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을 위한 한국어판 PACSLAC의 신뢰도, 타당도 및 유용성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398 - 406  

김은경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세영 (국립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엄미란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숙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표 (을지대학교 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PACSLAC-K) in assessing pain of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The PACSLAC-K wa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uchs-Lacelle와 Hadjistavropoulos[18]가 개발한 치매노인을 위한 통증사정도구(PACSLAC)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PACSLAC-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신의 통증에 대해 정확한 의사표현이 어려운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관찰을 통해 통증여부를 평가하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4주 이상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담당간호사가 충분히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치매를 가진 노인의 통증사정은 통증치료의 중요한 사전단계이며, 적합한 통증사정도구를 통한 치매노인의 통증 평가는 질환의 악화를 예방하고, 궁극적으로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을 위해 개발되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PACSLAC 도구를 한국어판으로 번역하여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적용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자신의 통증에 대해 정확한 의사표현이 어려운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관찰을 통해 통증여부를 평가하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4주 이상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담당간호사가 충분히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을 위해 개발된 한국어판 PACSLAC 도구를 노인요양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에 적합한 지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한국어판 치매노인의 통증사정도구(PACSLAC-Korean version [PACSLAC-K])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의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교육 후 통증반응을 보이는 대상자를 연구자와 함께 1시간 정도 관찰하고 설문지를 완성하여 차이가 나는 관찰내용의 검토와 논의를 통해 측정의 표준화 과정을 거쳤다. 이 후 간호사 2명이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한 곳을 대상으로 30명의 대상자에 대해 각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2명의 간호사 간에는 서로의 측정결과를 모르게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평가자 간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교육효과와 자료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 따라서,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을 위해 제시된 표준화된 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증명된 PACSLAC 도구의 한국어판이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에 적합한 도구인지 평가하고자 한다.
  • 특히, 간호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사정과 관리의 책임을 가지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치매노인에 대한 통증관리에 대한 관심과 통증사정 도구의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통증사정 도구인 PAC-SLAC의 한국어판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노인의 통증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40-80%가 지속적인 통증과 인지장애를 경험하며, 통증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지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치매노인도 치매가 없는 노인과 마찬가지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에 이환되어 고통을 겪는다[3,4]. 이와 같이 치매노인의 통증은 드러나지 않거나 간과되어 대상자가 위험에 처하거나 질병이 악화될 수 있으며[5], 인지기능의 저하, 기동성장애, 수면부족, 우울, 불안, 공격성, 변비, 실금 등의 부정적인 결과에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3,6,7].
미국노인학회에서 권고하는것은 무엇인가? amer-icangeriatrics.org)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치매노인의 통증관리를 위해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자가 보고를 고려하되, 면밀한 행동관찰을 통한 통증사정을 함께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3,6,8]. 특히, 중증 치매노인의 경우는 인지력 손상과 더불어 언어적 표현 능력도 손상되어 통증표현이 어렵고, 주로 비언어적 행동으로 통증반응을 표현한다[5].
자가보고 형식의 도구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통증을 정확하게 사정하는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동안 국내외에서 인지기능이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상자의 통증사정에는 주로 자가보고 형식의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숫자평가척도(Numerical Rating Scale [NRS])가 사용되었고, 경증의 인지장애를 가진 대상자의 통증사정에는 얼굴통증척도(Face Pain Scale [FPS])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자가보고 형식의 통증에 대한 자가보고 도구로 주로 사용되는 VAS, NRS, FPS 등의 도구에 대한 치매노인의 이해율은 56.7-88.2%로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점수가 낮을수록 이해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8,9]. 따라서, 자가보고 형식의 도구를 사용하여 인지장애를 가지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치매노인의 통증을 정확하게 사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aasalainen S. Pain assessment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behavioral observation method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7;33(6):6-10. 

  2. Wang JJ, Hsieh PF, Wang CJ. Long-term care nurs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people living with dementia in Taiwan.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99-103. http://dx.doi.org/10.1016/j.anr.2013.06.001 

  3. Horgas AL, Nichols AL, Schapson CA, Vietes K. Assessing pain in persons with dementia: Relationships among the non-communicative patient's pain assessment instrument, self-report, and behavioral observations. Pain Management Nursing. 2007;8(2):77-85. http://dx.doi.org/10.1016/j.pmn.2007.03.003 

  4. Zwakhalen SM, Hamers JP, Abu-Saad HH, Berger MP. Pain in elderly people with severe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of behavioural pain assessment tools. BMC Geriatrics. 2006;6:3. http://dx.doi.org/10.1186/1471-2318-6-3 

  5. Cohen-Mansfield J, Creedon M. Nursing staff members' perceptions of pain indicators in persons with severe dementia.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002;18(1):64-73. 

  6. AGS Panel on Persistent Pain in Older Persons. The management of persistent pain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50(6 Suppl):S205-S224. 

  7. Reid MC, Guo Z, Jenq GY, Gill TM. Factors associated with pain-related disabi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3;51(Suppl S4):S204. 

  8. Ryoo EN, Park KS.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ain self-report scale in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2):111-122. 

  9. Pautex S, Herrmann F, Le Lous P, Fabjan M, Michel JP, Gold G.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four pain self-assessment scales and correlation with an observational rating scale in hospitalized elderly demented patien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5;60(4):524-529. 

  10. Kim SJ, Ryoo EN, Park KS. A study on pain,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gitation in elderly women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7;19(3):401-412. 

  11. Herr KA, Spratt K, Mobily PR, Richardson G. Pain intensity assessment in older adults: Use of experimental pain to compar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usability of selected pain scales with younger adults.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004;20(4):207-219. 

  12. Schmader KE, Hanlon JT, Fillenbaum GG, Huber M, Pieper C, Horner R. Medication use patterns among demented, cognitively impaired and cognitively intact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Age and Ageing. 1998;27(4):493-501. 

  13. Sloman R, Ahern M, Wright A, Brown L. Nurses' knowledge of pain in the elderl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1;21(4): 317-322. 

  14. Ryoo EN. Verification of self-report scale about pain assessment in elder with dementia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9. 

  15. Herr K, Bjoro K, Decker S. Tools for assessment of pain in nonverbal older adults with dementia: A state-of-the-science review.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6;31(2):170-192.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5.07.001 

  16. Herr K, Bursch H, Ersek M, Miller LL, Swafford K. Use of pain-behavioral assessment tools in the nursing home: Expert consensus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10;36(3):18-29. http://dx.doi.org/10.3928/00989134-20100108-04 

  17. Zwakhalen SM, Hamers JP, Berger MP. The psychometric qual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ree pain assessment tool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ain. 2006;126(1-3):210-220. http://dx.doi.org/10.1016/j.pain.2006.06.029 

  18. Fuchs-Lacelle S, Hadjistavropoulos T.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PACSLAC). Pain Management Nursing. 2004;5(1):37-49. 

  19. Takai Y, Yamamoto-Mitani N, Suzuki M, Furuta Y, Sato A, Fujimaki 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Japanese version of the assessment of pain in elderly people with communication impairment.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3;57(3):403-410.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3.06.002 

  20. Zwakhalen SM, Hamers JP, Berger MP. Improv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a behavioural pain scale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8(5):493-502.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255.x 

  21. Park JH, Kwon YC.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3):508-513. 

  22. Warden V, Hurley AC, Volicer L.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ain assessment in advanced dementia (PAINAD) scal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03;4(1): 9-15. http://dx.doi.org/10.1097/01.jam.0000043422.31640.f7 

  23. Chapman DW, Carter JF. Translation procedures for cross-cultural use of measurement instrum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979;1(3):71-76. 

  24. Streiner DL, Norman GR.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3rd ed.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5. Zwakhalen SM, Koopmans RT, Geels PJ, Berger MP, Hamers JP. The prevalence of pai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measured using an observational pain scale. European Journal of Pain. 2009;13(1): 89-93. http://dx.doi.org/10.1016/j.ejpain.2008.02.009 

  26. Kaasalainen S, Akhtar-Danesh N, Hadjistavropoulos T, Zwakhalen S, Verreault R. A comparison between behavioral and verbal report pain assessment tools for use with residents in long term care. Pain Management Nursing. 2013;14(4):e106-e114. http://dx.doi.org/10.1016/j.pmn.2011.08.006 

  27. Sheu E, Versloot J, Nader R, Kerr D, Craig KD. Pain in the elderly: Validity of facial expression components of observational measures.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011;27(7):593-601. http://dx.doi.org/10.1097/AJP.0b013e31820f52e1 

  28. van Nispen tot Pannerden SC, Candel MJ, Zwakhalen SM, Hamers JP, Curfs LM, Berger MP. An item response theory-based assessment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PACSLAC). The Journal of Pain. 2009;10(8):844-853. http://dx.doi.org/10.1016/j.jpain.2009.02.007 

  29. Fuchs-Lacelle S, Hadjistavropoulos T, Lix L. Pain assessment as intervention: A study of older adults with severe dementia.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008;24(8):697-707. http://dx.doi.org/10.1097/AJP.0b013e318172625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