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강 증진을 위해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phytochemical 성분을 정량하고,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을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Lycopene, ${\alpha}$, ${\beta}$-carotene, cryptoxanthin과 lutein을 대상으로 동시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수율은 각각 lycopene $120.7{\pm}4.1%$, lutein $89.1{\pm}3.5%$, ${\alpha}$-carotene $91.2{\pm}2.9%$, ${\beta}$-carotene $99.1{\pm}4.4%$, cryptoxanthin $100.0{\pm}5.3%$로 나타나 향후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을 동시에 분석하는데 유효하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을 대상으로 4종의 phytochemical(${\beta}$-carotene, lycopene, lutein 및 cryptoxanthin)을 분석한 결과, lutein은 시금치>참다래>토마토>블루베리>메론 순이었으며 시료별 분석 결과 시금치(나주, 신안산), 참다래(해남, 보성산)와 블루베리(담양산)가 타 시료에 비해 lutein 함량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Lycopene은 토마토와 시금치에서 검출되었으며, 분석 시료 중 흑 토마토($56.66{\pm}7.48mg/kg$)와 장성 토마토($50.28{\pm}5.42mg/kg$)의 lycopene 함량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의 경우 시금치와 토마토 시료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나주 시금치($65.03{\pm}4.83mg/kg$)와 신안 시금치($37.67{\pm}5.49mg/kg$)에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Quercetin 분석 결과 블루베리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어 담양산 블루베리가 $1,054.06{\pm}80.54mg/100g$으로 수입산($986.57{\pm}67.85mg/100g$) 보다 높았으며, kaempferol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의 경우 블루베리(213.60~229.96 mg/100 g)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시금치(112.50~141.67 mg/100 g), 참다래(46.49~70.44 mg/100 g) 에서도 높게 검출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 시금치 시료에서 타 시료에 비해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 함량은 참다래(39.45~86.79 mg/100 g), 한라봉(38.65~50.96 mg/100 g), 토마토(5.90~15.97 mg/100 g), 블루베리 순으로 나타났고, 블루베리에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담양산 블루베리>수입산 블루베리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통 중인 농산물에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재배지역, 품종, 숙성 정도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tinguish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hytochemicals in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optimize an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lycopene, lutein, ${\alpha}$-carotene, ${\beta}$-carotene, and cryptoxanthin. Among the di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배 지역이 다른 다양한 농산물(시금치, 메론, 한라봉, 블루베리, 참다래, 토마토)을 대상으로 phytochemical 성분을 정량하고, phytochemical 성분 5종(lycopene, lutein, α-, β-carotene 및 cryptoxanthin)을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 최근 건강 증진을 위해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phytochemical 성분을 정량하고,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을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Lycopene, α, β-carotene, cryptoxanthin과 lutein을 대상으로 동시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수율은 각각 lycopene 120.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의 입장에서 Phytochemical란? Phytochemical은 식물의 입장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일종의 방어물질로서 필수 영양소는 아니지만 비타민, 무기질과 함께 미량영양소로 분류되어 제 7의 영양소(the seventh nutrient)로 부르기도 한다(1). 그동안 다양한 역학 연구결과 과일과 채소 등이 암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잇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왔으며 주된 활성 성분으로 phytochemical이 제안되어 왔다.
식품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인자는? 그동안 다양한 역학 연구결과 과일과 채소 등이 암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잇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왔으며 주된 활성 성분으로 phytochemical이 제안되어 왔다. 한편 phytochemical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은 유전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원료 중 함량이 결정되는데 식품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인자로는 숙성도, 품종 등 생물학적 요인과 온도, pH, 수분활성도, 가공, 포장, 압력 등 물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달라진다고 한다(2).
Phytochemical의 효과는? 최근 성인병 예방과 관련된 phytochemical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항암효과(3-5), 심혈관 질환 예방(6,7), 면역 증진(8,9), 항 미생물 및 항바이러스 효과(10-12), 노화지연 등의 효과(13,14)가 있는 등 건강 증진 효과와 관련하여 작용 기작이나 구조 활성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 HPLC와 GC/MS를 이용한 약용식물의 phytochemical 분석(15), 국내 소비되는 식물류의 carotenoid 등 식물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16) 등이 수행되고 있으나, 농산물에 대한 다양한 phytochemical 함량 조사, 지역에 따른 성분 변화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여 단편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Phytonutrient nutrition. Life Science Publishing Co, p 2-3, Seoul, Korea 

  2. Lund D (2003) Predicting the impact of food processing on food constituents. J Food Eng, 56, 113-117 

  3. D’Incalci M, Steward WP, Gesoher AJ (2005) Use of cancer chemopreventive phytochemicals as antineoplastic agents. Lancet Oncol, 6, 899-904 

  4. Myzak MC, Dashwood RH (2006) Chemoprotection by sulforaphane : keep one eye beyond keap 1. Cancer Lett, 233, 208-218 

  5. Park OJ, Surh Y (2004)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genistein : evidence from epidemiological and laboratory studies. Toxicol Lett, 150, 43-56 

  6. Cornwell T, Cohick W, Raskin I (2004) Dietary phytoestrogens and health. Phytochem, 65, 995-1016 

  7. Steinberg FM, Bearden MM, Keen CL (2003) Cocoa and chocolate flavonoids :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health. J Am Diet Assoc, 103, 215-223 

  8. Sforcin JM, Orsi RO, Bankova V (2005) Effect of propolis, some isolated compounds and its source plant on antibody production. J Ehthopharmacol, 98, 301-305 

  9. Ferreira AP, Soares GLG, Salgado CA, Goncalves LS, Teixeira FM, Teixeira HC, Kaplan MAC (2003)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Mollugo verticillata L. Phytomed, 10, 154-158 

  10. Chun S, Vattem DA, Lin Y, Shetty K (2005) Phenolic antioxidants from clonal oregano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Process Biochem, 40, 809-816 

  11. Werlein H, Kutemeyer C, Schatton G, Hubbermann EM, Schwarz K (2005) Influence of elderberry and black currant concentrates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ood control, 16, 729-733 

  12. Lin Y, Labbe RG, Shettyk (2005) Inhibi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 systems using oregano and cranberry phytochemical synergies and lactic acid.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6, 453-458 

  13. Bastianetto S, Quirion R (2002) Natural extracts as possible protective agents of brain aging. Neurobiol Aging, 23, 891-897 

  14. Blaylock RL (1999) Neurodegeneration and aging of the central nerous system : prevention and treatment by phytochemicals and metabolic nutrients. Integ Med, 1, 117-133 

  15. Cho HJ, Yoo DC, Cho HN, Fan LA, Kim HJ, Khang KW, Jeong HS, Yang SA, Lee IS, Jhee KH (2008) Analysis of phytochemicals in popular medicinal herbs by HPLC and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77-282 

  16. Yoon GA, Yeum KJ, Cho YS, Oliver Chen CY, Tang GW, Blumberg JB, Russell RM, Yoon S, Lee-Kim YC (2012) Carotenoid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in plant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Nutr Res Pract, 6, 481-490 

  17. Olives Barba AI, Camara Hurtado M, Sanchez Mata MC, Fernandez Ruiz V, Lopez Saenz de Tejada M (2006) Application of a UV-vis detection HPLC method for a rapid determination of lycopene and ${\beta}$ -carotene in vegetables. Food Chem, 95, 328-336 

  18. Gudej J, Tomczyk M (2004) Determination of flavonoids, tannins and ellagic acid in leaves from Rubus L. species. Arch Pharm Res, 27, 1114-1119 

  19. Kim JY, Chung JH, Hwang I, Kwan YS, Chai JK, Lee KH, Han TH, Moon JH (2009) Quantifica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their processed foods. Korean J Hort Sci Technol, 27, 489-496 

  20. Swain T, Hills WE, Or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Ⅰ.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1.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2. KFDA (2011)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0-1-74 

  23. Lee J, Dutst RW, Wrolstad RE (2005)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 1269-1278 

  24. Kim SN, Kim JS (2012) Method validation and quantification of lutein and zeaxanthin from green leafy vegetables using the UPLC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86-691 

  25. Lee HS, Kim YN (1997) Beta-carotene and lutein contents in green leafy vegetables. J East Asian Diet Life, 7, 175-180 

  26. Choi SH, Kim DH, Kim DS (2011) Composition of ascorbic acid, lycopene, $\beta$ -carotene contents in processed tomato products tomato cultivar and part.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 263-272 

  27. Kim DS, Kozukue N, Han JS, Kim MH (2004) The changes of components by maturity stage of tomato II. Korean J Food Culture, 19, 605-610 

  28.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29. O JY, Kang SW, Song HY, Kim HA, Hwang EY, Jeon Y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blueberry. J Korean Ac Ind Soc, Nov, 744-747 

  30.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31. Park GH, Lee SH, Kim HY, Jeong HS, Kim EY, Yun YW, Nam SY, Lee BJ (2011) Comparison in antioxidant effects of four citrus fruits. J Fd Hyg Safety, 26, 355-360 

  32. Cho JG, Youn SJ, Lee ET, Kim TW, Kweon DJ (2009) Change of biological activity of melon (Cucumis melo L.) according to frozen storage period. J Appl Biol Chem, 52, 200-204 

  33.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hazardous factors of spinach by blanc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68-273 

  34. Lee JM, Son ES, Oh SS,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504-514 

  35.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s in Korean plant foods.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36. Maxson ED, Rooney LW (1972) Evaluation of methods for tannin analysis in sorghum grain. Cereal Chem, 49, 719-729 

  37. Park YS, Lee GS, Towantakavan K, Park YJ, Oh DM, Heo BG (2009) Chemical composition of kiwifruits, their anti microbial activity and their hyper plasia inhibition effect of against lung cancer cell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202-209 

  38. Jeong CH, Lee WJ, Bae SH, Choi SG (2007)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39. Kim HS, Lee SH, Koh JS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ry Tangor(Citrus kiyomi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13, 611-6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