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auce added with extracts of pear and suga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4, 2015년, pp.465 - 474  

박연옥 (송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배의 가공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당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2종 소스(간장소스와 된장소스)를 개발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성을 알아보고 훈제오리와의 조화도를 평가하여 육류요리와 어울리는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종 소스는 이론적인 레시피와 다량조리 실험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최종 레시피를 결정하였다. 또한 된장소스는 관능평가에 재료의 입자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마늘과 양파를 0.2cm 크기로 다진 것과 분쇄기에 분쇄한 두 가지 형태(된장소스 I,II)로 제조하여 관능평가 실시하여 그 결과 최종 소스를 확정하여 이후 이화학적 분석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된장소스 I이 강도 관능평가에서 향미, 색깔, 맛, 전체적인 품질이 더 높게 평가되었고(p<0.05) 기호도 평가에서는 색깔, 맛, 산미, 훈제오리와의 조화도, 전체적인 선호도 에서 된장소스 II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따라서 된장소스 I을 선택하여 차 후 이화학적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간장소스와의 관능평가 결과 이취, 색깔, 점도는 간장소스가 유의적으로 된장소스 I보다 더 높았으며(p<0.05) 냄새, 맛, 후미, 전체적인 품질은 된장소스 I이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두 소스의 기호도 평가에서는 된장소스 I이 맛, 오리훈제와의 조화도,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p<0.05). 배당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2{\pm}5mg/100g$ 이었고 DPPH radical 소거능$9.7{\pm}3.7%$,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14.2{\pm}7.5%$였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간장소스 $147.7{\pm}12.6mg/100g$, 된장소스 $156.2{\pm}13.4mg/100g$로 두 군이 유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43.6{\pm}6.3%$, 된장소스 $17.0{\pm}5.0%$로 간장소스의 활성이 높았고,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18.9{\pm}2.1%$, 된장소스 $17.0{\pm}9.0%$로 두 소스가 유사하였다. 개발된 두 소스의 저장성 평가에서 pH, 염도, 미생물, 색도의 변화는 저장기간 동안 유의하지 않았고 당도는 간장소스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점도변화는 간장소스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도가 감소하였고,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장기간 동안 소스의 점도변화를 안정화시키면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배와 배당침액, 마늘, 양파 등 각 소스 재료의 다양한 기능성분을 함유하면서 항산화활성이 높고 저장성이 안정적인 육류 요리 소스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auce added with extracts of pear and sugar. The commercial possibility of these sauces was investigated by sensory and preference evaluations. First, the sensory eval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작용과 뛰어난 기능성 물질을 갖고 있는 배를 활용하는 일환으로서 배를 가공하여 소스 개발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배를 소스 만드는 주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배당침액을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간장 소스와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 배를 소스 만드는 주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배당침액을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간장 소스와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또한 개발한 두 소스의 기능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60일 저장기간 동안의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각각 소스의 결과 자료를 기본 자료로 하여 육류요리에 잘 어울리는 소스로 제안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배의 가공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당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2종 소스(간장소스와 된장소스)를 개발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성을 알아보고 훈제오리와의 조화도를 평가하여 육류요리와 어울리는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종 소스는 이론적인 레시피와 다량조리 실험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최종 레시피를 결정하였다.

가설 설정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스의 어원은? 소스는 고대 로마시대부터 요리의 맛과 색상을 내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액체 또는 반 유동상의 조미료로서 ‘소금을 기본으로 한 조미액’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Salsa’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소스는 음식의 맛과 냄새 및 색상을 좋게 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영양가를 높이면서 수분을 유지시켜 주며, 조리과정 중 재료들을 서로 결합시켜 음식이 조화를 이루게 한다(11).
마늘과 양파를 다져서 만든 배당침액을 첨가한 된장소스의 맛, 오리훈제의 조화도,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은 평가로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05)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얘기 했듯이 된장소스Ⅰ은 마늘과 양파의 입자가 입안에서 씹히면서 훈제오리 섭취 후 입안에 남았던 기름진 후미를 개운하게 제거를 해주고 일반적으로 된장 숙성과정에서 생성된 담백한 맛과 신맛, 단맛 등이 어우러져 일상적으로 한국인의 입맛에 잘 맞기 때문에 훈제오리와도 잘 맞고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사료된다(31).
배에서 항암, 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함유 성분은 무엇인가? 3% 내외로서 다른 과실과 큰 차이가 없으나,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변비 및 정장작용이 탁월하다(2). 배를 연구한 많은 보고서에 의하면 배에는 chlorogenic acid, rutin, procyanidins, catechin, epicatechin, arbutin(4-hydroxyphenyl-β-D-glucopyranoside)등 폴리페놀 (polyphe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져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3). 배를 이용한 가공품 연구는 Rosa 등의 배즙 malic acid의 항균효과(4)와 김치로부터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51-3을 배양하여 발효된 배퓨레의 발효 특징(5), 배 첨가가 막걸리의 품질과 생리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6), 고품질 배 와인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 조건과 품질 특성(7), 배와 과채류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8), 공기와 화학첨가제 조절에 의한 신선편이 배의 품질변화(9), 배즙과 배건조 분말을 첨가한 배양갱(10)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주로 음료나 술, 생과에 치중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YB, Kang KM, Kim JH, Park LY, Lee S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ild grass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731-1736 

  2. Kim JB (2003) Story of our pea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Horticulture research, Suwon, Korea, p 18-22 

  3. Zhang UB, Choi HJ, Han HS, Park JH, Son JH, Bae JH, Seong TS, An BJ, Kim HG, Choi C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Korean J Food Sci Tech, 35, 959-967 

  4. Rosa M. Raybaudi M, Jonathan MM, Olga MB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malic acid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Enteritidi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apple, pear and melon juices. Food Control, 20, 105-112 

  5. Kim DC, Chae HJ, In MJ (201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puree by the Leuconostoc mesenteroides 51-3 strain isolated from kimchi. Afr J biotech, 9, 5735-5738 

  6.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 606-611 

  7. Song JH, Chun JP, Na KC, Moon JH, Kim WS, Lee JS (2009)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ear wine and characteristics of pear wines. Korean J Microbiol Biotech, 37, 213-218 

  8.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002)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drink products using pear and vegetables,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GA, 0315-0207 

  9. Gorny JR, Hess-Pierce B, Cifuentes RA, Kader AA (2002) Quality changes in fresh-cut slices as affected by controlled atmospheres and chemical preservatives. Postharvest Biol Technol, 24, 271-278 

  10. Park YO, Choi JH, Choi JJ, Yim SH, Lee HC, Yoo M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pear juice and dried pear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18, 692-299 

  11. Choi SK, Choi HS (2006) Cuisine and Sauce. Hyungseul Publishing, Seoul, Korea, p 10-11 

  12. Yin XF, Choi SK, Namkung 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reducing sauce made with apple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23-928 

  13. Nam JS, Choi SK, Kim D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auce with various amount of Omija extract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6, 247-259 

  14. Oh HS, Kim JH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 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mus officinalis S. et Z. Korean J Food Culture, 20, 550-558 

  15. Oh HS, Park B (2003) Studies on the making of Teriyaki sauce using Korean soy sauce. Korean J Culinary Res, 9, 102-113 

  16. Oh KH, Song HS (2013) Sensory evaluation of seasoned soy sauce with Hutagae (Hovenia dilcis Thunb) fruit and pear extracts. Korean J Food Nutr, 26, 323-328 

  17. Joo HK, Oh KT, Kim DH (1992) Effects of mixture of improved Meju, Korean traditional Meju and Natto on soybean past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86-293 

  18. Pratt DE, Pietro CD, Paster WL, Giffee JW (1981) Phenolic antioxidants of soy protein hydrolyzates. J Food Sci, 47, 24-25 

  19. Esaki H, Nohara Y, Onizaki H, Osawa T (1990) Antioxidative activity of natto. Nippon Shosuhin Kogyo Gakkaishi, 37, 474-477 

  20. Shin ZI, Yu R, Park SA, Chung DK, Ahn CW, Nam HS, Kim KS, Lee HJ (2001) His-his-leu, an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derived from Korean soybean paste, extracts antihypertensive activity in vivo. J Agric Food Chem, 49, 3004-3009 

  21. Kim YT, Kim WK, Oh HI (1995)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r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ookjang.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1-5 

  22. Chang KH, Cho KH, Kang MK (2012)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conditio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umpkin-doenjang sauce. Korean J Food Preserv, 19, 492- 500 

  23. Joo NM, Jung HS, Yoon JY, Park SH, Lee SM, Song YH, Lee JH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ybean paste sauce with walnuts and sesame seeds. Korean J Culinary Res, 16, 298-306 

  24. Choi SK, Sung TG (2014) Sauce school. Haseo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7-137 

  25. Choi SJ, Park KY (2014) Fermented soybean paste is good in our's body. Leescom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74 

  26. Yoon HS, Joo SJ, Kim KS, Kim SJ, Kim SS, Oh M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cutlet sauce added with rice soybean past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472-476 

  27.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2001) Food Code, p 539-564 

  28.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domestica 1-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29.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 823-833 

  30. Shiddhuraju P, Mohan PS, Becker K (2002) Studies on the oxidant activity of Indian laburnum (Cassia fistula L) : a preliminary assessment of crude extracts from stem bark, leaves, flowers and fruit pulp. Food Chem, 79, 61-67 

  31. Lee JH, Kim ML, Min HS, Lee YY, Song YS, Kwon SJ, Kim MJ, Song HN (2012) The food & principle of cookery, Kyomunsa Publishing Co., Paju, Korea, p 71, 130-140 

  32. Lee JH, Kim MR (2008) Changes i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pices and herbs during cook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32-156 

  33. Zang YB, Bae MJ, An BJ, Choi HJ, Bae JH, Kim S, Choi C (2003)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 in quality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olyphenol compound during long-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5-120 

  34. Choi JJ, Lim SH, Choi JH, Park JH, Nam SH, Lee HC (2013)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pyrifoli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Korean J Food Preserv, 20, 222-226 

  35.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36. Zhang UB, Choi HJ, Han HS, Park JH, Son JH, Bae JH, Seong TS, An BJ, Kim HG, Choi C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59-967 

  37. Jung KA, Park CS (2013)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Korean J Food Preserv, 20, 134-139 

  38. Nakagawa H, Tsubura A(2001)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dially disulfide o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Carcinogenesis, 22, 891-897 

  39. Miean KH, Mohamed S (2001)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40. Chung HK, Shin MJ, Cha YJ, Lee KH (2011) Effect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lipid profile and blood coagulation in high fat fed SD rats. Korean J Food Nutr, 24, 442-450 

  41. Yang MH (2006) Functional studies of the heart, and the Korean pear orchard. Korean J Sci Tech, 24, 50-56 

  42. Lee SY, Jeong HJ, Lee YY, Kim ML, Kim ML(b), Song HN (2013) Food chemistry. Power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55-357 

  43. Kim HD, Yim SB, Oh HL, Jeon HY, Kim CR, Kim NY, Hong YP, Lee JH, Kim MR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sahisandra chinensis Baillon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yam juice and mulber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531-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