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전압용 리튬이차전지 바인더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및 전기화학 평가 비교를 통한 산화분해전압 예측 연구
The Study on Prediction of Oxidative Decomposition Potential by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and Electrochemical Methods to Develop the Binder for High-voltage Lithium-ion Batteri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6 no.3, 2013년, pp.177 - 183  

유지민 ((주)삼성 SDI 중앙 연구소) ,  알렉세이 카사에프 ((주)삼성 SDI 중앙 연구소) ,  이맹은 ((주)삼성 SDI 중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전압에서도 사용 가능한 바인더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에 적합한 내산화성이 우수한 바인더를 양자화학적 모델링에 기반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각 고분자 poly(acryl amide)(PAM), poly(methyl acrylate)(PMA), poly(vinylidene fluoride)(PVDF), poly(hexafluropropylene)(PHFP)에 대하여 반경험적 방법(Semi-empirical method) 및 밀도범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방법을 이용하여 단량체부터 사량체까지의 고분자 바인더에 대한 최고 점유 분자 궤도함수(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에너지와 이온화 에너지(Ionization Potential, IP) 값을 구하여 실험 값과 비교하였다. 밀도범함수 방법으로 해석한 결과, PHFP, PVDF, PMA, PAM 순으로 고분자의 내산화성이 좋은 것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선형 훑음 전압-전류법(Linear Sweep Voltametry, LSV)으로부터 얻은 실험값과 일치하였다. 또한 이 결과는 HOMO 오비탈의 구조를 분석하여 내산화성이 좋은 원인을 규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evelopment of available binder in the harsh conditions is needed, we propose the proper binder for high-voltage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based on the quantum chemistry modeling. The optimized structures,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energies and ionization potentials of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을 가지는 고분자형 바인더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화학 평가 및 시뮬레이션 평가 등 두 가지의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그 상관성을 비교하고 예측 정확도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뮬레이션 평가에서는 반경험적 방법과 밀도범함수 방법으로 수행한 계산 결과를 함께 비교하여 산화분해 전위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하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원자스케일의 전산 모사를 이용하여 리튬 이온 전지의 고분자 바인더 4 가지 물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실험 결과와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산화분해 준위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여 고전압용 바인더를 선행 선별하고, 신규 물질 설계에 대한 방향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을 가지는 고분자형 바인더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화학 평가 및 시뮬레이션 평가 등 두 가지의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그 상관성을 비교하고 예측 정확도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뮬레이션 평가에서는 반경험적 방법과 밀도범함수 방법으로 수행한 계산 결과를 함께 비교하여 산화분해 전위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하고자 했다. 각 전산모사방법으로 계산된 바인더의 단량체부터 사량체까지의 HOMO 및 이온화 에너지 값과 LSV와 같은 전기화학적 평가에서 측정된 산화 분해 전위 값을 비교한 결과, 반경험적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제외한 두 가지 밀도범함수 계산 결과는 실험 값과 유사한 경향성으로 HOMO 에너지와 이온화 에너지 값을 예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자세히 서술하면,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방법에서는 VAMP 프로그램에서 반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는 NDDO(neglect of diatomic differential overlap)/PM3(parameterized model 3)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Dmol3 에서는 GGA(gradientcorrected functional)/PBE(Perdew–Burke–Ernzerhof functional)31) 방법, 그리고 Gaussian09에서는 B3LYP/6-31G+(d,p)32,33) 방법을 사용하여 밀도범함수와 상관성 범함수를 동시에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모든 분자는 기체상으로 가정하고 계산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이용한 이온화 에너지는 기체 상태의 원자에서 전자 하나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로 정의되며, 이온화 에너지가 클수록 내산화성이 커진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 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에서 HOMO 오비탈이 한쪽으로 치우친 모양을 가진다는 것은 편중된 부분에서 전자를 쉽게 빼앗길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그 위치에서 쉽게 산화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HOMO 오비탈이 골고루 분포되는 모양을 가지는 PHFP 및 PVDF는 강한 내산화성을 가질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오비탈이 한쪽으로 편중된 모양을 갖는 PAM 구조는 단위체가 반복될수록 그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단위가 반복될수록 쉽게 산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생 가능한 이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는 소형 기기 중 어디에 사용하고 있는가? 재생 가능한 이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비메모리 효과 (nonmemory effect) 등의 장점으로 휴대폰,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의 고용량화 및 전동공구, 전기자동차 등 대용량 고출력 분야로의 응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됨1-5)에 따라 폭발, 발화와 같은 전지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재생 가능한 이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의 장점은? 재생 가능한 이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비메모리 효과 (nonmemory effect) 등의 장점으로 휴대폰,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의 고용량화 및 전동공구, 전기자동차 등 대용량 고출력 분야로의 응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됨1-5)에 따라 폭발, 발화와 같은 전지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성 연구는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가? 또한 리튬 이온 전지의 고용량화 및 전동공구, 전기자동차 등 대용량 고출력 분야로의 응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됨1-5)에 따라 폭발, 발화와 같은 전지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6,7) 일반적으로 전지 안전성에 관한 연구는 양극활물질8-10), 음극활물질11-13) 및 전해액14-16) 에 집중되어 진행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 Wei, J. Wang, L. Zhou, J. Yang, B. Schumann, Y. NuLi, 'CNT enhanced sulfur composite cathode material for high rate lithium battery' Electrochem. Commun., 13, 399 (2011). 

  2. M. S. Whittingham, 'Lithium Batteries and Cathode Materials' Chem. Rev., 104, 4271 (2004). 

  3. M. Armand, J. M. Tarascon, 'Building Better Batteries' Nature, 451, 652 (2008). 

  4. J. M. Tarascon, M. Armand, 'Why Li Ion Batteries' Nature, 414, 359 (2001). 

  5. M. H. Ryou, D. J. Lee, J. N. Lee, Y. M. Lee, J. K. Park, J. W. Choi, 'Excellent Cycle Life of Lithium-Metal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with Mussel-Inspired Polydopamine-Coated Separators' Adv. Energy Mater., 2, 645 (2012). 

  6. P. G. Balakshrishnan, R. Ramesh, and T. P. Kumar, 'Safety mechanisms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55, 401 (2006). 

  7. T. Hayes, 'Root cause for failures in Li-ion batteries', 24th International Battery Seminar & Exhibit, Florida (2007). 

  8. C. Sigala, D. Guyomard, A. Verbaere, Y. Piffard, M. Tournoux,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with high operating voltage for lithium batteries: $LiCr_{y}Mn_{2y}O_{4}$ ( $0 \leq y \leq 1$ )' Solid State Ionics, 81, 167 (1995). 

  9. H. Kawai, M. Nagata, M. Tabuchi, H. Tukamoto, A. R. West, 'Novel 5 V Spinel Cathode $Li_{2}FeMn_{3}O_{8}$ for Lithium Ion Batteries' Chem. Mater., 10, 3266 (1998). 

  10. F. Wang, J. Yang, Y. NuLi, J. Wang, 'Highly promot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5 V $LiCoPO_{4}$ cathode material by addition of vanadium' J. Power Sources, 195, 6884 (2010). 

  11. M. Wachtler, M. Winter, J. O. Besenhard, 'Anodic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batteries' J. Power Sources, 105, 151 (2002). 

  12. Z. Chen, V. Chevrier, L. Christensen, J. R. Dahn, 'Design of Amorphous Alloy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Electrochem. Solid-State Lett., 7, A310 (2004). 

  13. J. Hassoun, S. Panero, P. Simon, P. L. Taberna, B. Scrosati, 'High-Rate, Long-Life Ni-Sn Nanostructured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Adv. Mater., 19, 1632 (2007). 

  14. K. Xu, C. A. Angell, 'High Anodic Stability of a New Electrolyte Solvent: Unsymmetric Noncyclic Aliphatic Sulfone' J. Electrochem. Soc., 145, L70 (1998). 

  15. X. Sun, C. A. Angell, 'Doped sulfone electrolytes for high voltage Li-ion cell applications' Electrochem. Commun., 11, 1418 (2009). 

  16. Z. Zhang, L. Hu, H. Wu, W. Weng, M. Koh, P. C. Redfern, L. A. Curtiss, K. Amine, 'Fluorinated electrolytes for 5 V lithium-ion battery chemistry' Energy Environ. Sci., 6, 1806 (2013). 

  17. Z. Chen , L. Christensen , J. Dahn, 'Large volumechange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of amorphous alloy particles held by elastomeric tethers' Electrochem. Commun., 5, 919 (2003). 

  18. 박정기 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원리 및 응용", 239, 홍릉과학출판사, 서울 (2010). 

  19. T. M. Bandhauer, S. Garimella, T. F. Fuller, 'A Critical Review of Thermal Issues in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58, 3, R1 (2011). 

  20. M. H. Ryou, J. Kim, I. Lee, S. Kim, Y. K. Jeong, S. Hong, J. H. Ryu, T. S. Kim, J. K. Park, H. Lee, J. W. Choi, 'Mussel-Inspired Adhesive Binders for High- Performance Silicon Nanoparticle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Adv. Mater., 25, 1571 (2013). 

  21. A. Magasinski, B. Zdyrko, I. Kovalenko, B. Hertzberg, R. Burtovyy, C. F. Huebner, T. F. Fuller, I. Luzinov, G. Yushin, 'Toward Efficient Binders for Li-Ion Battery Si- Based Anodes: Polyacrylic Acid' ACS Appl. Mater. Interfaces, 2, 3004 (2010). 

  22. Z. Chen, L. Christensen, J. R. Dahn, 'Comparison of PVDF and PVDF-TFE-P as Binders for Electrode Materials Showing Large Volume Changes in Lithium- 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50, 8, A1073 (2003). 

  23. J. Chen, J. Liu, Y. Qi, T. Sun, X. Li, 'Unveiling the Roles of Binder in the Mechanical Integrity of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60, 9, A1502 (2013). 

  24. B. Delley, 'From molecules to solids with the DMol3 approach' J. Chem. Phys., 113, 7756 (2000). 

  25. B. Delley, 'DMol3 DFT studies: from molecules and molecular environments to surfaces and solids', Comput. Mater. Sci., 17, 122 (2000). 

  26. B. Delley, 'An all-electron numerical method for solving the local density functional for polyatomic molecules' J. Chem. Phys., 92, 508 (1990). 

  27. B. Bernd, U. W. Grummt, 'Semiempirical Calculations of First-Order Hyperpolarizabilities: Testingthe Performance of Different Methods in Comparison to Experiment' J. Phys. Chem. B., 102, 664 (1998). 

  28. J. E. Alliott, Y. Shibuta, 'A semi-empirical molecular orbital study of freestanding and fullerene-encapsulated Mo nanoclusters' Molecular Simulation, 34, 891 (2008). 

  29. S. R. Stanislav, C. X. Yin, M. R. Gray, J. M. Stryker, S. Gusarov, A. Kovalenko,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Study of the Structure, Binding Preferences, and Spectroscopy of Nickel(II) and Vanadyl Porphyrins in Petroleum' J. Phys. Chem. B., 114, 2180 (2010). 

  30. M. J. Frisch et al., Gaussian, Inc., Wallingford CT (2010). 

  31. J. P. Perdew, et al.,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 made simple' Phys. Rev. B., 78, 1396 (1997). 

  32. A. D. Becke, 'Density-functional thermochemistry. III. The role of exact exchange' J. Chem. Phys., 98, 5648. (1993). 

  33. C. Lee, W. Yang, R. G. Parr, 'Development of the Colle- Salvetti conelation energy formula into a functional of the electron density' Phys. Rev. B., 37, 785. (1988). 

  34. A. J. Bard, L. R. Faulkner, "Electrochemical method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2nd ed." Wiley New York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