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에 대한 호기심과 친근감 향상을 위한 해양캠프 프로그램의 적용: 2004~2012년
Application of Oceanic Camp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Inquisitiveness and Affection to Ocean: from 2004 to 2012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8 no.3, 2013년, pp.142 - 161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우혜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경렬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이수광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정종률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조병철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강현주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초록

해양에 대한 관심과 친근감을 함양하기 위하여 해양캠프 '여름바다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 동안 4학년에서 9학년까지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여름바다학교의 프로그램은 스노클링 해상 훈련과 인근 해양관련 연구소 및 박물관 견학활동, 해양 관련 각종 체험 학습, 해양 및 지구과학 관련 야외답사 활동, 그리고 해양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강연으로 구성되었다. 본 해양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의 정의적 및 인지적 특성 변화 및 해양학적 소양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9가지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여름바다학교 시행 후 정도의 차이는 보이나 모든 학생들이 해양에 대한 흥미, 호기심, 열정 등 정의적 특성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13가지 소양 항목으로 분석한 해양에 관한 인지적 특성도 40%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바다 학교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응도 조사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초기에는 전공분야로서 해양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던 몇몇 학생들이 수 년이 지난 후 앞으로의 전공 분야로 해양학을 선정한 사례도 발견되었다. 이는 해양캠프 활동이 해양 분야의 잠재적 과학영재의 지원 체계로서 성공적인 기능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여름 해양캠프 활동의 장기 수행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잠재적 능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가까운 미래에 발현하게 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이는 차세대 해양 인력 양성을 위해 과학 캠프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좀 더 발전적으로 개발되고 수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nhance scientific interest and a sense of affinity about ocean, the programs of the oceanic camp 'oceanic summer schoo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4^{th}$ and $9^{th}$-grad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9 years from 2004 to 2012. It was composed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에서 제시한 해양학적 소양은 어떤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여름바다학교를 개최하면서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함양함과 동시에 인지적 측면에서의 해양 관련 기본적인 지식도 전달하고자 하였다. 미국에서 제시한 해양학적 소양은 해양의 특징, 해양의 지형, 해양과 일기-기후의 관계, 생명체에 대한 해양의 역할, 해양 생태계와 종 다양성, 해양과 인류와 미지의 영역에 대한 총 44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Cava et al., 2005).
해양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연구하여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해양은 지구 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열의 저장고로서 대기로 방출된 방대한 열과 이산화탄소 등 온실 기체를 흡수하여 저장함으로써 기후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Siegenthaler and Sarmiento,1993; IPCC, 2007). 최근에는 해양 수온의 상승으로 온실 기체 수용 능력이 감소되고 그로 인해 지구온난화는 더욱 가속되고 있으며, 해양 산성화로 인한 해양 생태계도 위협받고 있음이 보고되었다(Sarmiento et al., 1998; Chuck et al., 2005; Doney et al., 2009; Hoegh-Guldberg and Bruno, 2010). 미래의 기후 변화의 조절자로서 해양의 역할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Rahmstorf, 2002). 따라서 해양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연구하여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여름바다학교의 프로그램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해양에 대한 관심과 친근감을 함양하기 위하여 해양캠프 '여름바다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 동안 4학년에서 9학년까지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여름바다학교의 프로그램은 스노클링 해상 훈련과 인근 해양관련 연구소 및 박물관 견학활동, 해양 관련 각종 체험 학습, 해양 및 지구과학 관련 야외답사 활동, 그리고 해양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강연으로 구성되었다. 본 해양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의 정의적 및 인지적 특성 변화 및 해양학적 소양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9가지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va, F., S. Schoedinger, C. Strang and P. Tuddenham, 2005. Science content and standards for ocean literacy: A report on ocean literacy. Ocean Literacy Network, 50 pp. 

  2. Chang, K.A. and H. Cha, 2006. Development of ecology experience program focused on bird watching in tidal flats of southern Gang-Hwa Island. Korean J. Bio. Edu., 34(4): 439-4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K.S., H.Y. Byeon and C.B. Kim, 2002.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the effect of field study on the affective domain in science and on achievement of students. J. Korean Earth Sci. Soc., 23(8): 649-6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ck, A., T. Tyrrell, I.J. Totterdell and P.M. Holligan, 2005. The oceanic response to carbon emissions over the next century: investigation using three ocean carbon cycle models. Tellus, 57(1): 70-86. 

  5. Doney, S.C., V.J. Fabry, R.A. Feely and J.A. Kleypas, 2009. Ocean acidification: The other $CO_2$ problem, Annu. Rev. Mar. Sci., 1: 169-192. 

  6. Fields, D.A., 2009. What do students gain from a week at science camp? youth perceptions and the design of an immersive, researchoriented astronomy camp. Int. J. Sci. Edu., 31(2): 151-171. 

  7. Hoegh-Guldberg, O. and J.F. Bruno, 2010.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orld's marine ecosystems, Science, 328: 1523-1528. 

  8.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IPCC, 52 pp. 

  9. Kim, C., J. Cha, I. Kim, J. Choi and B. Hwang,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e-centered science camp programs. J. Sci. Edu., 35(1): 102-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C.J, D.H. Cha and C.S. Im, 1999. Introduction to science education, bookshill, Seoul, 546 pp. (in Korean) 

  11. Kim, C.J., M.K. Shin, C.Z. Lee and H. Cha, 2006.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in exhibits and an educational analysis of exhibition methods: cases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e U.S.. J. Korean Earth Sci. Soc., 27(2): 130-1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G.W. and K.Y. Lee, 2011. Developing web-based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by using flash panorama and exploring the ways of utilization: a case of Jeju Island in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32(2): 212-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C.Z. and S.W. Cheong, 2005. Development of learning place for geologic field survey around the Duta Mountain, Chungbuk,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26(1): 4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arkowitz, D.G., 2004. Evaluation of the long-term impact of a university high school summer science program on students'interest and perceived abilities in science. J. Sci. Edu. Tech., 13(3): 395-407. 

  15. McCormack, A.J. and R.E. Yager, 1989. A new taxonomy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 56(2): 47-48. 

  16. Moon, E.S. and C.H. Kim, 2003.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Edu. Psych., 17(2): 27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K.A. and K.R. Kim, 2010. Unprecedented coastal upwelling in the East/Japan Sea and linkage to long-term large-scale variations. Geophys. Res. Lett., 37, L09603, doi:10.1029/2009GL042231. 

  18. Park, J.S., W.K. Oh, J.W. Park and B.H. Chung, 1999. Criteria for the program development for science gifted children extracted from a science camp activity. J. Korea Assoc. Sci. Edu., 19(2): 329-3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Rahmstorf, S., 2002. Ocean circulation and climate during the past 120,000 years. Nature, 419: 207-214. 

  20. Ryu, C.R., 2009. Analysis of fieldtrip-related perception and attitudes of science-talented students: a case of winter school in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2007. J. Korean Earth Sci. Soc., 30(1): 81-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armiento, J.L., T.M.C. Hughes, R.J. Stouffer and S. Manabe, 1998. Simulated response of the ocean carbon cycle to anthropogenic climate warming. Nature, 393: 245-249. 

  22. Seon, H.Y. and K.H. Kim, 2007. Analysis of research in the influence of parents on the adolescent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Korea J. counsel., 8(4): 1467-14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hin, M.R. and Y.S. Lee, 2012.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J. Gifted/Talented Edu., 22(4): 967-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iegenthaler, U. and J.L. Sarmiento, 1993. Atmospheric carbon dioxide and the ocean. Nature, 365: 119-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