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열증기와 초고압 처리법을 적용한 간장 소스의 냉장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oy Sauce Treated with Superheated Steam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Cold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4, 2013년, pp.387 - 398  

최윤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지혜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인영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은경 ((주)다손 생명공학연구소) ,  권대중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혜원 (신흥대학교 호텔조리과) ,  윤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식에서 활용도가 높은 간장 소스를 생산할 때 새로운 가공 기술인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을 적용해보고, 저장기간 동안($5^{\circ}C$, 30일) 그 품질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소스 제조에 앞서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저장기간(0,7일)동안 PPO의 활성이 억제되고 색과 BP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고, 관능적으로 색, 향,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재료를 첨가하여 간장소스를 제조하였고 열 또는 초고압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하였다. 저장기간(0,7,14,30일) 동안 소스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살균방법에 따라 염도, 당도, pH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색도 측정 시 과열증기로 전처리하지 않은 재료를 첨가한 간장 소스에 비해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재료를 첨가한 간장 소스에서 L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살균 방법에 따라서는 초고압 처리한 경우 L값이 높게 유지되었다. 일반 세균은 열 또는 초고압 살균 시 저장기간 동안 4 log CFU/g 이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대장균 과 B. cereus는 모든 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소스의 점도는 열 또는 초고압 살균한 군에서 저장기간 동안 유지되었으며, 살균하지 않은 군은 점차 감소하였다. 간장 소스를 이용하여 만든 불고기의 관능검사 결과, 과열증기 전처리와 초고압 살균을 병행한 군에서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짠 맛과 단 맛은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후 간장 소스를 제조하고, 소스 살균을 위해 비가열 살균 방법인 초고압으로 처리했을 때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냉장 유통 간장 소스 제조 시 품질이 유지되고 관능적으로 우수하며, 위생적으로 안전한 소스를 생산하기 위해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ed soy sauce is one of the popular seasoning sauces added to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such as Bulgogi, Galbi. However, industrially processed sauces have poor sensory quality because of heating treatment for steri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easoned soy sauce hav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소스 제품들은 바쁜 현대인들이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앞으로도 그 시장성이 매우 밝으나, 맛과 품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적극 활용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신선한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안전한 고품질의 소스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식에 활용도가 높은 간장 소스를 이용하여, 저장기간 동안 신선한 맛과 품질이 유지 되면서 위생적으로 안전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을 소스 개발에 접목시키고, 저장기간 동안 그 품질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으며, 과열증기는 식재료(사과, 양파, 마늘)의 전처리를 위해, 초고압은 간장 소스의 비가열 살균을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간장 소스를 비가열 살균 방법인 초고압으로 살균한 후 냉장 저장 중의 품질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 조건과 비교하기 위해 Ahn JJ 등(2012)의 연구를 참고하여 냉장으로 유통되는 저온 살균 조미 소스의 열 살균 조건(85℃, 30분)을 이용하여 시료를 처리하기로 하였다. 항온 수조(SVS 10LS, Sous-vide supreme, China)를 처리하고자 하는 온도인 85℃보다 1℃ 높은 86℃로 미리 예열해 놓고(시료를 넣었을 때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감안), 진공 포장된 시료를 넣어 30분간 열처리 한 후 시료의 온도가 85±1℃가 되었을 때 꺼내어 즉시 얼음물에 10분간 담그는 방법으로 살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식에서 활용도가 높은 간장 소스를 생산할 때 새로운 가공 기술인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을 적용해 보고, 저장기간 동안(5℃, 30일) 그 품질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소스 제조에 앞서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 저장기간(0,7일)동안 PPO의 활성이 억제되고 색과 BP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고, 관능적으로 색, 향,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과열증기기(QF5100CB-RCL, NAOMOTO, Japan)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매뉴얼 중 채소의 열처리 조건을 기준으로 하 여 재료를 2~3 mm의 두께로 자른 후(사과의 경우, 씨 부분 제거) heater 100℃, steam 280℃ 조건으로 사과는 1분 30초, 양파는 30초, 마늘은 1분 동안 체류시켰다. 처리한 시료는 바로 폴리에틸렌 비닐에 담아 얼음 위에서 급속히 냉각 시켰으며, 재료 표면의 온도가 18℃가 되었을 때 가정용 블랜더(HR 2094, Philps, China)로 30초 동안 갈은 후, 유리 용기에 담아 5℃에서 냉장 보관하면서 소스 제조 및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가열 가공기술에는 어떤 것이 연구되고 있는가? 즉, 다양한 천연 식재료를 사용하여 프리미엄 소스를 만들어도 최종 가공단계에서 살균 을 위한 고온의 가열 처리를 하면 영양학적, 관능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한 새로운 가공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가열 조리 기술로는 고온고압 증기를 이용하는 과열증기(superheated steam)기술이 선보이고 있고, 비가열 가공(non-thermal process)기술로는 초고압(high hydrostatic pressure), 감마선 조사(gamma irradiation), 광펄스 (high intensive pulsed light) 등이 연구되고 있다(Park JG 등 2012, Kim BC 등 2012, Koo SY 등 2007). 이 중 과열증기는 지금까지 산업적으로 제품의 건조나 저장 중 품질 유지를 위 해 사용되어 왔으며(Sotome I 등 2009, Speckhahn A 등 2010), 고온의 증발 증기를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건조 후 건조 제품의 품질 향상, 환경오염 물질 배출 최소 등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건조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Kim OS 등 2008).
비가열 가공기술인 초고압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아직까지 과열 증기가 식품 조리를 위해 사용된 연구는 많지 않으며, 일부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250~350℃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단시간 내에 식품에 열을 전달하여 장시간 가열 조리 시 발생하는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 하고 식재료 고유의 맛, 향, 색, 질감 등을 최대한 유지시 키며 비타민 C 산화, 갈변 현상을 억제하고 미생물을 제어하 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Sila DN 등 2005, 吉田 隆 2005). 한편, 비가열 가공기술인 초고압은 액체 또는 고체 식품을 100~900 MPa의 정수압으로 처리하는 기술로서 식품의 향미, 색, 영양성분과 연관된 화학적 반응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끼치고, 미생물 및 효소의 불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식품산업에서 고품질의 제품 생산을 위한 목적으로 부각되고 있다(Koo SY 등 2007, Rastogi NK 2007). 그러나 이러한 가공기술을 소스 개발에 접목시킨 예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한 새로운 가공법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그러나 식품 보존제 사용은 첨가물을 기피하는 소비자들 의 성향에 따라 점차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고, 전통적인 가열 처리 공정은 열에 의한 영양 성분의 파괴, 질감, 색 및 향 변화와 같은 품질 저하를 동반한다. 즉, 다양한 천연 식재료를 사용하여 프리미엄 소스를 만들어도 최종 가공단계에서 살균 을 위한 고온의 가열 처리를 하면 영양학적, 관능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한 새로운 가공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가열 조리 기술로는 고온고압 증기를 이용하는 과열증기(superheated steam)기술이 선보이고 있고, 비가열 가공(non-thermal process)기술로는 초고압(high hydrostatic pressure), 감마선 조사(gamma irradiation), 광펄스 (high intensive pulsed light) 등이 연구되고 있다(Park JG 등 2012, Kim BC 등 2012, Koo SY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hn JJ, Akram K, Lee JG, Kim KS, Kwon JH. 2012. Identification of a gamma-irradiated ingredient (garlic powder) in Korean barbecue sauce by thermo luminescence analysis. J Food Sci 77(4):476-480 

  2. Ahn SC, Lee GC. 2005. Effects of anti browning agents on browning of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24-32 

  3. Anese M, Nicoli M, Dallaglio G, Lerici C. 1995. Effect of high pressure treatments on peroxidase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J Food Biochem 18: 285-293 

  4. Arias E, Gonzalez J, Lopez-Buesa P, Oria R. 2008. Optimization of processing of fresh cut pear. J Sci Food Agric 88:1755-1763 

  5. Arroyo G, Sanz PD, Prestamo G. 1999. Response to high pressure,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vegetables: Determination of survival rates of microbial populations using flow cytometry and detection of peroxidase activity using confocal microscopy. J Appl Microbiol 86(3): 544-556 

  6. Babu TA. 2008. Cooking with superheated steam. Electronic For You 40(6): 30-36 

  7. Bengtsson H, Wikberg J, Tornberg E.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ruit and vegetable fiber suspensions. II: Effect of variations in heat treatment. J Texture Studies 42: 281-290 

  8. Bull MK, Zerdin K, Howe E, Goicoechea D, Paramanandhan P, Stockman R. 2004. The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microbi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alencia and Navel orange juice.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5(2): 135-149 

  9. Cho HY, Cho EK, Kim BC, Shin HH. 2011. Baby food processing and properties by using high pressure processing. Korean J Food Nutr 24(4):746-752 

  10. Choi SK, Kim SH, Choi EH, Shin KY, Lee JH, Lee M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by degree of hot taste. Korean J Culinary Res 16:268-277 

  11. Chow YN, Louarme Loic, Bonazzi C, Nicolas J, Billaud C. 2011. Apple polyphenoloxidase inactivation during heating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and chlorogenic acid. Food Chem 129:761-767 

  12. Cheng GW , Crisosto CH. 1995. Browning potential, phenolic composition,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y of buffer extracts of peach and nectarine skin tissue. J Amer Soc Hort Sci 120(5): 835-838 

  13. Eissa HA, Olda HM, Fadel GE, Abrahim JM, Hassan A, Elrashid AA. 2006. Thiol containing compounds as controlling agents of enzymatic browning in some apple products. Food Res Inter 39: 855-863 

  14. Erkmen O, Dogan C. 2004. Kinetic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inactivation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in broth and foods. Food Microbiol 21: 181-185 

  15. Hong JH, Yoon EK, Chung SJ, Chung L, Cha SM, O'mahony M, Vickers Z, Kim KO. 2011.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bility of Bulgogi (Korean traditional barbecued beef). J Food Sci 76(5):S306-S313 

  16. Huang YX, Ye M, Chen HQ. 2013.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alla spp. in strawberry puree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with/without subsequent frozen storage. Intl J Food Microbiol 160(3):337-343 

  17. Hwang TY, Sohn KH, Lim JH, Moon DK. 2010. Anti browning effect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chopped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7(1) 160-164 

  18.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 Food. 2008. Beauty of Korean Food: with 300 Best-Loved Recipes. JILSIRU. Seoul. pp256-259 

  19. Kim BC, Hwang JY, Wu HJ, Lee SM, Cho HY, Yoo YM, Shin HH, Cho EK. 2012. Quality changes of vegetabl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Culinary Res18(1):40-53 

  20. Kim OS, Lee DH, Chun WP. 2008. Eco-friendly drying technology using superheated steam. Korean Chem Eng Res 46(2):258-273 

  21. Kim SH, Shin KE, Choi SK, Seo YW. 2012.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the addition of red yeast rice powder roux. Korean J Culinary Res 18(4):222-232 

  22. Koo SY, Cha KH, Lee DU. 2007.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foods and biological system. Food Sci Ind 40(3):23-30 

  23. Landl A, Abadias M, Sarraga C, Vinas I, Picouet PA. 2010.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quality of acidified Granny Smith apple puree product.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11: 557-564 

  24. Lee EJ, Mun KC. 2012.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Korean sauces-focusing on the success of world-wide sauces. Korean J Culinary Res 18(3): 108-120 

  25. Lee SH, Park ML, Lee SH, Kim HR, Choi SK,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easoning sauce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and salted liquid of Prunus mume. Korean J Culinary Res 16(5):247-263 

  26. Liaotrakoon W, Clercq N, Hoed VV, Walle DV, Lewille B, Dewettinck K. 2013. Impact of thermal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anti oxidative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flesh and red-flesh dragon fruit (Hylocereus spp.) purees. Food Bio process Technol 6:416-430 

  27. Linton M, McClements JMJ, Patterson MF. 1999.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during storage in pressure treated orange juice. J Food Protec 62: 1038-1040 

  28. Ludikhuyze L, Van Loey A, Indrawati, Smaout C, Hendrickx M. 2003. Effects of combined pressure and temperature on enzymes related to quality of fruits and vegetables: from kinetic information to process engineering aspects. Crit Rev Food Sci Nutr 43(5): 527-586 

  29. Nam JS, Choi SK, Kim D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auce with various amount of Omija extract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6(4):247-259 

  30. Nicolas JJ, Fichard-Forget FC, Goupy PM, Amiot MJ, Aubert SY. 1994. 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apple and app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09-157 

  31. Oh HS, Kim JH.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 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Korean J Food Culture 20(5):550-558 

  32. Oh HS, Park WB. 2003. Studies on the making of Teriyaki sauce using Korean soy sauce. Korean J Culinary Res 9(3):102-113 

  33. Osorio O, Martinez-Navarrete N, Moraga G, Carbonell JV. 2008. Effect of thermal treatment on enzymatic activity and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trawberry purees. Food Sci Tech Intl 14 (suppl.5): 103-108 

  34. Park JG, Song BS, Kim JH, Han IJ, Yoon YH, Chung HW, Kim EJ, Gao M, Lee JW. 2012. Effect of high-dose irradiation and autoclave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of ready-to-eat Bulgogi sauce. Radiat Phys Chem 81:1118-1120 

  35. Park WP, Cho SH, Lee DS. 1998. Screening of anti browning agents for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2):278-282 

  36. Park YH, Park SJ, Han GJ, Choe JS, Lee JY, Kang M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rocessed garlic during storage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7): 994-1001 

  37. Rastogi NK, Raghavarao KSMS, Balasubramaniam VM, Niranjan K, Knorr D. 2007.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high pressure processing of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47:69-112 

  38. Sapis JC, Macheix JJ, Cordonnier RE. 1983. The browning capacity of grapes. II. Browning potential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in different mature grape varieties. Amer J Enol Vitic 34(3): 157-162 

  39. Sila DN, Smout C, Vu ST, Loey AV, Hendrick M. 2005. Influence of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texture and cell wall components of carrots during thermal processing. J Food Sci 70(2):85-91 

  40. Sohn KH, Lim JK, Kang UY, Park JY, Noguchi A. 1996. High pressure inactivation of alliinase and its effects on flavor of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28(3):593-599 

  41. Sotome I, Takeneka M, Koseki S, Ogasawara Y, Nadachi Y, Okadome H, Isobe S. 2009. Blanching of potato with superheated steam and hot water spray. LWT-Food Sci Technol 42:1035-1040 

  42. Soliva-Fortuny RC, Biosca M, Nuria GM, Martin-Belloso O. 2002. Browning, polyphenoloxidase activity and headspace gas composition during storage of minimally processed pears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J Sci Food Agric 82:1490-1496 

  43. Speckhahn A, Srzednicki G, Desai DK. 2010. Drying of beef in superheated steam. Drying Technol 28:1072-1082 

  44. Timmermans RAH, Mastwijk HC, Knol JJ, Quataert MCJ, Vervoort L, Van der Plancken I, Hendrickx ME, Matser AM. 2011. Comparing equivalent thermal, high pressure and pulsed electric field processes for mild pasteurization of orange juice. Part I: Impact on overall quality attributes.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12: 235-243 

  45. Valdramidis VP, Graham WD, Beattie A, Linton M, Mckay A, Fearon AM, Patterson MF. 2009. Defining the stability interfaces of apple juice: Implications on the optimization and design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10: 396-404 

  46. Vamos-Vigyazo L. 1981. Polyphenoloxidase and peroxidase in fruits and vegetables. Crit Rev Food Sci Nutr 15: 49-127 

  47. Vercammen A, Vivijs B, Lurquin I, Michiels CW. 2012. Germination and inactivation of Bacillus coagulans and Alicyclobacillus acidoterrestris spores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in buffer and tomato sauce. Intl J Food Micobiol 152:162-167 

  48. Vikousi H, Koutsoumanis K, Biliaderis C. 2008. Kinetic modelling of non-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 concentrates differing in water activity under isothermal and dynamic heating conditions. Food Chem 107: 785-796 

  49. Yin XF, Choi SK, Namkung 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reducing sauce made with apple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6):823-829 

  50. Zuo L, Lee EJ, Lee HJ. 2004. Effect of hot water treatment on quality of fresh-cut apple cubes. Food Sci Biotechnol 13(6): 821-825 

  51. 吉田 隆. 2005. 過熱水蒸氣技術集成. 株式會社 エヌ.ティエス. pp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