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의식 중환자의 비언어적 통증사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onverbal Pain Assessment Scale for Patients who Stayed a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9 no.2, 2015년, pp.89 - 102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강인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박규현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경과학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tients unable to speak are at higher risk for untreated pain. Use of valid behavioral and physiologic measures for pain is highly recommended for uncommunicative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VPS-K and CPOT-K for pain assessment of nonverbal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소통할 수 없는 무의식환자를 대한 비언어적 통증 사정 도구로써 생리지표와 행동지표의 두 영역을 포함하는 NVPS와 행동 지표만을 포함하고 있고 국내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CPOT 한국어 번역본을 비교하여 NVPS가 무의식 중환자의 통증 사정에 적합한지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일개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중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사정도구인 NVPS-K와 CPOT-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언어적 통증사정 도구인 NVPS-K와 CPOT-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여 NVPS-K가 무의식 중환자의 통증 사정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관리를 위해 환자의 자가보고를 얻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통증관리를 위한 첫 단계는 적절한 사정이며 정기적인 사정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증 사정은 간호사의 중요한 책임 중의 하나이다[3][4]. 통증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이므로 객관적인 측정이 어렵지만 환자의 자가보고가 통증을 위한 가장 타당한 측정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환자의 자가보고를 얻어야 한다[3]. 그러나 신생아, 어린이, 치매가 있는 노인, 삽관하거나 무의식인 환자 등은 의식이나 의사소통 문제로 자가보고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통증 평가가 어렵다[4].
통증사정을 위해 생리지표를 사용할 경우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무의식 중환자와 같이 통증을 스스로 표현할 수 없을 때는 관찰가능한 지표가 통증 사정을 위한 유일한 지표가 되며 얼굴 표정, 몸 움직임, 근육 긴장, 인공호흡기와의 순응 같은 행동 지표들과 평균 동맥압, 맥박, 호흡수, SpO2, 흡기말 CO2, 발한 같은 생리 지표들이 포함될 수 있다[6][7]. 이러한 생리 지표들은 통증 이외에 근본적인 신체 상태, 약물, 걱정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통증 수준의 단독 지표로써 사용될 수 없지만 중환자실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쉽게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통증의 행동 지표와 함께 사용하면 생리 지표들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8]. 따라서 임상 실무에서 일부 간호사나 의사들에 의해 통증 사정의 타당한 지표들로 여겨지는 생리 지표에 대한 타당성 연구가 더 필요하다[3][9].
무의식 중환자와 같이 통증을 스스로 표현할 수 없을 때 관찰가능한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무의식 중환자와 같이 통증을 스스로 표현할 수 없을 때는 관찰가능한 지표가 통증 사정을 위한 유일한 지표가 되며 얼굴 표정, 몸 움직임, 근육 긴장, 인공호흡기와의 순응 같은 행동 지표들과 평균 동맥압, 맥박, 호흡수, SpO2, 흡기말 CO2, 발한 같은 생리 지표들이 포함될 수 있다[6][7]. 이러한 생리 지표들은 통증 이외에 근본적인 신체 상태, 약물, 걱정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통증 수준의 단독 지표로써 사용될 수 없지만 중환자실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쉽게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통증의 행동 지표와 함께 사용하면 생리 지표들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J. Ahlers, L. Gulik, A.M. Veen, A.M., H.P.A. Dongen, P. Bruins, S.V. Belitser, A. Boer, D. Tibboel, C.A.J. Knibbe(2008), Comparison of different pain scoring systems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a general ICU, Critical Care, Vol.12(1);R15. 

  2. K.H. Hwang, E.N. Ryoo, K.S. Park(2007), A Study of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3(1);41-51. 

  3. C. Gelinas, M. Fortier, C. Viens, L. Fillion, K. Puntillo(2004),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critically ill intubated patients : A retrospec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3;126-136. 

  4. M. Paulson-Conger, J. Leske, C. Maidl, A. Hanson, L. Dziadulewicz(2010), Comparison of two pain assessment tools in nonverbal critical care patients, Pain Management Nursing, Vol.12(4);218-224. 

  5. E.N. Ryoo, K.S. Park(2011),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ain Self-report Scale in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23(2);111-122. 

  6. K.L. Kwekkeboom, K.A. Herr(2001), Assessment of pain in the critically ill,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n, Vol.13(2);181-194. 

  7. J.F. Payen, O. Bru, J.L. Bosson, A. Lagrasta, E. Novel, I. Deschaux, P. Lavagne, C. Jacquot(2001), Assessing pain in critically ill sedated patients by using a behavioral pain scale, Critical Care Medicine, Vol.29;2258-2263. 

  8. C. Gelinas, F. Harel, L. Fillion, K. Puntillo, C. Johnston(2009),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for the detection of pain in intubated adults after cardiac surger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37(1);58-67. 

  9. M. Odhner, D. Wegman, N. Freeland, A. Steinmetz, G. Ingersoll(2003), Assessing pain control in nonverbal critically ill adult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Vol.22(6);260-267. 

  10. O.M. Mateo, D.A. Krenzischek(1992), A pilot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manifestations and self-report of pain in postanaesthesia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post anesthesia nursing, Vol.7;15-21. 

  11. A. Blenkharn, S. Faughnan, A. Morgan(2002), Developing a pain assessment tool for use by nurses in an adult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18;332-341. 

  12. C. Gelinas, L. Fillion, K.A. Puntillo, C. Viens, M. Fortier(2006),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in adul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5;420-427. 

  13. S. Pudas-Tahka, A. Axelin, R. Aantaa, V. Lund, S. Salantera(2009), Pain assessment tools for unconscious or sedated intensive car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5(5);946-956. 

  14. M.J. Kim(2008),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ehavioral Pain Scale for Unconscious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or in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pp.1-43. 

  15. K.I. Kang(2009), Changing pattern of pain assessed by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 and relating factors of pain for the brain injury patients in critical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pp.1-74. 

  16. E.M. Kwak(2012), Validation of a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CPOT) for ICU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pp.1-55. 

  17. L. Marmo, S. Fowler(2010), Pain assessment tool in the critically ill post-open heart surgery patient population, American Society for Pain Management Nursing, Vol.11(3);134-140. 

  18. A. Kabes, J. Graves, J. Norris(2009), Further Validation of the nonverbal pain scale in intensive car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29(1);59-66. 

  19. P. Juarez, M. Baker, D. Duey, S. Durkin(2010), Comparison of two pain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the ventilated adult patient,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Vol.29(6);307-315. 

  20. K. Puntillo, B. Morris, L. Thomson, J. Stanik-Hutt, A. White, R. Wild(2004), Pain behaviors observed during six common procedure : Result from Thunder ProjectII, Critical Care Medicine, Vol.32(2);421-427. 

  21. J. Siffleet, J. Young, S. Nikoletti, T. Shaw(2007), Patients' self-report of procedural pain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6;2142-2418. 

  22. K.S. Lee, W.H. Lee, M.H. Yun(2012),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therapis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4);49-60. 

  23. C. Gelinas, C. Johnston(2007), Pain assessment in the critically ill ventilated adult: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pbservation tool and Physiologic Indicators, Clinical Journal of Pain, Vol.23(6);497-505. 

  24. S.W. Song(2009),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to Measur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11);841-842. 

  25. Y. Tousignant-Laflamme, P. Bourgault, C. Gelinas, S. Marchand(2010), Assessing pain behaviors in healthy subjects using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 A pilot study, The Journal of Pain, Vol.11(6);983-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