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토음식 특화 거리의 관광상품화와 활성화 방안 연구 - 담양 죽순 푸드빌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amyang Area Restaurants in Bamboo food villag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4, 2013년, pp.348 - 355  

김수인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박연진 (전남도립대학교 한국음식과) ,  김소영 (전남도립대학교 한국음식과) ,  장혜진 (한양여자대학교 외식산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mproving dining experience in the restaurants of Bamboo food village and help draw up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dining venues by surveying custom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15-restaurants of the food village. The restauran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담양의 죽순 푸드 빌리지를 중심으로 지역 연구를 통하여 음식 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먹거리촌 선정업체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하고, 죽순 푸드빌리지 발전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 관련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난 2010년 담양군이 담양 10味로 한우떡갈비, 대통밥, 죽순요리, 돼지숯불갈비, 국수, 창평국밥ㆍ암뽕, 한우생고기, 메기찜ㆍ탕, 한과ㆍ쌀엿, 한정식을 선정한 사실에 근거하여(담양군 2010) 담양 음식특화거리 조성을 목적으로 각 테마별 음식특화거리 에 위치한 음식점 문화수준 향상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 담양의 이미지를 고취 시키고 지역 음식 관광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담양의 죽순 푸드 빌리지를 중심으로 지역 연구를 통하여 음식 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먹거리촌 선정업체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하고, 죽순 푸드빌리지 발전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 관련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 지역의 자연과 문화, 특산물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먹거리 관광의 예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과거 자연경관 위주의 볼거리 중심 관광이었다면 최근 오감 만족 체험 위주의 관광으로 변하고 있고(정 2009), 특히 그 지역의 자연과 문화, 특산물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먹거리 관광으로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실정이다(김 2003). 전주한옥마을 먹거리촌, 경기도 음식특화거리, 전남 해남 땅끝 3대 먹거리 촌, 제주도 세계음식 테마거리 조성 등이 그 예이다(담양군 보고서 2011).
담양의 향토음식을 알리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이유로 담양 전통식품 및 향토식품의 정의와 정통성에 기초한 상품화 가능한 스토리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Kim 2012a),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스타메뉴 개발을 비롯하여 대표 음식을 발굴·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11년 1단계 사업으로 떡갈비, 대통밥촌과 전통 국수촌을 조성하여 서비스, 위생, 식기 개선 등의 메뉴스타일링, 간판, 메뉴판 등 디자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담양군 2010). 또한 죽녹원 근처 대통밥과 떡갈비 전문업체 13곳은 죽순 푸드 빌리지라는 음식특화거리로 지정되어 담양의 향토음식을 알리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Kim 2012b). 그런가 하면 지난 2012년에 조성된 창평의 슬로푸드촌은 위생, 청결, 서비스 부문을 집중 개선 하며 지속적으로 담양 음식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향토음식이 어떤 음식이라 하였나? 최근 들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가치 있는 토속음식이나 향토음식을 상품으로 내세운 음식특화거리 조성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향토음식은 그 지방에서 생산되는 재료와 그 지방의 조리법을 이용하여 과거 오래 전부터 그 지방 사람들이 먹고 생활하고 있는 음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한국관광공사 1993). 충북 단양이 고구려 메뉴와 소백산과 남한강의 이미지를 형성한 메뉴를 개발하고 대규모 향토음식 단지를 만들어 음식거리를 조성한 것은 대표적 사례이다(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고인석. 2003. 흥동 지역 먹거리촌 활성화 방안 타당성 연구. 김해발전연구. 인제대학교 김해발전연구소. pp. 311-370 

  2. 곽종무. 2003. 대구지역 향토음식 발굴 및 육성방안. 대구경북개발연구원. p 21 

  3. 김창환. 2003. 춘천막국수 축제의 실태 분석 연구. 강원문화연구원. pp. 31-47 

  4. 담양군 보고서. 2011. 담양 테마별 먹거리촌 조성방안: 테마거리 선정 및 음식축제 활성화를 중심으로 보고서. p 103 

  5. 신봉규, 권용주. 2009. 음식문화거리 조성사업 평가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경기도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11(1): 150-162 

  6. 원융희. 1999. 관광과 문화. 학문사. 서울. p 56 

  7. 이지호. 2002. 한국음식론. 광문각. 서울. p 22 

  8.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3.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법문사. 서울. p 35 

  9. 정갑영. 2009. 한식세계화를 위한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문화체육관광부. pp. 12-13 

  10. 정해옥, 김재숙, 2004. 한국조리학. 교학연구사. 서울. p 12 

  11. 한국관광공사. 1993. 향토음식 관광상품화 방안. pp. 21-22 

  12. Cha SB, Park KT. 2003.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Local Menus using medicinal cooked Food in Chonan Area. The KASTL. 15, pp 9-22 

  13. Choi BG. 2005. A Study on Concept and Strategy for Vitalizing The Experience Travel in Fishing Village: A Study on Gochang hajeon Experiential Tourism Fishing village.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pp 90-92 

  14. Choe JS, Park HS, Park SH, Lee JY, Kang MS. 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7(1) : 233-239 

  15. Hong KW. 2007. Effects of Regional Festival's Physical Environment on Visitors' affect and satisfaction: The Case of 2006 Yangyeongsi Herb Medicine Festival in DaeGu.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1(1):41-54 

  16. Kim CH. 2006. Effects of WOM attributes on customer's WOM behavior and selection attitudes in Korean local food restaurants.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 37-72 

  17. Kim CW, Lim ST. 2003. Effects of An Exhibition's Physical Environment on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The Case of 2003 World Flower Exhibition of Koyang City.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27(3):79-95 

  18. Kim EH. 2008. A study on consideration and a plan for activation on native local foods in Andong area: centering on heotjesabap, geonjinguksu, and andongsikhye. Masters degree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p 30 

  19. Kim KJ. 2010. The Development Device of the Local Food Industry -Focusing on Local Food CEOs in Daejeon,Chungnam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5):78-91 

  20. Kim SH, Choi SM, Kwon SM, 2009. The Effect of Customer Perception of the Physical Evironments of Hotel Restaurants on Emotional Reaction.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 Recommendation Intention.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3(2):81-99 

  21. Kim SI, Park YJ, 2012a. A study for the current state of table setting and improvement ways of Korean food restaurant in bamboo food village. Journal of the Table & Food Coordinate, 7(2):15-35 

  22. Kim SI, Park YJ, 2012b. The actural condition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plan on plating tteok galbi of the dam-ya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1):323-333 

  23. Lee HW. 2010. A Study on Satisfaction Degree for Menu Quality of the Regional Cuisine in Gang won Province. J of Culinary Research, 16(4):1-13 

  24. Lee JS. 2007.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our-Related Products in Local Governments -with focus on the development of F: Tour products in Jeonbuk Province. MS Thesis. Jeonbuk university, JeonJu. p 35 

  25. Lee SH, Kim SH, Jung LH, Jung JW, Jeon KC, Kim HK, 2010. Studies on commercialization of Korean native foods - Focused on boseong a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3): 43-52 

  26. Lee SM. 2009. Promotion acknowledgement and preference on regional foods in Danyang county. The Korea Contents Society, 9(2):322-331 

  27. Lee YJ. 2006. The impact of recognition for local food on the frequency of visiting for local food restaurants -Focusing on residents in kyungsangdo ar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4):840-848 

  28. Mahmood A. Khan. 1991. Factors affecting consumer food preference and their utilization in hospitality management west port: ATI Publishing Co. Inc., p 455 

  29. Min K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Korean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4(4):295-309 

  30. Nam SJ, Park GS. 2011. Study on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Young-ju Area.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26(2):445-454 

  31. Park JG.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Local Food Industry. Ph. D Thesis. Dongguk university. p 3, p 28 

  32. Park G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Jouranal of Culinary Research, 17(6):98-110 

  33. Park YS. 1999. Perception of Native and Prohibitive Foods in Hansan-Do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15(4):23-36 

  34. Shuai Quan & Ning Wang 2004, Towards a structural model of tourist experience: an illustration from food experience in tourism, tourism management, Vol25, Issue 3, June 2004, pp. 297-305 

  35. Son YJ. 2005. A Study on the need of development for Tourism Merchandising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Tourism Research, 21(3):211-226 

  36. Yang HS, Rho Jo . 2005.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by University Students in Chonbuk Area. J of the KHEA, 43(2):4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