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의 통증 사정
Pain Assessment in Nonverbal Older Adults with Dementi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3, 2013년, pp.145 - 154  

김현숙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유수정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고는 완화의료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제한되어있어 통증의 자가보고가 어려운 대상자들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사정 방법을 고찰하여 임상실천에서의 지식을 증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연구로, '통증(pain)', '통증 사정/평가(pain assessment)', '인지기능장애/치매(cognitive impairment/dementia)'를 주제어로 Google scholar,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4u.net), KoreaMed, Medline, Science-Direct, CINAHL 등의 database에서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였다. 또한 필요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 통증 사정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서적을 참고하였다. 결과: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 환자의 통증 사정 방법에는 자가보고 외에 행동관찰 통증 사정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과 대리인의 관찰에 의한 측정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중 행동 관찰 통증 사정에는 여러 가지 표준화된 도구들이 제시되었으나, 표준화되어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도구는 없었다. 이에 통증 행동관찰 사정 도구 중 비교적 타당도 및 신뢰도가 높게 나타난 도구인 CNPI, DOLOPLUS 2, PACSLAC, PAINAD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용된 도구인 DS-DAT를 선택하여 고찰 후 비교분석 하였다. 결론: 완화의료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의 통증을 정확하게 사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적절한 통증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 제시한 치매환자 통증 사정의 일반적 지침들은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국내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들의 통증 사정 시 행동관찰 통증 사정 도구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한글판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isting pain assessment methods including the tools developed for use with nonverbal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to suggest recommendations to clinicians based on the evaluations. Computerized literature searches published after year 2000 using databa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고는 완화의료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제한되어있어 통증의 자가보고가 어려운 대상자들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사정 방법을 고찰하여 임상 실천에서의 지식을 증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들의 통증을 측정하는데 비교적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로 검증된 CNPI, DOLOPLUS 2, DS-DAT, PACSLAC, PAINAD을 중심으로 개념, 특성, 포괄성, 신뢰도, 타당도, 이용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Table 1). 이들 도구들 중 DS-DAT만 국내에서 사용되어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4,8), 나머지 도구들은 국내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 치매환자에게 통증 사정은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나, 이들의 통증을 사정하는 것은 의료인에게 새로운 도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근거중심의 통증 사정 방법을 찾아 임상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이에 본고에서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제한되어있어 통증의 자가보고가 어려운 대상자들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사정 방법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여 임상실천에서의 지식을 증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화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는 통증과 신체적, 정신사회적 및 영적인 문제들의 조기 발견, 완벽한 사정, 그리고 치료를 통해 고통을 예방하고 완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1). 완화의료에서 통증관리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적절한 통증 사정은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위해 필수적인데(2), 통증은 주관적인 경험으로 뚜렷한 객관적인 생리적 지표가 없어 객관적인 검사보다 환자의 자가보고가 통증을 사정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간주되어 왔다(3,4). 그러나 완화의료 대상 환자들에서 인지기능의 저하, 진정제의 사용, 인공호흡기의 사용, 의식수준의 변화 등으로 언어적 의사소통이 제한되어 통증을 자가보고 할 수 없는 환자들이 있다.
완화의료란?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하면 완화의료는 암뿐만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모든 질환과 관련되어 문제에 직면한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방법의 하나이다. 이는 통증과 신체적, 정신사회적 및 영적인 문제들의 조기 발견, 완벽한 사정, 그리고 치료를 통해 고통을 예방하고 완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1).
미국통증관리간호학회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의 통증을 사정할 때 제시한 단계적인 접근법은? 미국통증관리간호학회(American Society for Pain Management Nursing)의 테스크포스팀에서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의 통증을 사정할 때 단계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3). 즉, 우선 환자가 통증을 자가보고 하도록 하고, 두 번째 단계는 통증의 잠재적 원인을 찾아보며, 세 번째 단계는 통증의 표식자가 될 수 있는 환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네 번째 단계는 가족이나 돌봄제공자 등 대리인으로부터 환자의 통증, 행동이나 활동의 변화에 관한 보고를 받고, 마지막 단계는 시험적으로 진통제 투여를 시도하여 통증을 사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WHO: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cited 2013 Jul 3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palliative/definition/en/. 

  2. Closs SJ, Assessment of pain in older people-the key to effective management Curr Anaesth Crit Care 2005;16:40-5. 

  3. Herr K, Coyne PJ, Key T, Manworren R, McCaffery M, Merkel S, et al. Pain assessment in the nonverbal patient: position statement with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Pain Manag Nurs 2006;7:44-52. 

  4. Ryoo EN, Park KS.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ain self-report scale in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 Adult Nurs 2011;23:111-22. 

  5. Molony SL, Kobayashi M, Holleran N, Mezey M. Assessing pain as a fifth vital sig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Recommendation from the field. J Gerontol Nurs 2005;31:16-24. 

  6. Murdoch J, Larsen D. Assessing pain in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Nurs Stand 2004;18:33-9. 

  7. Young DM. Pain in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chronic dementia [dissertation]. Iowa: Iowa Univ.; 2001. English 

  8. Kim SJ, Roo EN, Park KS. A study on pain,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gitation in elderly women with dementia. J Korean Acad Adult Nurs 2007;19:401-12. 

  9. Ha JY. A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 2004. Korean. 

  10. Horgas AL. Assessing pain in persons with dementia. Dematol Nurs 2005;17:472-3. 

  11. 2012 Survey of prevalence of dementia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updated 2013 May 3; cited 2013 Aug 5].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 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 SEQ286138&page1. 

  12. Herr KA, Garand L.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pain in older adults. Clin Geriatr Med 2001;17:457-75. 

  13. Zwakhalen SM, Koopmans RT, Geels PJ, Berger MP, Hamers JP. The prevalence of pai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measured using an observational pain scale. Eur J Pain 2009;13: 89-93. 

  14. AGS Panel on Persistent Pain in Older Persons. The management of persistent pain in older persons. J Am Geriatr Soc 2002;50(6 Suppl):S205-24. 

  15. Manfredi PL, Breuer B, Meier DE, Libow L. Pain assessment in elderly patients with severe dementia. J Pain Symptom Manage 2003;25:48-52. 

  16. Herr K. Pain assessment in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Am J Nurs 2002;102:65-7. 

  17. Ferrell BA, Ferrell BR, Rivera L. Pain in cognitively impaired nursing home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1995;10:591-8. 

  18. Matthews FE, Dening T; UK Medical Research Council Cognitive Function and Ageing Study. Prevalence of dementia in institutional care. Lancet 2002;360:225-6. 

  19. Hjermstad M, Loge JH, Kaasa S. Methods for assessment of cognitive failure and delirium in palliative care patien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Palliat Med 2004;18:494-506. 

  20. Nygaard HA, Jarland M. Are nursing home patients with dementia diagnosis at increased risk for inadequate pain treatment? Int J Geriatr Psychiatr 2005;20:730-7.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5th ed [Internet] Ilsan: National Cancer Center;2013 [cited 2013 Jul 31]. Available from: http:// www.cancer.go.kr/mbs/cancer/jsp/album/gallery.jsp?boardType02 &boardId31817&listType02&boardSeq838009&mcategoryId &idcancer_050207000000&spage1. 

  22. Pautex S, Herrmann F, Le Lous P, Fabjan M, Michel JP, Gold G.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four pain self-assessment scales and correlation with an observational rating scale in hospitalized elderly demented patien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61:524-9. 

  23. Pautex S, Michon A, Guedira M, Emond H, Le Lous P, Samaras D, et al. Pain in severe dementia: self-assessment or observational scales? J Am Geriatr Soc 2006;54:1040-5. 

  24. Wynne CF, Ling SM, Remsburg R. Comparison of pain assessment instruments in cognitively intact and cognitively impaired nursing home residents. Geriatr Nurs 2000;21:20-3. 

  25. Snow AL, O'malley KJ, Cody M, Kunik ME, Ashton CM, Beck C, et al. A conceptual model of pain assessment for noncommunicative persons with dementia. Gerontologist 2004;44:807-17. 

  26. Scherder EJ, Bouma A. Visual analogue scales for pain assessment in Alzheimer's disease. Gerontology 2000;46:47-53. 

  27. Bjoro K, Bergen K, Herr K. Tools for pain assessment in older adults with end-stage dementia. AAHPM bulletin [Internet]. 2008;9:1-4. [cited 2013 Aug 8]. Available from: http://www. aahpm.org/pdf/08summercoverarticle.pdf. 

  28. Leong IY, Chong MS, Gibson SJ. The use of a self-reported pain measure, a nurse-reported pain measure and the PAINAD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ementia: a validation study. Age Ageing 2006;35:252-6. 

  29. Cohen-Mansfield J.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ain assessments in dementia. Alzheimer Dis Assoc Disord 2008;22:86-93. 

  30. Chang SO. Development and effect of pain management protocol for nursing home patient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7;14:29-43. 

  31. Chang SO, Lim SH, Lee SJ, Kim MS. Development of a decision support computer program for pain management in institutionalized patient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116-29. 

  32. Zwakhalen SM, Hamers JP, Abu-Saad HH, Berger MP. Pain in elderly people with severe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of behavioural pain assessment tools. BMC Geriatr 2006;6:3. 

  33. Abbey J, Piller N, De Bellis A, Esterman A, Parker D, Giles L, et al. The Abbey pain scale: a 1-minute numerical indicator for people with end-stage dementia. Int J Palliat Nurs 2004;10:6-13. 

  34. Villanueva MR, Smith TL, Erickson JS, Lee AC, Singer CM. Pain Assessment for the Dementing Elderly (PAD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measure. J Am Med Dir Assoc 2003;4:1-8. 

  35. Fuchs-Lacelle S, Hadjistavropoulos T.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PACSLAC). Pain Manag Nurs 2004;5:37-49. 

  36. Warden V, Hurley AC, Volicer L.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ain Assessment in Advanced Dementia (PAINAD) scale. J Am Med Dir Assoc 2003;4:9-15. 

  37. Lefebvre-Chapiro S. The DOLOPLUS(R) 2 scale - evaluating pain in the elderly. EJPC 2001;8:191-4. 

  38. Stolee P, Hiller LM, Esbaugh J, Bol N, Mckallar L, Gauthier N.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older persons with cognitive impairment. J Am Geriatr Soc 2005;53:319-26. 

  39. Herr K, Bursch H, Black B. State of the art review of tools for assessment of pain in nonverbal older adults [Internet]. [cited 2013 Aug 11]. Available from: http://prc.coh.org/PAIN-NOA.htm. 

  40. Snow AL, Weber JB, O'Malley KJ, Cody M, Beck C, Bruera E, et al. NOPPAIN: a nursing assistant-administered pain assessment instrument for use in dementia.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04;17:240-6. 

  41. Feldt KS. The checklist of nonverbal pain indicators (CNPI). Pain Manage Nurs 2000;1:13-21. 

  42. Nygaard HA, Jarland M. The Checklist of Nonverbal Pain Indicators (CNPI): testing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Norwegian nursing homes. Age Ageing 2006;35:79-81. 

  43. Richards JS, Nepomuceno C, Riles M, Suer Z. Assessing pain behavior: the UAB Pain Behavior Scale. Pain 1982;14:393-8. 

  44. Cohen-Mansfield J, Creedon M. Nursing staff members' perceptions of pain indicators in persons with severe dementia. Clin J Pain 2002;18:64-73. 

  45. Ersek M, Herr K, Neradilek MB, Buck HG, Black B. Compar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hecklist of Nonverbal Pain Behaviors (CNPI) and the Pain Assessment in Advanced Dementia (PAIN-AD) instruments. Pain Med 2010;11:395-404. 

  46. Holen JC, Saltvedt I, Fayers PM, Hjermstad MJ, Loge JH, Kaasa S. Doloplus-2, a valid tool for behavioural pain assessment? BMC Geriatrics 2007;7:29. 

  47. Pickering G, Gibson SJ, Serbouti S, Odetti P, Ferraz Goncalves J, Gambassi G, et al. Reliability study in five languages of the translation of the pain behavioural scale Doloplus. Eur J Pain 2010;14:545. e1-10. 

  48. Hurley AC, Volicer BJ, Hanrahan PA, Houde S, Volicer L. Assessment of discomfort in advanced Alzheimer patients. Res Nurs Health 1992;15:369-77. 

  49. Zwakhalen SM. Hamers JP. Berger MP. The psychometric qual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ree assessment tools for elderly people dementia. Pain 2006;26:210-20. 

  50. Zwakhalen SM, Hamers JP, Berger MP. Improv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a behavioural pain scale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J Adv Nurs 2007;58:493-502. 

  51. Zwakhalen SM, van der Steen JT, Najim MD. Which score most likely represents pain on the observational PAINAD pain scale for patients with dementia? J Am Med Dir Assoc 2012;13:38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