에서 9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추출액을 따로 모아두고, 1차 추출한 홍삼박에 다시 10 L의 물을 첨가하여 85℃에서 9시간 동안 2차 추출한 다음 1차와 2차 추출액을 혼합하였다. Method C와 동일하게 준비한 홍삼과 10배액 (10 L)의 물을 추출기에 넣고 85℃에서 9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추출액을 따로 모아두고, 1차 추출한 홍삼박에 다시 10 L의 물을 첨가하여 95℃에서 9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혼합하였다 (Method D).
  • 홍삼추출액의 흡광도는 분광광도계 (DU 730; Beckman Culter, USA)를 이용하여 490 ㎚에서 3회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Brix 측정은 digital refractometer (GMK-701AC, G-won, Korea), pH는 pH meter (Model 720P, ISTEK, Korea)를 사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 색도측정은 색차계 (Colorimeter, JC801, Color Techno Co., Japan)를 이용하여 L (명도), a (적색도), b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 이상과 같이 Han et al. (2010)과 Li et al. (2009)의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prosapogenin화가 급증하는 9시간을 기준하였고, 1차 추출에서는 prosapogenin화의 급증을 피하고 기능성 지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75℃에서 9시간 추출하고, 2차 추출에서는 맛과 색택을 개선할 목적으로 85℃와 95℃에서 9시간 추출한 후 혼합하여 비교하였다.
  • 홍삼 추출액의 전처리를 위해 채취한 추출액 (200 ㎖)에서 1 ㎖을 취하여 0.45 ㎛, 17 ㎜ PVDF Syringe Filter (Futecs)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 홍삼의 주근은 0.5 ~ 0.8 ㎝, 세근은 2 ㎝ 내외로 잘라 주근과 세근을 7 : 3 비율로 1 ㎏을 정량하여 면 주머니에 넣은 다음 20배액 (20 L)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넣고 75℃에서 18시간 추출하는 방법 (Method A), 85℃에서 18시간 추출하는 방법 (Method B)으로 홍삼액을 제조하였다 (Fig. 1).
  • 홍삼추출액의 흡광도는 분광광도계 (DU 730; Beckman Culter, USA)를 이용하여 490 ㎚에서 3회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Ginsenoside 표준물질은 Fleton Natural Products Co., Ltd (Chin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Column은 Bischoff C18 ace-ESP (250 × 4.6 ㎜, 4 ㎛, Bischoff Co.,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UV wavelength는 203 ㎚, flow rate는 1.0 ㎖/min, Column temperature는 35℃에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홍삼은 5년 근 원료수삼을 세척하여 사판에 배열한 후 증숙 (97℃, 3시간) → 1차 건조 (60 ± 5℃) → 2차 건조 (50 ± 5℃) → 일광 건조하여 제조한 것을 우신산업 (주)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 분석용 시료는 검정시간별로 200 ㎖씩 추출액을 채취하였다. 추출기는 용남산업 (주)에서 제조한 50 L용 추출기를 사용하였다.
  • 분석용 시료는 검정시간별로 200 ㎖씩 추출액을 채취하였다. 추출기는 용남산업 (주)에서 제조한 50 L용 추출기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삼 제품은 어떤 형태로 제조 되는가? 홍삼 제품은 농축액, 파우치, 분말, 캡슐, 타블렛, 절편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Park et al., 2007), 그 중에서 홍삼 추출액 (파우치)의 제조는 시설과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의 홍삼원료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진세노사이드의 효능은? 인삼의 주요 기능성 물질 중의 하나인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는 실험적/임상적 연구를 통해 항암 (Kim et al., 2004), 혈압 강하 (Kang and Kim, 1992), 항산화 작용 (Bae and Kim, 1998), 항당뇨 활성 (Yokozawa et al., 1985), 뇌혈류 증진 (Jeong et al., 2006), 기억력 증진 (Lee et al., 2008a) 등 다양한 약리 효능이 밝혀지고 있다.
prosapogenine은 어떤 과정을 통해 생성 되는가? 홍삼을 가열하여 추출하면 암예방, 암세포 생장억제, 항혈전 등의 효과가 있는 prosapogenine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및 Rh2)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성분은 사포닌 배당체가 유기산에 의한 산 가수분해 반응으로 생성되며 (Kim et al., 1998), 홍삼뿐만 아니라 백삼 (Han et al., 2009a)과 수삼 (Han et al., 2009b)을 가열 추출하는 과정에서도 생성된다. 또한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의 발효과정을 통해서도 생성된다 (Choi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KC and Kim SH. (1998). Antioxidant effects of Korea ginseng radix, Korea red ginseng radix and total saponi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2:72-81. 

  2. Choi WY, Lee CG, Song CH, Seo YC, Kim JS, Kim BH, Shin DH, Yoon CS, Lim HW and Lee HY. (2012). Enhancement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tent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by fermentation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17-123. 

  3. Han JS, Kang SJ, Nam KY and Choi JE. (2010). Difference of ginsenoside yields in red ginseng parts according to extraction time at low temperature. Journal of Crop Science. 55:299-305. 

  4. Han JS, Li X, Park YJ, Kang SJ, Kim JS, Nam KY, Lee KT and Choi JE. (2009a). Saponin content and quality for the promo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ion conditions. Journal of Crop Science. 54:458-463. 

  5. Han JS, Li X, Park YJ, Kang SJ, Nam KY and Choi JE. (2009b).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saponin content and quality in raw ginseng(Panax ginseng) water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352-356. 

  6. Jeong DW, Moon SK, Hong JW, Shin JW, Park YM, Jung JH, Kim CH, Min IK, Park SU, Jung WS, Park JM, Go CN, Cho KH, Kim YS and Bae HS. (2006). Effects of Korean ginseng, Korean red ginseng and fermented Korean red ginseng on cerebral blood flow, cerebrovascular reactivity, system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in humans. Journals of the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27:38-50. 

  7. Kang SY and Kim ND. (1992).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red ginseng saponin and the endothelium-derived vascular relaxatio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6:175-182. 

  8. Keum YS, Park KK, Lee JM, Chun KS, Park JH, Lee SK, Kwon H and Surh YJ. (2000).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eat-processed ginseng. Cancer Letters. 150:41-48. 

  9. Kim CS, Choi KJ, Kim SC, Ko SY, Sung HS and Lee YG. (1998). Controls of the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by neutralization of organic acids in red ginseng extract preparation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2:205-210. 

  10. Kim HS, Lee EH, Ko SR, Choi KJ, Park JH and lm DS. (2004). Effects of ginsenosides Rg3 and Rh2 on the proliferation of prostate cancer cells.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7:429-435. 

  11. Kim YM, Yoon CE, Kim KH and Lee EW. (2007). Studies on sapr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extract product. Journal of Life Science. 17:1394-1399. 

  12. Lee JW, Lee SK, Do JH and Shim KH. (1998).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of korean red ginseng as affected by heating treatment.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2:193-199. 

  13. Lee MR, Sun BS, Gu LJ, Wang CY, Mo EK, Yang SA, Ly SY and Sung CK. (2008a).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hibitio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2:341-346. 

  14. Lee NR, Han JS, Kim JS and Choi JE. (2011).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ginsenoside content and quality in ginseng(Panax ginseng) flower water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71-275. 

  15. Lee SH, Kang JI and Lee SY. (2008b). Saponin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ffected by extracting conditions.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7:256-260. 

  16. Li X, Han JS, Park YJ, Kang SJ, Kim JS, Nam KY, Lee KT and Choi JE. (2009). Extracting conditions for promoting ginsenoside contents and taste of red ginseng water extract. Journal of Crop Science. 54:287-293.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3). Health functional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won, Korea. p.55-56. 

  18. Park CK, Kwak YS, Hwang MS, Kim SC and Do JH. (2007). Trends and prospect of ginseng products in market health functional food.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40:30-45. 

  19. Xie JT, Mehendale SR, Li XM, Quigg R, Wang XY, Wang CZ, Wu JA, Aung HH, Rue PA, Bell GI and Yuan CS. (2005). Anti-diabetic effect of ginsenoside Re in ob/ob mice.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40:319-325. 

  20. Yang BW, Han ST and Ko SK. (2006). Quantitative analysis of ginsenosides in red ginseng extracted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time. Natural Product Sciences. 37:217-220. 

  21. Yokozawa T, Kobayashi T, Oura H and Kawashima Y. (1985).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hypoglycemic activity of ginsenoside-Rb2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33:869-872. 

  22. Yoon SR. (2010). Optimization of heat processing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Ph. 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1-1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