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백시 소각로 내 NOx 제거를 위한 전산유체역학(CFD) simulation 연구
Study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Simulation for De-NOx in the incinerator at Taebaek city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0 no.2, 2013년, pp.320 - 332  

김지현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영구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각로 내 공기 주입은 연소가스의 체류시간, 미연분 제거 및 출구가스 온도 제어 등의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에 따라 2차 연소용 공기량을 변화시켜 충분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850^{\circ}C$ 이상의 출구가스 온도를 유지하며, 높은 turbulent를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소각로 운영이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소각장의 소각로를 설계하고, 평균 일일 소각량을 바탕으로 1차 공기량을 산정한 후 2차 공기량을 변화하여 CFD 프로그램(Fluent)을 통해 이론적인 공기유동을 규명하였다. 또한 산정된 공기량을 바탕으로 실제 운영 중인 소각장에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연소조건을 도출하였다. CFD simulation 결과 1.2차 공기비는 75:25가 최적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2차 공기 분사노즐 전 후면 유속 비는 1:3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운영 중인 소각로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소각로 출구온도는 질소산화물 제거 효율 및 일산화탄소 발생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 air to MSW incinerator influences on the residence time of combustion gas, removal of unburnt ash and exiting gas temperature. Thus the secondary air volume could present sufficient residence time which can maintain the exiting temperature over $850^{\circ}C$. The secondary ai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운영 중인 T(태백)시 소각장을 대상으로 소각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공기의 유동현상을 수치해석모델을 적용하여 모사하였으며, 각각의 결과에 따른 세부 사항을 운영 중인 플랜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운전 조건을 도출하였다.
  •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는 협소한 국토 면적에 따른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각에 의해 발생된 폐열 등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의 목적도 있다. 그러나 소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지역 주민들과 끊임없는 마찰을 빚게 되고, 이러한 집단 이기주의인 NIMBY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폐기물 완전 연소에 따라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최소화 시키고, 친환경적인 소각 시설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법의 목적은?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는 협소한 국토 면적에 따른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각에 의해 발생된 폐열 등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의 목적도 있다. 그러나 소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지역 주민들과 끊임없는 마찰을 빚게 되고, 이러한 집단 이기주의인 NIMBY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폐기물 완전 연소에 따라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최소화 시키고, 친환경적인 소각 시설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각로 내 공기 주입은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에 따라 소각설비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 소각로 내부의 완전 연소를 꾀하고, 연소 제어, 공기주입에 따른 연소가스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공기유동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 소각로 내 공기 주입은 연소가스의 체류시간, 불완전연소의 제거, 소각로 출구온도제어 등의 많은 영향을 미친다[5]. 이에 따라 소각로 부하에 따른 제한적인 1차 공기량을 제외한 2차 연소용 공기량을 변화시켜 충분한 체류 시간을 확보하고, 850 ℃ 이상의 출구 가스온도를 유지하여 지속적인 turbulent 관리로 불완전 연소를 방지해야 한다.
연소분야에서 전산유체역학의 이점과 한계점은? 연소분야에 있어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은 pilot test 또는 plant에서 직접 측정을 보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연소로 설계 및 성능 예측에 이용되고 있다. 이는 난류, 반응, 복사 등에 세부모델로부터 지배방정식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여 온도 및 유속에 관한 유동장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으나, 해석에 따른 신뢰성에 대한 검증이 전제되어야 한다[1,2,3]. 이에 따라 소각설비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 소각로 내부의 완전 연소를 꾀하고, 연소 제어, 공기주입에 따른 연소가스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공기유동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antos, A. M, Study of MSW Incinerator Overall operation and on-site measurement over the grate STEV Project Report, Royal Institute Publishing Company, Sweden No. FBT-91/14, (2003) 

  2. V. Nasserazadeh et al.,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he Convertry MSW Incinerato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Experiment Date, Trans IChemE (1993) 

  3. J. Swithenbank et al., Effect of High Speed Secondary Air Jet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Large MSW Incinerator with a Vertial Shaft, Combust. Sci. and Tech, Vol. 92. p. 389-422 (1993) 

  4. T, Klasen and K. Gorner, Numerical Simulation and Optimisation of a Larg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Plant, The 2nd Int. Symp. Incineration and Fuel Gas Treatment Technologies (2011) 

  5. Y. Kori, R. Takeya, Cross Jet Mixing and Its Effects on Combustion Performance in MSW Incinerators with Natural Gas Reburning, The 3rd Int. Symp. Incineration and Fuel Gas Treatment Technologies (1999) 

  6. V. Nasserazadeh, J. Swithenbank, and B. Jones, Design Opimization of a large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Waste Management, Vol.11, p. 249-261 (1991) 

  7. S. M. Choi, S. K. Kim, D. H. Shin, Cold Flow Simulation of Municipal Waste Incinerators, 25th Symp. Comd (1994) 

  8. G.Y. Hwang, A Study of Numerical Simulation on Flow Fiel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Incinerator According to Air Indection Angles (2004) 

  9. Robinson, G., A Tree Dimentional Analystical Model of a Large Tangentially Fired Furnace", J. of the Institute of Energy, Vol. 166, p. 116-150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