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라비올라잎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Graviola Leav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129 - 135  

최종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 협동과정) ,  옥승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 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높은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그라비올라 잎을 열수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 소거능과 MTT assay 세포 독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라비올라 잎 분말 300 g을 사용하여 $98^{\circ}C$ 온도에서 열수 추출물 62.3 g을 얻었으며 그라비올라잎 1 mg/mL 추출물 내에 총 폴리페놀 함량은 $291.92{\pm}2.39{\mu}g/mL$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1{\pm}7.85{\mu}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1, 2.5, 5, 10 및 15 mg/mL에서 51.6%, 67.8%, 79%, 82.4% 및 83.9%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의미 있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 ; HDF)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50 mg/ml 농도에서 대조군과 같은 10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적은 농도에서는 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한 식품이나 화장품 성분 개발에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from graviola leaves to develop a harmless and highly stable natural antioxida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MTT assay activity were measured. As a result, 62.3 g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을 이용하여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한 화장품 성분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 추출하여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전자공여능을 평가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하고 보다 안전한 소재개발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독성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라비올라란 무엇인가? 그라비올라로 알려진 Annona muricata L.은 가시여지(Soursop), 구아나바나(guanábana)로 알려져 있으며 열대성 기후를 가진 나라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종으로 포포나무과(Annonacea)에 속하며 약 2300 종을 포함하여 약 130 속이 미국, 아프리카, 아시아, 브라질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있다[1]. 전통적으로 암 및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고 열매는 발열, 출산 후 모유를 증가시키고 설사, 이질, 지사작용 등 다양한 건강증진 효과를 위한 민간요법 재료로 이용되어 왔고 우수한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2].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성분에는 alkaloids,terpenoids, anthraquinones, tannins, phenols,phytosterols 높은 양이 검출되었다.
그라비올라의 효능은? 은 가시여지(Soursop), 구아나바나(guanábana)로 알려져 있으며 열대성 기후를 가진 나라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종으로 포포나무과(Annonacea)에 속하며 약 2300 종을 포함하여 약 130 속이 미국, 아프리카, 아시아, 브라질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있다[1]. 전통적으로 암 및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고 열매는 발열, 출산 후 모유를 증가시키고 설사, 이질, 지사작용 등 다양한 건강증진 효과를 위한 민간요법 재료로 이용되어 왔고 우수한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ali, F. Q., Liu, X. X., MscLaughlin, J. L.. Annonaceous acetogenins: recent progress. Journal of Natural Products, vol. 62, no. 3, pp. 504-540, 1999. DOI: https://doi.org/10.1021/np980406d 

  2. Baskar R, Rajeswari V, Kumar TS. In vitro antioxidant studies in leaves of Annona species.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45: pp. 480-485, 2007. 

  3. Yahaya Gavamukulya. Phytochemical screening,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anticancer potential of ethanolic and water leaves extracts of Annona muricata (Graviola).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7(Suppl 1): pp. 355-S363, 2014. DOI: https://doi.org/10.1016/S1995-7645(14)60258-3 

  4. Hasrat, J. A., De Bruyne, T., Isoquinoline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fruit of Annona muricata as 5-HTergic 5-HT1A receptor agonists in rats: unexploited antidepressive (lead) products. Journol of Pharmacy Pharmacology. 49, pp. 1145-1149, 1997. DOI: https://doi.org/10.1111/j.2042-7158.1997.tb06058.x 

  5. Hasrat, J. A., Pieters, L., De Backer, J. P., Vauquelin, G., Vlietinck, A. J..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rom Suriname for 5-HT 1A ligands: bioactive isoquinoline alkaloids from fruit of Annona muricata. Phytomedicine 4, pp. 133-140, 1997. DOI: https://doi.org/10.1016/S0944-7113(97)80059-1 

  6. Matsushige, A., Kotake, Y., Matsunami, K., Otsuka, H., Ohta, A., Takeda, Y. Annonamine, A new aphorphine alkaloid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60, pp. 257-259, 2012. DOI: https://doi.org/10.1248/cpb.60.257 

  7. M. J. Kim, Y. G. Kim, H. S. Kim, C. Cheong, K. H. Jang, S. A. Kang,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of Apple Peel, Grape Peel, and Sweet Potato Peel as Natural Antioxida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766-3773,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766 

  8. P. S. Kim, T. J. Le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ngelica dahurica Radix Ethanol Extra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0, pp. 4378-4384,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10.4378 

  9. G. W. Lee, Y. H. Cho,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Extract from Annona muricata.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4, no. 3, pp. 43-46, 2016. 

  10. Yumin D., Shelly H., Selective Growth Inhibi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by Graviola Fruit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Involving Downregulation of EGFR Expression, Nutrition and Cancer, vol. 63, no. 5, pp. 795-801, 2011. DOI: https://doi.org/10.1080/01635581.2011.563027 

  11. Folin, O., W. Denis.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ogical Chemmistry, 12. pp. 239-249, 1912. 

  12.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 pp. 109-114, 2000. DOI: https://doi.org/10.1016/S0378-8741(99)00189-0 

  13. 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pp. 1199-1203, 1958. DOI: https://doi.org/10.1038/1811199a0 

  14. Doyle A, Griffiths JB, Newell DG. Cell &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John wiley & Sons ;25: pp. 254, 1993 . 

  15.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et al.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7: pp. 3963-3966, 1999. DOI: https://doi.org/10.1021/jf990347p 

  16. Othman A, Ismail A, Abdul NG, Adenan I.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cocoa beans. Food Chemistry 100: pp. 1523-1530, 2007. DOI: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5.12.021 

  17. Husain, S. R., J. Cillard, P. Cillar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istry, vol. 26, pp. 2489-2491, 1987. DOI: https://doi.org/10.1016/S0031-9422(00)83860-1 

  18. George, V. C., Kumar, D. R., Rajkumar, V., Suresh, P. K., Ashok, K.,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elative antineoplastic potential of the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muricata Linn. In normal and immortalized human cell lines.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 13, pp. 699-704, 2012. DOI: https://doi.org/10.7314/APJCP.2012.13.2.699 

  19. George, V. C., Kumar, D. R., Suresh, P. K., Kumar, R. A., Antioxidant, DNA protective efficacy and HPLC analysis of Annona muricata (soursop) extracts.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52, no. 4, pp. 2328-2335, 2014. DOI: https://doi.org/10.1007/s13197-014-1289-7 

  20. Young Tae Jung, In Seon Lee, Key Whang, Mi Hee Yu.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Extracts. Journal of Life Science, Vol. 22, No. 3, pp. 354-359, 2012. DOI: https://doi.org/10.5352 /JLS.2012.22.3.354 

  21. Lee, S. O., H. J. Lee, M. H. Yu, H. G. Im, and I. S. Le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 pp. 233-240, 2005. 

  22. H.R. Park, S.J. Hong, Research on Natural Medicine for Wellness and Oral Health. J.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357-363, 2015 .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5.357 

  23. H.J. Choi, C.T. Kim, M.Y. Do, M.J. Rang.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 3907-3915,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907 

  24. K.A Chung, M.J. Cheong. Effects of Lespedeza Caneata (LC)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in DNCB-Induced M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67-73, 2016.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6.7.4.067 

  25. H.J. Jeon, H.J. Kwon. Anti-inflammation Effect of Gynura Procumbens extra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0, pp. 515-520,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10.515 

  26. H.J. Kim. Convergence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crude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53-58, 2016.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6.7.3.053 

  27. K.I. Lee, S.M. Kim.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Nutrition, vol. 38, no. 3, pp. 267-273, 2009. DOI: https://doi.org/10.3746/jkfn.2009.38.3.267 

  28. Hyeong ju Jeon. Analysis of Components from Gynura Procumbens and Evaluation of Efficacy as a Cosmetic Ingredient.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pp. 83-9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