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채류껍질 추출물의 학습능력수행 및 기억력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Bark Extract on Learning Ability and Memory Improv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3, 2018년, pp.261 - 267  

김현경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범위한 식품 용도에서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과일껍질은 질기고 거친 식감과 떫은 맛이 많은 관능성의 문제로 껍질의 섭취를 꺼려하여 폐기물로서 버려지고 있지만, 과일껍질은 무기질,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일껍질 유래의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사과 또는 배의 과채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학습능력 수행 또는 기억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혼합 추출물은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억제활성이나 스코폴라민 유도 동물 모델의 수미로 실험에서 학습능력 수행방 및 기억력 증진효과가 더욱 현저하였다.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볼 때 과채류 껍질 추출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단기기억, 장기기억 활성 촉진으로 콜린성 신경계를 자극하여 기억 및 학습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치매 물질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effecs of fruit and vegetable bark resources rich in beneficial substances on the learning ability and memory improvement. It functions to inhibit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in brain tissue and improve cognitive functions in a simulation model of co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수 있는 사과 또는 배의 과일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학습능력 수행 및 기억력 증진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50% 정도를 차지하는데,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의한 인지기능 장애는 학습과 기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교감신경의 심각한 손상과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4]. 이에, 콜린성 기능저하 유도는 사람의 인지력 저하를 위한 효과적인 실험모델로 제시되었다.Scopolamine은 체내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하여 항무스카린성 효과를 내는 약물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신경접합부에 있는 아세틸콜린을 분해하여 인지력을 감소시키므로 새로운 항치매 약물의 평가를 위한 실험모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5, 6, 7,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 또는 배의 과채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학습능력 수행 또는 기억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일껍질 유래의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사과 또는 배의 과채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학습능력 수행 또는 기억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혼합 추출물은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억제활성이나 스코폴라민 유도 동물 모델의 수미로 실험에서 학습능력 수행방 및 기억력 증진효과가 더욱 현저하였다.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란 가벼운 기억장애로부터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저하, 정서장애, 성격장애 및 행동장애 등으로 직업, 사회생활 및 대인관계에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없게 하는 질병을 말한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50% 정도를 차지하는데,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의한 인지기능 장애는 학습과 기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교감신경의 심각한 손상과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4].
과일껍질에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가? 본 연구는 광범위한 식품 용도에서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과일껍질은 질기고 거친 식감과 떫은 맛이 많은 관능성의 문제로 껍질의 섭취를 꺼려하여 폐기물로서 버려지고 있지만, 과일껍질은 무기질,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일껍질 유래의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사과 또는 배의 과채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학습능력 수행 또는 기억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DB, Ahn EY, and Kim EJ,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by curcumin in high fat diet fed mice", The Jor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1), pp. 315-323,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1.315. 

  2. Kim HK, "The functional effects of antimicroba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seaweed polysaccharide extracts," The Jor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2), pp. 155-163,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2.155. 

  3. Nordberg A,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congnitive dysfunction indementia disorders," Acta. Neurol. Scand. Suppl., Vol. 168, pp. 87-92, 1996. 

  4. Giovannini MG, Casamenti F, Bartolini L, and Pepeu G, "The brain cholinergic system as atarget of cognition enhancers," Behav. Brain. Res., Vol. 83, pp. 1-5, 1997. 

  5. Fodale V, Quartrone D, Trecroci C, Caminiti V, and Scantamaria LB., "Alzeheimer's disease and anaesthesia: implications for the central cholinergic system," Br. J. Anaesth., Vol. 97, pp. 445-452, 2006. 

  6. Bartus RT, "On neurodegenerative disease, model and treatment strategies: lessons learned and lessons forgotten a generation following the cholinergic hypothesis," Exp. Neurol., Vol. 163, pp. 495-529, 2000. 

  7. Mishima K, Iwasaki K, Tsukikawa H, Matsumoto Y, Egashira N and Abe K, "The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spatial cognition parallels the acetylcholine release in the ventral hippocampus in rats," Jpn. J. Pharmacol., Vol. 84, pp. 163-173, 2000. 

  8. Yamada N, Hattori A, Hayashi T, Nishikawa T, Fukuda H, and Fujino T, "Improvement of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by Z-ajoene in the water maze in ice," Pharmacol. Biochem, Behav., Vol. 78, pp. 787-791, 2004. 

  9. Sun J, Chu YF, Wu X, and Liu RH,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common fruits', J. Agr. Food Chem., Vol. 50, pp. 7449-7454, 2002. 

  10. Liehtentha, R., and Marx, F., "Total oxidant scavenging capacitie of common european fruit and vegetable juices,". J. Agr. Food. Chem., 53, 103-110 (2005). 

  11. Contreras-Calderron J, Calderon-James L, Guerra-Hermandez E, and Garcia-Villanova B,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in pulp, peel, and seed from 24 exotic fruits from Colombia," Food. Res. Int., Vol. 44, pp. 2047-2053, 2011. 

  12. Maritess C, Small S, and Waltz-Hill M, "Alternative nutrition therapies in cancer patients," Semin. Oncol. Nurs., Vol. 21, pp. 173-176, 2005. 

  13. Khonkarn R, Okonogi S, Ampasavate C, and Anuchapreeda S, "Investigation of fruit peel extacts as sources for compounds with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human cell lines," Food. Chem. Toxicol., Vol. 48, pp. 2122-2129, 2010. 

  14. Canal N, and Imbimbo BP, "Relationship between pharmacodynamic activity and cognitive effects of eptastigmine in patients with A lzheimer's disease," Clin. Pharmacol. Ther., Vol. 60, pp. 218-228, 1996. 

  15. Davies P, and Maloney AJ, F, "Selective loss of central cholinergic neuros in Alzheimer type disease," Lancet., Vol. 2, pp. 1403-1408, 1976. 

  16. Morris RG, "Development of a water 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Neurosci. Meth., Vol. 11, pp. 47-60, 1984. 

  17.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Jr, V and Featherstone RM, "A new and rapid colormet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Vol. 7, pp. 88-95, 1961. 

  18. Rappaport F, Fischi J, and Pinto N, "An improve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cholinerase activity in serum," Clinica. Chimica. Acta., Vol. 4, pp. 227-230, 1959. 

  19. Hestrin S, "The reaction of acetylcholine and other carboxylic acid derivatives with hydroxylamine, and its analytical applicatio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180, pp. 249-261, 1949. 

  20. Dawson GR, and Iversen SD., "the effects of novel choinesterase onhibitors and selective muscarinic receptor agonists in tests of reference and working memory," Behaviournal. Brain. Researc., Vol. 57, pp. 143-153,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