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고산도 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with High Acid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204 - 1210  

조덕조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박은주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이용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총 산도 10% 이상의 시판 고산도 식초를 원료(사과농축액, 맥아엑기스, 액상포도당 및 현미당화농축액)와 산도(2배 및 3배)에 따라 구입하여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총산 함량은 2배 식초(12.10~13.41%)와 3배 식초(18.15~18.36%) 사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식초의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각각 $7.00{\sim}10.80^{\circ}Brix$ 및 1.32~3,885.90 mg%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산도 식초의 유리당으로 fructose 및 glucose가 주로 확인되었고, 2배 식초의 경우 3배 식초에 비해 종류와 함량 측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초의 품질지표인 acetic acid는 모든 식초에서 7,171~14,762 mg% 함량으로 분석되었고, oxalic acid의 경우 시판 고산도 식초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맥아엑기스를 사용한 2배 식초에서 총 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확인되었고,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과농축액을 원료로 한 2배 식초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도 영향을 주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산도 식초의 품질은 사용된 원료와 제조방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사과를 이용한 2배 식초는 가장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commercial vinegars of high-strength acidity (10% or more of total acidity)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ir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The total acidity of double-strength vinegars was relatively lower than triple-strength vinegars. Irrespective of the acidity, sugar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판 식초와 관련된 연구에는 국내 시판 식초의 항산화 활성(11),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12), 시판 사과식초의 산도에 따른 품질특성 비교(9), 정치 배양 및 시판 현미식초의 품질특성 비교(13) 등으로 식초의 품질 비교 및 개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고산도 식초에 대한 품질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도 식초 개발을 위한 관련 기초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시판 고산도 식초의 품질특성 및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에 함유된 물질은 무엇인가?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식초의 독특한 방향과 신맛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식품의 맛을 내는 산미료로 이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소화촉진, 피로회복 등의 기능성으로 인해 의약품 및 미용재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2,3). 당류나 전분질을 함유하고 있는 여러 재료들의 알코올 및 초산 (acetic acid) 발효로 제조되는 식초는 신맛을 내는 초산 성분을 비롯하여 유기산, 아미노산, ester 및 각종 영양물질을 함유하고 있다(2,4). 이러한 성분들은 콜레스테롤 저하 및 체지방 감소 작용으로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고, 젖산 분해에 따른 피로회복 및 식품 성분 내 비타민 C 보호 작용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5,6).
산도에 따라 2배 및 3배 산도로 구분하여 구입한 6종의 시판 고산도 식초의 pH를 관찰한 결과, 2배 식초의 pH 범위 측정 결과는? 시판 고산도 식초의 pH, 총산 함량,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pH의 경우 2배 식초는 2.14~2.45 범위를 나타내어 원료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고,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현미당화농축액 식초의 경우 3배 식초의 2.16~2.
고산도 식초의 제조 방법은 무엇인가? 조미용 식초는 산도에 따라 총산도 4~5%의 저산도, 6~7%의 일반산도, 13~14%의 2배 산도, 18~19%의 3배 산도로 나눌 수 있고 (9), 총산도 10% 이상일 경우 고산도 식초로 분류할 수 있다. 고산도 식초는 초발산도를 7~10%, 알코올을 5%로 조정하고 당류와 영양원을 혼합하여 발효를 실시한 후 원하는 산도에 도달하고 알코올 함량이 0%에 근접했을 때 초산발효액의 일부를 배출하고 당류와 영양원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보충하여 다음 단계의 발효를 이어나가는 반 연속적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0). 이와 같이 제조된 2배 및 3배 산도의 고산도 식초는 이미·이취의 개선 및 식초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공장이나 요식업소에서 운송비와 저장 공간의 절감 등 실제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o JS. 1984.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8-60. 

  2.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 7-12. 

  3. Kim YT, Seo KI, Jung YJ, Lee YS, Shim KH. 1997. The production of vinegar using citron (Citrus junos Seib)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 301-307. 

  4. Gil BI. 200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s produced by traditional and industrial manufacturing method. J Nat Sci 11: 1-7. 

  5.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6. Jeong YJ,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5: 374-379. 

  7.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42(2):52-59. 

  8. KFDA. 2008. Korea Food Standar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5-21-1-5-21-2. 

  9. Jo DJ, Park EJ, Kim GR, Yeo SH, Jeong YJ, Kwon JH. 2012.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by their acidity lev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99-703. 

  10. Lee YC, Lee JH. 2000. 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strength vinegar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 13-17. 

  11. Lee SM, Choi YM, Kim YW, Kim DJ, Lee JS.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Food Engineering Process 13: 221-225. 

  12.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13. Woo SM, Jo JY, Lee SW, Kwon JH, Yeo SH, Jeong YJ. 2012. Quality comparison of static-culture and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9: 301-307. 

  14. Marais JP, de Wit JL, Quicke GV. 1966.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lson-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Biochem 15: 373-381. 

  15. Singleton VL, Rossi Jr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er J Enol Viticult 16: 144-158. 

  16.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Zou Y, Lu Y, Wei D.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a flavonoid- rich extract of Hypericum perforatum L. in vitro. J Agric Food Chem 52: 5032-5039. 

  18.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0. SAS. 2001. SAS User's Guide. version 8.1.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1. Seo JH, Kim YJ, Lee KS.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3):40-44. 

  22. Moon SY, Chu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23. Woo SM, Kim TY, Yeo SH, Kim SB, Kim JS, Kim MH, Jeong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4: 557-563. 

  24. Furukawa S, Ueda R. 1963. Studies on non-volatile organic acid in vinegar,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commercial vinegar. J Ferment Technol 41: 14-19. 

  25.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Kim TY, Jeong YJ, Yoon KY, Kown JH. 2009.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Preserv 16: 893-899. 

  26. Jo BH. 1987.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negars. MS Thesis. Seoul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7. Bidlack W. 1999. Phytochemicals as bioactive agents. 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Basel, Switzerland. p 25-36. 

  28.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ic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726. 

  29.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ngarajan M, Lavoie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30. Hong SM, Kang MJ, Lee JH, Jeong JH, Kwon SH, Seo KI.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e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 594-603. 

  31. Hong SM, Moon HS, Lee JH, Lee HI, Jeong JH, Lee MK, Leo KI. 2012. Development of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27-935. 

  32. Labuza TP.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it Rev Food Technol 2: 335-405. 

  33. Xu Q, Tao W, Ao Z.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melanoidins. Food Chem 102: 841-849. 

  34. Sakanaka S, Ishihara Y. 2008. Comparis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ersimmon vinegar and some other commercial vinegars in radical-scavenging assays and on lipid oxidation in tuna homogenates. Food Chem 107: 739-744. 

  35. Frankel EN. 1991. Recent advances in lipid oxidation. J Sci Food Agric 54: 495-511. 

  36. Yen GC, Chang YC, Chen JP.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mycelia from Aspergillus candidus. J Food Sci 67: 567-5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