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화된 수술 전 교육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불안과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ructured Preoperative Instruction on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ataract Surger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4, 2013년, pp.473 - 482  

최미정 (대경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tructured preoperative instruction upon anxiety and postoperative self-care compliance. Methods: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as used. Sixty subjec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는 백내장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에 수술과정, 수술 시 감각정보에 대한 내용, 수술 후 합병증과 안약사용법 등을 포함한 수술 후 자가간호 내용을 영상과 실물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구조화된 수술 전 교육을 실시하여 수술 직전 불안과 수술 후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내장은 어떤 질환인가? 백내장은 노화, 당뇨병과 같은 전신질환, 스테로이드 장기복용, 외상,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수정체가 혼탁하게 되어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Hardy, 2009). 노인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노년 백내장의 발생률이 2000년도 75,314명에서 2010년도 221,411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백내장 수술 환자가 불안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백내장 수술은 주로 국소마취 하에서 당일수술로 이루어지고 있으며(Cho & Rho, 2012), 수술과정 동안 환자는 누워서 움직이지 않고 눈을 고정시키는 등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Morrell, 2001). 백내장은 심각한 동반질환이 없으면 수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나, 환자들은 수술로 인한 실명 가능성에 대한 공포감 및 불안감을 나타내고(Nijkamp et al., 2002),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수술이 진행되므로 절차 자체의 공포와 수술 중 경험하게 될 통증 및 감각에 대한 걱정으로 인해 불안을 느낄 수 있다(Foggitt, 2001). 불안은 치유과정을 방해하는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며(Grieve, 2002),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해 혈압과 맥박수가 증가한다(Yasunari et al.
백내장 수술 후 자가간호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백내장 수술과 같은 당일수술의 경우 환자가 병원에 머무는 시간이 적어서 의사나 간호사에 의한 치료적 관리가 적어지고 퇴원 후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가간호가 증가하게 된다(Mitchell, 2002). 백내장 수술 후 자가간호를 살펴보면 처방된 안약 점안, 안대착용, 위생, 가능한 일상생활 등과 관련된 섭생기준 준수와 합병증 발생 시 병원방문 등이 있다(Cho & Rho, 2012). 백내장 수술은 합병증의 위험이 크지는 않으나, 일부 합병증은 영구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진단시기와 치료시기가 빠를수록 시력 예후가 좋아진다(Jung, Ko, & Ki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aich, P. S., Almeida, D. R., Hollands, S., & Coleman, M. T. (2011). Effect of pictograms in educating 3 distinct lowliteracy populations on the use of postoperative cataract medication. Canadian Journal of Ophthalmology, 46 (3), 276-281. 

  2. Burns, E., & Mulley, G. P. (1992). Practical problems with eyedrops among elderly ophthalmology outpatients. Age and Ageing, 21 (3), 168-170. 

  3. Cho, K. S., & Rho, C. R. (2012). Effects of indivisualized postoperative education on anxiety levels and self-care compliance after one-day cataract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53 (3), 412-419. 

  4. Costa, M. J. (2001). The lived perioperative experience of ambulatory surgery patients.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74 (6), 874-881. 

  5. Fayers, T., Abdullah, W., Walton, V., & Wilkins, M. R. (2009). Impact of written and photographic instruction sheets on patient behavior after cataract surgery. Journal of Cataract & Refractive Surgery, 35 (10), 1739-1743. 

  6. Foggitt, P. S. (2001). Anxiety in cataract surgery: Pilot study. Journal of Cataract & Refractive Surgery, 27 (10), 1651-1655. 

  7. Gilmartin, J. (2004). Day surgery: Patients' perceptions of a nurseled preadmission clinic.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2), 243-250. 

  8. Grieve, R. J. (2002). Day surgery preoperative anxiety reduction and coping strategi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1 (10), 670-678. 

  9. Hardy, J. (2009). Supporting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extraction surgery. Nursing Standard, 24 (14), 51-56. 

  10. Hong, J. Y. (2001). Effects of sensory information on preoperative anxiety of day-case surgery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40, 435-442. 

  11. Hong, Y. L. (2007).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al DVD on postoperative self 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lung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Hwang, Y. J., Park, Y. H., Park, I. S., Kim, N. Y., Kim, J. M., & Kim, J. Y. (2004).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CD ROM on the anxiety and knowledge of patients having minor surge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 (1), 82-89. 

  13. Jung, J. Y., Ko, B. Y., & Kim, B. Y.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a poor visual result in acute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49 (8), 1242-1247. 

  14. Kim, J. T., & Shin, D. G.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1), 69-75. 

  15. Lee, E. J., Park, H. K., Choi, K. R., Kim, S. Y., & Sin, H. J. (2004). The effect of offering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to patients scheduled operation under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 (2), 136-147. 

  16. Lee, E. S., & Lee, H. Y. (1994). The effect of sensation information on the anxiety level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6 (1), 5-21. 

  17. Lee, J. H., Lee, H. B., Heo, W., Hong, Y. J., Gwak, S. I., Kim, Y. H., et al. (2011). Ophthalmology(9th ed.). Seoul: Iljogak. 

  18. Lee, W. B., Choi, G. E., Jeong, H. D., & Lee, K. B. (2008). Reducing the anxiety of patient for an operation to remove cataract by introduction to the additional care information. Journal of Health Science & Medical Technology, 34 (1), 41-46. 

  19. Lim, Y. H., Suh, I. S., & Chung, S. H. (2010). Effects of surgery information service on one-day surgery patients'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 (1), 1-10. 

  20. Mitchell, M. (2002). Guidance for the psychological care of day case surgery patients. Nursing Standard, 16 (40), 41-43. 

  21. Morrell, G. (2001). Effect of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on anxiety levels of patients scheduled for cataract surgery. Insight: The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Ophthalmic Registered Nurses, 26 (1), 4-9. 

  2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2010 Major surgery statistics. Retrieved April 7, 2012, from http://www.nhic.or.kr/cms/board/board/Board.jsp?actVIEW&communityKeyB0079&boardId20013 

  2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2010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April 7, 2012, from http://www.nhic.or.kr/cms/board/board/Board.jsp?actVIEW&communityKeyB0075&boardId20025 

  24. Nijkamp, M. D., Kenens, C. A., Dijker, A. J. M., Ruiter, R. A. C., Hiddema, F., & Nuijts, R. M. M. A. (2004). Determinants of surgery related anxiety in cataract patients.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88 (10), 1310-1314. 

  25. Nijkamp, M. D., Ruiter, R. A. C., Roeling, M., Borne, B., Hiddema, F., Hendrikse, F., et al. (2002). Factors related to fear in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factors associated with fear and reassurance among patients who ne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7 (3), 265-272. 

  26. Shukla, A. N., Daly, M. K., & Legutko, P. (2012). Informed consent for cataract surgery: Patient understanding of verbal, written, and videotaped information. Journal of Cataract & Refractive Surgery, 38 (1), 80-84. 

  27. Varvogli, L., & Darviri, C. (2011). Stress management techniques: Evidence-based procedures that reduce stress and promote health. Health Science Journal, 5 (2), 74-89. 

  28. Yasunari, K., Matsui, T., Maeda, K., Nakamura, M., Watanabe, T., & Kiriike, N. (2006). Anxiety-induced plasma norepinephrine augmentation increases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by monocytes in essential hypertension.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19 (6), 573-578. 

  29.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Ophthalmology. (2009). Cataract Treatment. Retrieved April 7, 2012, from http://sev.iseverance.com/eye_ent/dept_clinic/department/ophthalmology/treatment/view.asp?con_no24908&page1&SearchField&SearchWo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