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사의 항산화 활성과 돈육 떡갈비로의 적용
Antioxidant Activity of Sansa (Crataegi fructus)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rk Tteokgalbi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3 no.4, 2013년, pp.531 - 541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선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최양일 (충북대학교 축산학과) ,  이현주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사 분말이 기능성식품의 식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산사의 항산화효과와 돈육 떡갈비 재료 중 육류 일부를 산사 분말로 대체하여 저장성 증진 효능을 지닌 기능성 떡갈비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산사 분말의 pH는 3.67이였으며,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각각 66.70, 8.93 및 3.02의 값을 나타내었다. 총 polyphenol과 총 flavonoid 함량은 산사 에탄올 추출물 농도 1,000 ppm에서 각각 127.00 mg/g와 54.05 mg/g로 나타났다. 산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82.26%로 합성항산화제인 BHT 및 BHA와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조구 떡갈비(N), 산사 분말을 0.5%, 1.0% 및 2.0% 첨가된 떡갈비(S1, S2, S3), 총 4종류 떡갈비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산사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p<0.05), 조회분은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가열감량은 산사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물리적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와 씹힙성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 구(S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는 육색의 경우에만 산사 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저장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pH가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다(p<0.05). 지질산패도를 측정한 결과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에 따라 TBA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p<0.05),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3)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미생물의 수는 1%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2, S3)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p<0.05), 1%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2, S3)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명도와 황색도는 산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저장 기간 상관없이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2% 산사 건조 분말이 육제품에 사용할 경우 기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육색이나 관능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Sansa (Crataegi fructus) extract in vitro, and 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s of Sansa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ansa extract w...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떡갈비에 관한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 2008). 떡갈비에 관한 연구로는 김치를 첨가한 떡갈비 개발(Lee et al., 2011a), 예측미생물학을 활용한 미강 식이섬유 함유 떡갈비의 유통기한 설정(Heo et al., 2008), 한우 떡갈비와 시중 떡갈비 제품의 품질특성 비교(Jung et al., 2010),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에탄올 추출물이 떡갈비의 품질 및 저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나(Kim et al., 2006) 아직까지 다른 유사한 분쇄 양념육 육가공 제품에 비해서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떡갈비는 무엇인가? 떡갈비는 우리나라 전통 육류 조리방법은 아니나 향토성에 맞게 전해져 내려온 향토음식으로(Lee et al., 2011a) 쇠고기의 비 선호 부위를 분쇄하여 쇠고기만 사용하거나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혼합하거나 혹은 돼지고기만을 사용하여 네모난 떡 모양이나 둥근 형태로 성형하여 열처리한 국내의 대표적인 재구성 육제품이다(Jung et al., 2010).
산사 분말이 기능성식품의 식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사 분말의 pH와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한 결과 값은 얼마인가? 본 연구는 산사 분말이 기능성식품의 식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산사의 항산화효과와 돈육 떡갈비 재료 중 육류 일부를 산사 분말로 대체하여 저장성 증진 효능을 지닌 기능성 떡갈비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산사 분말의 pH는 3.67이였으며,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각각 66.70, 8.93 및 3.02의 값을 나타내었다. 총 polyphenol과 총 flavonoid 함량은 산사 에탄올 추출물 농도 1,000 ppm에서 각각 1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788. 

  2. APHA. (1992)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4. Brewer, M. S., Ikins, W. G., and Harbers, C. A. Z.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 of packing. J. Food Sci. 57, 558-563. 

  5. Candogan, K. (2002) The effect of tomato paste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patti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Eur. Food Res. Technol. 215, 305-309. 

  6. Cha, G. S. and Choi, C. U. (1990) Determination of oxidation stability of perilla oil by the Rancimat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61-65. 

  7. Chae, S. K., Kang, G. S., Ma, S. J., Bang, K. W., Oh, M. W., and Oh, S. 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 Sa. Seoul, Korea. pp. 381-382. 

  8. Chon, J. W., Park, S. J., Han, J. H., and Park, S. H. (2005) Study of Crataegi fructus for medicinal foods applications - Nutrition composition and scheme for food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ol. 19, 1220-1224. 

  9. Flores, M., Moya, V. J., Aristory, M. C., and Todra. F. (2000) Nitrogen compounds as potential biochemical markers of pork meat quality. Food Chem. 69, 371-377. 

  10.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 Chem. 12, 239-249. 

  11. Goddar. B. L., Mikel, W. B., Conner, D. E., and Jones, E. R. (1996) Use of organic acids to improve the chemical, physical, and microbial attributes of beef strip loins stored at -1 for 112 days. J. Food Prot. 59, 849-853. 

  12. Heo, C., Kim, H. W., Choi, Y. S., Kim, C. J., and Paik, H. D. (2008)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shelf-life estimation of Tteokgalbi containing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Korean J. Food Sci. An. 28, 232-239. 

  13. Ho, C. P., McMillin, K. W., and Huang, N. Y. (1996) Ground beef lipid, color and microsomal stability in gas exchang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Proceedings. 1996 IFT annual meeting. New Orleans. LA. USA. p. 162. 

  14. Honikel, K. O., Kim, C. J., and Hamm, R. (1986) Sarcomere shortening of prerigor muscles and its influence on drip loss. Meat Sci. 16, 267-282. 

  15. Hong, S. S., Hwang, J. S., Lee, S. A., Han, X. H., Hwang, J. S., and Lee, K. S. (2002)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onnatifida Bunge. Kor. J. Pharmacogn. 33, 285-290. 

  16. Husain, S. R., Cillard, J., and Cillard, P. (198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 26, 2489-2491. 

  17. Hwang, J. K., Hong, S. I., Kim, C. T., Choi, M. J., and Kim, Y. J. (1998) Quality changes in meat patties by addition of sea mustard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77-481. 

  18. Jin, S. K., Kim, I. S., Hur, S. J., Park, K. H., Lyon, H. J., Kim, I. J., and Hah, K. H. (2005) Effect of traditional seasoning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low temperature aging pork. J. Anim. Sci. Technol. 47, 1041-1050. 

  19. Joo, K. J. and Kim, J. J. (2002) Oxidative stability and flavor compounds of sesame oils blended with vegetable oi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99-502. 

  20. Jung, D. S., Choi, J. S., Park, S. H., Min, J. H., and Choi, Y. I. (2010)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Hanwoo added Tteokgalbi and market Tteokgalbi products. Bullentin Ani. Biotechnol. 3, 57-63. 

  21. Khalil, A. 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beef patties formulated with modified corn starch and water. Food Chem. 68, 61-68. 

  22. Kang, S. N., Jang, A., Lee, S. O., Min, J. S., and Lee, M. (2002) Effect of organic acid on value of VBN, TBARS, color and sensory property of pork meat. J. Anim. Sci. Technol. 44, 443-452. 

  23. Keskinel, A., Ayres, J. C., and Hnyer, H. E. (1964) Determination of oxidative changes of meats by the 2-thiobarbituric acid method. J. Food Technol. 18, 223-228. 

  24. Kim, H. Y., Jeong, J. Y., Choi, J. H., Lee, M. A., Lee, J. H., Chang, K. H., Choi, S. Y., Paik, H. D., and Kim, C. J. (2006)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on Tteokgalbi quality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26, 478-485. 

  25. Kwon, D. J., Kim, J. K., and Bae, Y. S. (201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 wood of Acer tegmentosum. J. Korean Wood Sci. Tech. 39, 104-112. 

  26. Laakkonen, E., Wellington, G. H., and Skerbon, J. W. (1970) Low temperature longtime heating of bovine. I. Changes in tenderness, water binding capacity, pH and amount of watersoluble component. J. Food Sci. 35, 175-177. 

  27. Lee, J. J., Jung, H. O., and Lee, M. Y. (2011a) Development of Dduk-galbi added with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An. 31, 304-310. 

  28. Lee, S. H., Jeong, E. J., Jung, T. S., and Park, L. Y. (2009a)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63. 

  29. Lee, S. H., Kang, K. M., Park, H. J., and Baek, L. M. (2009b)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use as functional materials in seasoning sauce for pork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00-105. 

  30. Lee, Y. J., Kim, E. O., and Choi, S. W. (2011b)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polyphenolic compounds in mulberry (Morusalba L.) s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17-524. 

  31. MaCarthy, T. L., Kerry, J. P., Kerry, J. F., Lynch, P. B., and Buckley, D. J. (2001)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natural food plant extracts as compared with synthetic antioxidants and vitamin E in raw and cooked pork patties. Meat Sci. 57, 45-52. 

  32. Park, C. G., Bang, K. H., Lee, S. E., Cha, M. S., Sung, J. S., Park, H. W., and Seong, N. 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Med. Crop Sci. 9, 251-258. 

  33. Park, S. J., Shin, E. H., and Lee, J. H. (2012)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Crataegi fructus. Korean J. Food Nutr. 25, 897-902. 

  34. Ryu, S. W., Jin, C. W., Lee, H. S., Lee, J. Y., Sapkota, K., Lee, B. G., Yu, C. Y., Lee, M. K., Kim, M. J., and Cho, D. H. (2006)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us L. Korean J. Med. Crop Sci. 14, 307-310. 

  35. Shadihi, F., Rubin, L. J., and Wood, D. F. (1987) Control of lipid oxidation in cooked ground pork with antioxidants and dinitrosyl ferrohemochrome. J. Food Sci. 52, 564-567. 

  36. Shahidi, F. and Wanasundara, P. K.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37. Short, E. I. (1954) The estimation of total nitrogen using the Conway micro-diffusion cell. J. Clin. Pathol. 7, 81-83. 

  38. Stone, H. and Didel, Z. L. (1985)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 45. 

  39. Tichivangana, J. Z. and Morrissey, P. A. (1985) Metmyogobin and inorganic metals as prooxidants in raw and cooked muscle system. Meat Sci. 15, 107-116. 

  40. Witte, V. C., Krause, G. F., and Baile, M. 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582-587. 

  41. Young, L., Garcia, J. M., Lillard, H. S., Lyon, C. E., and Papa, C. M. (1991) Fat content effects on yield, quality, and micri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J. Food Sci. 56, 1527-152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