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생존분석으로
Risk Factors for Falls in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A Survival Analysi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1, 2019년, pp.57 - 70  

조영신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이영옥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윤영순 (고신대학교복음병원 당뇨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falls in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and to suggest data for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preventing fal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7. Kaplan-Meier estimatio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존분석으로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내재적·외재적 요인에 따른 낙상발생 생존시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낙상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에게 낙상이 발생한 당시의 특성을 파악하고,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낙상의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에게 발생하는 낙상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사례-대조군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에게 발생하는 낙상의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낙상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낙상위험 사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안전 사고인 낙상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낙상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낙상위험 사정도구 개발과 낙상예방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차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특히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낙상발생까지의 시간을 고려한 낙상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낙상의 다양한 원인 외에도 중환자실경험이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도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중환자실경험은 낙상군과 낙상 비발생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뒤 일반병실로 온 중환자가 낙상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Morse (2009)는 낙상을 예견된 생리적 낙상, 사고로 인한 낙상, 예기치 않은 생리적 낙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앞서 제시된 환자의 내재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예견된 생리적 낙상 뿐 만아니라 간호인력과 주변환경 그리고 예견하지 못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노력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기치 않은 낙상인 침대에서 오르내리다 발생하는 사고와 크기가 맞지 않는 신발 착용과 관련된 낙상도 상당수 발생하여 낙상 전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낙상발생 요인들에 대해서도 적절한 관리와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확인된 낙상의 위험요인은 연령, 수술여부, 관절운동상태, 기동성정도, 장비사용, 동반질환유무, 약물사용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낙상 현황과 낙상의 위험요인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낙상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낙상위험 사정도구 개발과 낙상예방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차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특히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낙상발생까지의 시간을 고려한 낙상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확인된 낙상의 위험요인은 연령, 수술여부, 관절운동상태, 기동성정도, 장비사용, 동반질환유무, 약물사용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의 외재적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 2014)등으로 보고되었다. 낙상의 외재적 요인으로는 침대 높이, 젖은 바닥, 어두운 조명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Severo et al., 2014)과 의료진의 낙상에 대한 인식부족이나 관리소홀 등과 같은 의료진 관련요인(Severo et al., 2014)이 보고되었다.
상급종합병원에서 낙상이 발생하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가? 상급종합병원에서 낙상이 발생 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낙상한 환자는 타박상이나 골절과 같은 신체적인 손상은 물론이고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손상까지 입을 수도 있으며 더러는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Choi et al., 2017;NPSA, 2007). 낙상이 발생한 병원 역시 입원기간 증가 및 의료소송 등으로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증가하므 로(NPSA, 2007)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에게 발생하는 낙상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병원에서 상은 무엇인가? 상은 환자안전과 관련된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NPSA, 2007). 종합병원은 낙상의 잠재적인 위험이 복합적으로 도사리는 장소로 낙상발생률은 외국의 경우 재원일수 1,000일당 3∼5건으로 보고되고 있다(Oliver, Healey, & Haines,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J. M. (2012).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Seoul: Hannare. 

  2. Choi, E. H., Ko, M. S., Yoo, C. S., & Kim, M. K. (2017). Characteristics of fall events and fall risk factors among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3), 350-360. 

  3. Choi, E. J., Lee, Y. S., Yang, E. J., Kim, J. H., Kim, Y. H., & Park, H. A. (2017).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falls in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3), 420-430. 

  4. Cox, J., Thomas-Hawkins, C., Pajarillo, E., DeGennaro, S., Cadmus, E., & Martinez, M.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hospitalized adult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28(2), 78-82. 

  5.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 Wood, J.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1), 38-45. 

  6. Gringauz, I., Shemesh, Y., Dagan, A., Israelov, I., Feldman, D., Pelz-Sinvani, N., . . . Segal, G. (2017). Risk of falling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high modified Morse scores could be further stratified.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7(1), 721. 

  7. Hendrich, A. L., Bender, P. S., & Nyhuis, A. (2003).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6(1), 9-21. 

  8. Jang, I. S., & Lee, S. G. (2014).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n acute hospital setting across clinical de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3), 264-274. 

  9. Kang, Y. O., & Song, R. (2015).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muscle Joint Health, 22(3), 149-159. 

  10. Kim, C. G., & Suh, M. J.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2), 210-228. 

  11. Kim, E. K., Lee, J. C., & Eom, M. R. (2008). Falls risk factors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76-684. 

  12. Kim, K. S., Kim, J. A., Choi, Y. K., Kim, Y. J., Park, M. H., Kim, H. Y., & Song, M. S.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5(1), 28-37. 

  13. Kim, Y. S., & Choi-Kwon, S. (2013).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1), 74-82. 

  14. Lee, J. E., & Stokic, D. S. (2008). Risk factors for falls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7(5), 341-353. 

  15. Morse, J. M. (2009). Preventing patient falls: Establishing a fall intervention program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6. Morse, J. M., Morse, R. M., & Tylko, S. J. (1989). Development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8(4), 366-377. 

  17.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2007). Slips, trips and falls in hospital. Retrieved October 5, 2017, from http://www.nrls.npsa.nhs.uk/resources/?entryid4559821 

  18. Needham, D. M., Davidson, J., Cohen, H., Hopkins, R. O., Weinert, C., Wunsch, H., . . . Brady, S. L. (2012). Improving long-term outcomes after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unit: Report from a Stakeholders' conference. Critical care medicine, 40(2), 502-509. 

  19. Nunan, S., Brown Wilson, C., Henwood, T., & Parker, D. (2018). Fall risk assessment tools for use among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37(1), 23-33. 

  20. Oliver, D., Healey, F., & Haines, T. P. (2010). Preventing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hospital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6(4), 645-692. 

  21. Poe, S. S., Cvach, M., Dawson, P. B., Straus, H., & Hill, E. E. (2007). The Johns Hopkins fall risk assessment tool: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2(4), 293-298. 

  22. Poe, S. S., Cvach, M. M., Gartrell, D. G., Radzik, B. R., & Joy, T. L. (2005).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fall risk assess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Lessons learned.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2), 107-116. 

  23. Severo, I. M., Almeida, M. D. A., Kuchenbecker, R., Vieira, D. F. V. B., Weschenfelder, M. E., Pinto, L. R. C., . . . Panato, B. P. (2014). Risk factors for falls in hospitalized adult patients: An integrative review.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48(3), 540-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