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4, 2013년, pp.426 - 432  

박희정 (전남대학교 향장품학협동과정) ,  이기영 (전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ults of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i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0) 등의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동안 목화다래는 주로 솜을 생산하는 기관으로 여겨져 왔는데, 최근에 와서 미성숙한 다래의 성분 및 그 효능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고 생리활성을 연구하는 시도들이 일부 행해지고 있지만, 다래의 크기 및 부위에 따른 항산화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의 크기에 따른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목화의 활용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 항산화 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3). 일반적으로 활성산소 생성을 막기 위한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 propyl gallate (PG)등의 합성 항산화 물질들이 이용되어 왔는데 (Davies, 1995), 체내에 흡수된 후 독성화나 발암 가능성(Chance et al., 1979) 등의 문제가 야기되어 사용이 제한을 받고 있어서 안전성과 기호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목화다래는 언제 맺히는가? , 2011), 이 중에서 목화는 천연 면실유 및 천연 솜의 개발에 힘입어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목화는 아욱과(Malvaceae), 목화속(Gossypium)에 속하는 식물로(Kim, 1962) 인도가 원산지이며 7월경에 개화한 뒤에 열매인 다래를 맺게 되며 다래부위가 벌어지면서 솜이 피어나는 개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목화의 성분은 gossypol, flavonoid, phenolic acids, salicylic acid betaine, saponin 등 다양한 성분들이 분석(Kim, 1998) 되었으며, 예로부터 세균성 하리, 상처소독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Bae, 2000), 항염증(Sen et al.
합성 항산화 물질의 문제점은? , 2003). 일반적으로 활성산소 생성을 막기 위한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 propyl gallate (PG)등의 합성 항산화 물질들이 이용되어 왔는데 (Davies, 1995), 체내에 흡수된 후 독성화나 발암 가능성(Chance et al., 1979) 등의 문제가 야기되어 사용이 제한을 받고 있어서 안전성과 기호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산야에는 이용 가능한 약용식물이 약 900여종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H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B.J. and J.T. Lee.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from extract of Crataegi Fructus. J. Kor. Herbology 17:29-38 (in Korean). 

  2. Bae, J.S. and T.H. Kim. 2009.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ster yomena extract. Kor. J. Herbology 24(4):121-126 (in Korean). 

  3. Bae, K.H. 2000. The Medic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32 (in Korean).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4. 

  5. Bryan, D.M., J. Murnaghan, K.S. Jones and S.R. Bowley. 2000. Iron superoxide dismutase expression in transgenic alfalfa increase winter survival without a detectable increase in photosynthetic oxidative stress tolerance. Plant Physiol. 122:1427-1438. 

  6. Chance, B., H. Sies and A. Boveris.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527-605. 

  7. Davies, K.J.A. 1995. Oxidative stress: The paradox of aerobic life. In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Environment, Drugs and Food Additives, Rice-Evans C., B. Halliwell and G. Lunt (eds.), Biochemical Society Symposium. Portland Press, London, UK. pp. 1-31. 

  8. Donnelly, J.K., K.M. McLellan, J.K. Walker and D.S. Robinson. 1989. Superoxide dismutase in foods. A Review. Food Chem. 33:243-270. 

  9. Gray, J.I. and L.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981-984. 

  10. Hwang, Y.H., D.H. Kim, H.J. Kim, J.Y. Hwang, T.S. Park, I.S. Lee and J.H. Son. 2011.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J. Appl. Biol. Chem. 54(3): 171-177 (in Korean). 

  11. Jung, W.Y and J.M. Jeong. 2012.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t different harvest time and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effects for persimmon leaf extract. Kor. J. Herbology 27(1):41-49. 

  12. Kato, H., I.E. Lee, N.V. Chuyen, S.B. Kim and F. Hayase.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es. Agr. Biol. Chem. Tokyo. 51: 1333-1338. 

  13. Kawaguchi, K., T. Mizuno, K. Aida and K. Uchino.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nol Biochem. 61:102-104. 

  14. Kim, E.D. 1962. Agricultural Dictionary. Hak-W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86 (in Korean). 

  15. Kim, J.W. 1998. Antitumor agents isolated from cotton balls.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Gwacheon, Korea. pp. 5-17 (in Korean). 

  16. Kim, Y.E., J.W. Yang, C.H. Lee and E.K. Kwon.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555-560 (in Korean). 

  17. Kim, Y. H., C. E. Lee and B. S. Kim. 2011. Study on cytotoxicity tes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rb complex (Phellinus Linteus,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d Centella asiatica. J. Kor. Soc. Cosm. 17(3): 441-446 (in Korean). 

  18. Ko, K.S. 2012. A study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Viola mandshurica. J. Kor. Soc. Cosm. 18(5):1082-1086 (in Korean). 

  19. Kuhnau, J. 1976.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 117-120. 

  20. Kwak, C.S., S.A. Kim and M.S. Lee.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8):1143-1150 (in Korean). 

  21. Lee, D.S., M.S. Lim, S.S. Kwan, S.Y. Kim and S.N. Park. 2012.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e leaf extract. J. Appl. Chem. 23(1):93-99 (in Korean). 

  22. Lee, S.Y., J.H. An, H. Chun and H.Y. Cho. 2003. Isolation and character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 68 cells. Korean. J. Soc. Agric. Chem. Biotechnol. 46(1):60-65 (in Korean). 

  23. Lim, T.S., J.R. Do, O.J. Kwon and H.K. Kim.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garicus Bisporus extracts as affected by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383-388 (in Korean). 

  24. Middleton, E. and C. Kandaswami.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 48: 115-119. 

  25. Miles, D. H., V. Chittawong, A.M. Payne, P.A. Hedin and U. Kokpol. 1990. Cotton boll weevil antifeedant activity and antifungal activity (Rhizoctonia solani and Pythium ultimum) of extracts of the stems of Wedelia biflora. J. Agric. Chem. 38(7):1591-1594. 

  26. Nivea, M.M.I., A.R. Sampietro and M.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ropharmacol. 71: 109-114. 

  27. Prior, R.L., X. Wu and K. Schaich.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 J. Agric. Food Chem. 48:115-119. 

  28.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M. Yang and R.E. Catherin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1231-1237. 

  29. Rhim, T.J., M.Y. Choi and H.J. Park.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Rumex cripus L. extract. Korean J. Plant Res. 25(5):568-577 (in Korean). 

  30. Sen, T., H.S.H. Nasralla and A.K.N. Chaudhuri. 1995.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nd relate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sidium guajava: A preliminary report. Phytotherapy Research 9(2):118-122. 

  31. Swain, T., W.E. Hillis and M. Or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a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8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