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동장애 재활환자의 낙상위험성 영향요인분석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Risk of Fallings among Rehabilitation Patients with Impaired of Mobility: Focusing o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3, 2013년, pp.220 - 229  

한동욱 (신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nd risk of fallings among rehabilitation patients with impaired of mobility,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on their risk of fallings. Method: Data for 132 rehabil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동장애가 있는 재활환자의 낙상위험성에 대한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동장애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을 알아보고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이 낙상위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낙상에 영향을 주는 사회 심리적 변수로서의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을 연구하고자 하였고 이에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설문 도구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조사자 간 신뢰도를 밝히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재활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기동장애 재활 대상자 13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조사지를 이용하여 낙상위험성과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을 조사하고,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이 낙상위험성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자인 기동장애 재활환자들의 낙상위험성은 31.
  • 결론적으로, 낙상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져 왔으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낙상에 대한 사회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이 밝혀져 있으나 추상적인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나 집 안 활동에 국한한 자기효능감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동 장애가 있는 재활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에 중요한 집 밖에서의 활동수준을 포함하는 활동특이적 균형 자신감을 알아보고, 낙상발생 위험성에 대한 활동특이적 균형 자신감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 그러나 측정자간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해 동일한 질문에 대한 답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조사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문제와 협조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관찰조사가 아니므로 조사 대상자에게 조사자가 질문을 주고 답변을 들어야 하는데, 재조사시 먼저 조사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시험효과(testing effect)의 문제와 임상 현장에서 근무하는 조사자들이 근무시간에 조사 대상자가 있는 병원으로 가야하는 현실적인 어려움 등이 있었다. 이에 연구책임자 1인이 설문지 작성에 대한 교육과 확인을 일대일로 실시하여 최대한 연구결과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객관적 조사자의 주관성이 개입되지 않도록 설문 문항의 질문 형식을 그대로 읽어주고 답하도록 훈련하고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우선, 자료수집 시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참여 및 연구철회의 자율성, 정보의 비밀유지 등을 알린 후 연구에 동의하는 자들에게 서면 동의서를 받고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상자 요인에서는 노인이 낙상 연구 대상의 다수를 차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 대상자 요인에서는 노인이 낙상 연구 대상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노인이 신체적 낙상 요인을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진 신체적 낙상 요인은 일상생활 활동수준(Park, Lim, Kim, Lee, & Song, 2011), 균형능력(Mackintosh, Hill, Dodd, Goldie, & Culham, 2006), 근력(Spirduso, Francis, & MacRae, 2006), 보행(Lee & Yoon, 2010), 만성퇴행성질환과 시각 장애(Morrison et al.
기동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치료 목표 중 하나는 무엇인가? 기동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치료 목표 중 하나는 장애의 최소화와 조기 회복이며 이를 위해서는 재활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은 체력저하, 근골격계 기능의 감소 혹은 소실, 유연성 및 균형감의 저하 등으로 낙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으로 재활과정에 임하기는 쉽지 않다.
낙상예방은 어떻게 대별할 수 있는가? 낙상예방은 환경요인과 대상자 요인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환경요인을 검토한 선행연구는 병원(Vieira, Freund-Heritage, & da Costa, 2011), 재가 및 시설 등의 지역사회(Huang & Action, 2004; Kwon, 2010)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반면, 대상자 요인에서는 노인이 낙상 연구 대상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izen, E., Shugaey, I., & Lenger, R. (2007).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falls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of elderly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4, 1-12. 

  2. Allen, N. E., Sherrington, C., Paul, S. S., & Canning, C. G. (2011). Balance and falls in Parkinson's disease: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exercise and motor training. Movement Disorders, 26, 1605-1615. 

  3. Buschbacher, R. M. & Braddom, R. L. (1994). Sports medicine and rehabilitation: A sport-specific approach. Mosby: Philadelphia. 

  4. Campbell, G. B., & Matthews, J. T. (2010). An integrative review of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during post-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 395-404.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10.01369.x 

  5. Cho, K. Y., Lee, K. Y., Jang, S. H., Kwon, I. S., Park, B. J., & Kim, M.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version of falls efficacy scale - International and frequency of falls in the healthy elderly visiting the public health center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4, 342-346. 

  6. Forrest, G., Huss, S., Patel, V., Jeffries, J., Myers, D., Barber, C., et al. (2012). Falls on an inpatient rehabilitation unit: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Rehabilitation Nursing, 37(2), 56-61. http://dx.doi.org/10.1002/RNJ.00010 

  7. Fuller, G. F. (2000). Falls in the elderly. American Family Physician, 61, 2159-2168. 

  8. Gu, M. O., Jeon, M. Y., Kim, H. J., & Eun, Y. (2005). A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s for fall preven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01-1112. 

  9. Huang, T., & Action, G. J. (2004). Effectiveness of home visit falls prevention strategy for Taiwanese community-dwelling elders: Randomized trial. Public Health Nursing, 21, 247-256. 

  10. Jang, S. N., Cho, S. I., Ou, S. W., Lee, E. S., & Baik, H. W. (2003).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fall efficacy scale (FES)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7, 255-267. 

  11. Kim, H. S. (2007). Care techniques for long-term care giver. Seoul: Hakjisa. 

  12. Kim, O. H., Lee, E. K., & Kim, E. M. (2011). Effects of fall prevention on fall efficacy scale and activities-specific of balance confidence scale in rural resi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 187-196. 

  13. Kwon, M. J. (2008). The fall circumstance and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fall in th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3), 19-28. 

  14. Kwon, M. S. (2010). Relations among knowledge, fear and efficacy of fall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 139-147. 

  15. Kwon, Y. C., Kim, S. J., Kim, H. J., Park, J., Choi, J. Y., & Cho, B. L. (2008). The usefulness of maximal step length to predict annual fall risk.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9(1), 26-33. 

  16. Lajoie, Y., & Gallagher, S. P. (2004). Predicting falls within the elderly community: Comparison of postural sway, reaction time,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for comparing fallers and non-fallers. Archives of Gerontology & Geriatric, 38(1), 11-26. http://dx.doi.org/10.1016/S0167-4943(03)00082-7 

  17. Lam, F. M., Lau, R. W., Chung, R. C., & Pang, M. Y. (2012). The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on balance, mobility and fall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turitas, 72, 206-213. 

  18. Lee, A. S., & Yoon, C. K. (2010). Risk factors of falls in hospital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2511-2524. 

  19. Mackintosh, S. F., Hill, K. D., Dodd, K. J., Goldie, P. A., & Culham, E. G. (2006). Balance score and a history of falls in hospital predict recurrent falls in the 6 months following stroke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 1583-1589. 

  20. Morrison, G., Lee, H. L., Kuys, S. S., Clarke, J., Bew, P., & Haines, T. P. (2011). Changes in falls risk factors for geriatric diagnostic groups across inpatient, outpatient and domiciliary rehabilitation setting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 900-907. http://dx.doi.org/10.3109/09638288.2010.514019 

  21. Morse, J. M. (1986). Computerized evaluation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77, Suppl 1, 21-25. 

  22. Niddam, D. M., Chan, R. C., Lee, S. H., Yeh, T. C., & Hsieh, J. C. (2007). Central modulation of pain evoked from myofascial trigger point. Clinical Journal of Pain, 23, 440-448. 

  23. Park, A. J., Lim, N. Y., Kim, Y. S., Lee, Y. K., & Song, J. H. (2011). Incidence and predictors of falls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8(1), 50-62. 

  24. Powell, L. E., & Myers, A. M. (1995).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0, 28-34. 

  25. Schepens, S., Goldberg, A., & Wallace, M. (2010). The short version of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Its validity, reliability, and relationship to balance impairment and falls in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1, 9-12. http://dx.doi.org/10.1016/j.archger.2009.06.003 

  26. Spirduso, W., Francis, K., & MacRae, P. (2006). Physical dimensions of aging. 2nd edition. Champaign;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27. Vieira, E. R., Freund-Heritage, R., & da Costa, B. R. (2011). Risk factors for geriatric patient falls in rehabilitation hospit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25, 788-799. http://dx.doi.org/10.1177/0269215511400639 

  28. Yu, S. (2010). Clinical usefulness of maximal step length for assessing risk of fal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