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have been suggested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agricultural fields.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regard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sediment trap has been performed in Korea. Thus, effects of sediment trap were investigated i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저감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침사구를 적용하여 비점오염물질 유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험포 하단부에 소규모 침사구를 설치하였으며, 유출수와 유출수의 수질농도 그리고 유사량을 측정한 뒤, 유입수와 비교하여 침사구의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시험포 (No. 1∼6)에서 강우에 의해 발생한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실되는 토양의 양을 측정하여 토양유실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저감 하기 위해서 밭의 유출부에 작은 웅덩이 (침사구)를 적용하여 비점오염물질 유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침사구에 퇴적된 토양시료는 토양의 퇴적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침사구의 토양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상태가 되었을 경우 제거하였다. 이는 침사구의 표면을 막는 세립자의 부유물질을 제거하여 침투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토양제거는 연구기간 동안 총 4번 (2011년 7월 6일, 7월 20일, 7월 26일, 8월 24일) 측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이나 밭 등의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비점오염부하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강우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다양한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오염물질은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Sartor and Buchberger, 1997). 특히 논이나 밭 등의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비료와 퇴비 등의 사용량이 많으며, 하천의 탁수오염을 발생시키는 토양유실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부하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또한 밭의 경우 경사가 심하고,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기간에는 나지상태로 방치되어 있어, 강우시 다량의 토사와 함께 유기물질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유출되기 쉽다.
국토에서 우리나라 농경지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은? 또한 밭의 경우 경사가 심하고,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기간에는 나지상태로 방치되어 있어, 강우시 다량의 토사와 함께 유기물질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유출되기 쉽다. 우리나라 농경지 (논과 밭) 면적을 살펴보면 국토의 약 18 %를 차지하고 있으며, 밭이 차지하는 면적은 757,502 ha로 약 42 %를 차지하고 있다 (Statics Korea, 2011). 이 중 전 국토의 약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damas, S., R. Leonard, and D. Salzmann, 2008.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manual. city of Portland, Oregon. 

  2. Garcia-Orenes, F., A. Cerda, J. Mataix-Solera, C. Guerrero and M. B. Bodi, 2009. Effects of agricultural management on surface soil properties and soil-water losses in eastern Spain. Soil & Tillage Research, 106: 117-123. 

  3. Gentry, L. E., M. B. David, K. M. Smith-Starks, and D. A. Kovacic, 2000. Nitrogen fertilizer and herbicide transport from tile demand field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9(1). 

  4. Jin, K., Cornelis, W. M., Gabriels, D., Schiettecatte, W., Neve, S. D., Lu, J., Buysse, T., Wu, J., Cai, D. Jin. J. and R. Harmann, 2008. Soil management effects on runoff and soil loss from field rainfall simulation. CATENA, 75: 191-199. 

  5. Jordan, A., Zavala, L. M. and J. Gil, 2010. Effects of mulching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runoff under semi-arid conditions in southern Spain. CATENA, 81: 77-85.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http://www.kma.go.kr/ (in Korean). 

  7. Lafond, G. P., F. Walley, W. E. May, and C. B. Holzapfel, 2011. Long term impact of no-till on soi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on the Canadian prairies. Soil & Tillage Research. 117: 110-123. 

  8. Masse, L., N. K. Patni, P. Y. Jui, and B. S. Clegg, 1996. Tile effluent quality and chemical losses under conventional and no tillage: II. Atrazine and metolachlor. Trans. ASAE 39: 1673-1679. 

  9.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Official test methods for water pollution (in Korean).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Method of Runoff Investigation. (in Korean). 

  11. Sartor, J. D., and S. G. Buchberger, 1997. Partitioning and first flush of metals in urban roadway storm water,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123(2): 134-143. 

  12. Shin, M. H., C. H. Won, W. J. Park, Y. H. Choi, J. Y.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1a. Surface Cover Application for Reduction of Runoff and Sediment Discharge from Sloping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 129-136. (in Korean). 

  13. Shin, M. H., C. H. Won, W. J. Park, Y. H. Choi, J. Y. Jang, K. J. Lim, and J. D. Choi, 2011b. Analysis of the Reduction Effect on NPS Pollution Loads by Surface Cover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4): 29-37. (in Korean). 

  14. Shin, M. H., J. Y. Seo, Y. H. Choi, J. G. Kim, D. S. Shin, Y. J. Lee, M. S. Jung, K. J. Lim, and J. D. Choi, 2009. Evaluation of LOADEST Model Applicability for NPS Pollutant loads Estimation from Agricultural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2): 212-220. (in Korean). 

  15. Statics Korea, 2011. http://kostat.go.kr/ (in Korean). 

  16. Thaxton, C. S., J. Calantoni, and R. A. McLaughlin, 2004. Hydrodynamic assessment of various types of baffles in a sediment detention pond. Transactions of the ASAE. 47(3): 741-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