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외 껍질을 첨가한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Kimchi containing Oriental melon peel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4, 2013년, pp.518 - 523  

남주현 (대구공업대학교 호텔식음료조리과) ,  안정좌 (중원대학교 한방식품산업학과) ,  서전규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김도완 (중원대학교 한방식품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참외 껍질의 첨가가 배추 김치의 맛과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김치 제조에 절임배추 무게를 기준으로 참외 껍질 첨가량을 0, 10, 20, 30%(w/w)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5^{\circ}C$에서 28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등의 이화학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관능적 특성인 맛과 색도, 씸힘성, 전체적인 기호도 등을 평가하였다. 참외 김치의 pH 변화는 발효 초기 모든 실험구에서 pH 4.76~4.87로 비슷하였으나, 대조구에서는 7~21일사이에 급격히 pH가 떨어져 과숙 현상을 보였으나, 참외 껍질 첨가구에서는 14일까지 유지하다가 14~21일 사이에 pH 4.13~4.41에 도달하여 28일까지 유지되었다. 참외 김치의 산도 변화는 초기에는 참외 껍질 첨가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오히려 대조구에 비해 낮은 산도 값이 나타났다. 참외 김치의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발효 7일부터 참외 껍질 첨가구의 총균수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관찰되면서 발효 마지막까지 유지되었다. 참외 김치의 젖산균 수를 관찰한 결과도 총균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참외 껍질의 항균 작용에 의해 김치의 발효 및 숙성이 지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외 김치의 관능검사 결과, 맛은 20%와 30% 참외 깝질 첨가구에서, 씸힘성은 20% 참외 껍질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참외 껍질 20% 첨가구이 가장 높은 선호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배추 김치에 참외 껍질을 20% 첨가한 처리구가 이화학 및 미생물학적인 실험 결과에서 발효를 지연시키고 적숙기를 연장시켜 주었으며, 관능 검사 결과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배추 김치를 담글 때 참외 껍질을 첨가하는 것이 발효를 지연시켜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Kimchi containing 0%, 10%, 20%, and 30% of oriental melon peel parts. The Kimchi was fermented for 28 days at a temperature of $15^{\circ}C$. The pH, titratable acidity, total microbial counts, and lactic acid cou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참외는 비닐하우스 재배 면적 확대로 인한 생산량의 증가와 여름철 홍수 출하로 인한 가격 하락과 유통체계의 미비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저온에서 생육장애를 일으킴으로 인해 장기간 저장 및 유통이 어려운 단점 때문에 적절한 가공을 통한 저장성 향상 및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외를 첨가한 가공식품 및 특산음식의 개발을 위해 참외 껍질 첨가량을 달리한 참외 김치를 제조한 후 발효과정 중에 나타나는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외는 현재 주로 어느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가? 참외는 박과류(Cucurbit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중앙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지역이 원산지인 멜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9). 참외는 과채류 중에서 특히 당도가 높고 칼슘, 인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C의 함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고, 독특한 향기와 시원한 맛 때문에 여름철 과실로 인기가 많으며(10), 참외의 포도당과 과당은 흡수가 빨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고, 항암효과가 뛰어난 cucurbitacin이라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다(11).
김치는 어떤 영양소를 함유하는가?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으로써 독특한 향미와 상쾌한 산미, 특유의 질감과 감칠맛이 조화되어 식욕 증진과 함께 비타민 C, 베타카로틴, 후라보노이드류, 클로로필 등의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1). 최근 연구에 의하면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이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2), 김치의 부재료인 고춧가루,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다양한 재료의 발효과정 중에 생성되는 유산균에 의한 소화 증진 및 변비 예방 효과, 항돌연변이와 항암작용을 하는 생리 활성물질이 밝혀지고 있다(3).
박과류에 속하는 참외에 함유된 항암효과가 뛰어난 성분은? 참외는 박과류(Cucurbit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중앙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지역이 원산지인 멜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9). 참외는 과채류 중에서 특히 당도가 높고 칼슘, 인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C의 함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고, 독특한 향기와 시원한 맛 때문에 여름철 과실로 인기가 많으며(10), 참외의 포도당과 과당은 흡수가 빨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고, 항암효과가 뛰어난 cucurbitacin이라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ark KY, Cho EJ, Rhee SH (1998) Increase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changing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 Korean J Food Nutr, 27, 625-632 

  2. Park CW, Youn M, Jung YM, Kim H, Jeong Y, Lee HK, Kim HO, Lee I, Lee SW, Kang KH, Park YH (2008) New functional probiotic Lactobacillus sakei probio 65 alleviates atopic symptoms in the mouse. J Med Food, 11, 405-412 

  3. Woo SM, Jeong YJ (2006) Changes i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48-654 

  4. Chang SK, (2007)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prepared with potato.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227-234 

  5.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Korean J Food Nutr, 36, 1497-1502 

  6. Ko YT, Lee S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81-286 

  7. Shin SM, La SH, Choi MK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Nutr, 20, 53-62 

  8. Ko YT (2005) Effects of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added to kimchi on growth and acid form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on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95-800 

  9. Shin YS, Lee JE, Yeon IK, Do HW, Cheung JD, Kang CK, Choi SY, Choi, Youn SJ, Cho JG Kwoen D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194-199 

  10. Chun H, Choi YH, Um YC, Paek Y, Yu IH, You HY, Hyun TS, Yon MY, Shin YS (2008) Folate content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cultivated in greenhouse covered with different films and varieties. J Bio Env Con, 17, 32-37 

  11. Ronsivalli LJ, Vieira ER (1992) Elementary Food Science. Avi Book, New York, USA, p 388-344. 

  12. Lee HJ, Kim JG (2000) The changes of components and texture out of carrot and radish pickles during the storage. Korean J Food Nutr, 13, 563-569 

  13. SAS (1998) SAS User's GuideStatistics, 3th ed,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institute, Cary, NC, USA 

  14. Jo JS (1998) Improvement of Kimchi processing technology and extension of its shelf-life. Research report of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Kyung Hee Uni, Seoul, Korea, 98-390 

  15. Jang MS, Pack JE (2004) Effect of maesil(Prunus mume Sieb. et Zucc) juice on yulmoo mul-kimchi fermentation. Korean J Cookery Sci, 20, 511-519 

  16. Park JE, Lee JY. Jang M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06-1016 

  17. Moon SW, Park JE, Jang MS (2007) The effects of added ripened tomato on the quality of baechu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678-688 

  18.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i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19. Kim HO, Rhee HS (1975)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74-81 

  20. No HK, Lee SH, Kim S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Nutr, 24, 642-650 

  21.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20, 11-18 

  22. Moon SW, Shin HK, Gi GE (2003) Effects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Nutr, 24, 642-650 

  23. Park MJ, Jeon YS, Han JS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Nutr, 28, 359-3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