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강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Strength Scale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9 no.1, 2013년, pp.45 - 53  

정영은 (옵티미스트 클럽) ,  이지은 (옵티미스트 클럽) ,  한유 (옵티미스트 클럽) ,  최정우 (옵티미스트 클럽) ,  백경희 (옵티미스트 클럽) ,  박주언 (계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민정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채정호 (옵티미스트 클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인에게 맞는 강점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성인 355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HEXACO 성격 검사, 삶의 만족도 척도, 긍정적 부정적 정서 척도, 행복추구경향 척도를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25개의 하위 영역은 4개의 상위 요인 구조를 보였다. 한국인 강점 척도는 높은 내적일치 신뢰도를 보였고, 각각의 하위영역와 개념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높은 상관을 나타내리라고 기대하였던 관련 측정치들과 예상대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인 강점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 도구로 평가되었으며, 개인의 대표강점의 발견과 활용에 관한 임상적 실제, 연구 및 교육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Strength Scale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e Korean Strength Scale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measures 25 valued strengths and is comprised of 124 items ; each item had a 0-5 rating on a 6-point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강점은 개인의 자기 실현과 동시에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와 덕목을 반영해야 한다는 중요한 전제하에, 국내외 관련 문헌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서 나온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강점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자가 보다 쉽게 강점의 개념과 자신의 대표 강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고 강점의 측정, 진단, 개입에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척도의 구조와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일반인 남녀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강점과 미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이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강점 활용을 이용한 행복 증진 개입 및 관련 연구 수행을 위한 유용한 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25개의 하위 영역에 해당하는 124문항이 최종 선정되었고, 그에 대하여 4개의 상위 요인구조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인 강점 척도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이와 관련되는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을 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17 긍정적 부정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18 행복추구경향 척도(Orientations to Happiness Questionnaire ; OHQ),19 HEXACO 성격 검사(HEXACO Personality Inventory ; HEXACO-PI)을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의 개념에 충실하되 한국인 고유의 특성을 살린, 보다 사용하기 용이한 강점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먼저, 강점은 개인의 자기 실현과 동시에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와 덕목을 반영해야 한다는 중요한 전제하에, 국내외 관련 문헌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서 나온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강점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의 발전과 사회의 번영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그 중 개인이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Anxiety and Mood Vol 9, No 1 좋은 성격과 성품, 그에 따른 행동 양식, 탁월한 재능 등을 의미하는 긍정적 특질은 긍정적인 심리 상태와 긍정적인 조직을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긍정적 특질을 계발하여 일상의 삶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행복감, 사랑, 희망 등의 긍정적 심리 상태에 이를 수 있고, 조직의 발전과 사회의 번영을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들의 긍정적 특질을 계발하고 발휘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강점에 대한 초기 이전 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강점에 대한 초기 이전 연구들은 다양한 맥락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 긍정심리학자들은 우선 철학과 종교, 문화를 넘어 방대한 역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강점에 대한 합의된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8 그 대표적인 것이 Peterson과 Seligman(2004)에 의한 “성격강점과 덕목에 관한 Values-in- Action(VIA) 분류체계”이다.2 VIA 분류체계는 인류사회의 보편적인 6개의 핵심 덕목 아래 그것을 구현하는 24가지 성격 강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심리학에서 중요시하는 세 가지 주제는 무엇인가? 인간의 삶을 행복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해 긍정심리학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세 가지 주제는 긍정적 심리 상태(positive states), 긍정적 특질(positive traits), 긍정적 제도와 조직(positive institutions)이다. 그 중 개인이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Anxiety and Mood Vol 9, No 1 좋은 성격과 성품, 그에 따른 행동 양식, 탁월한 재능 등을 의미하는 긍정적 특질은 긍정적인 심리 상태와 긍정적인 조직을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eyes CLM, Lopez SJ.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Snyder CR, Lopez SJ, editor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2002. p.45-59. 

  2. Peterson C, Seligman MEP.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2004. 

  3. Peterson C.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06. 

  4. Seligman MEP.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2002. 

  5. Rashid T, Anjum A. Positive psychotherapy for young adults and children. In John, RZ, Benjamin LH, editors.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Guilford Press;2008. p.250-287. 

  6. Seligman ME, Steen TA, Park N, Peterson C.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 Psychol 2005; 60:410-421. 

  7. Seligman ME, Rashid T, Parks AC. Positive psychotherapy. Am Psychol 2006;61:774-788. 

  8. Dahlsgaard K, Peterson C, Seligman MEP. Shared virtue: the convergence of valued human strengths across culture and history. Rev Gen Psychol 2005;9:203-213. 

  9. Park N, Peterson C. Moral competence and character strengths among adolescent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J Adolesc 2006;29:891-909. 

  10. Kim KU, Yoon YK, Kwon SM, Ha SS. Character strength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erceived happiness and life adjustment of cadets under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Korean J Couns Psychother 2010;22:233-248. 

  11. Ha SS, Kwon SM.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character strength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Korean J Clin Psychol 2011;30:263-284. 

  12. Lim YJ. Character strengths and mental well-being. Korean J Clin Psychol 2012;3:713-730. 

  13. Yoon SM, Shin HC. Character strengths: their relationships with happiness among middle-aged women at korean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uns Psychother 2012;24:27-49. 

  14. 권석만, 유성진, 임영진, 김지영. 성격강점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2010. 

  15. Compton, WC, Smith ML, Cornish, KA, Qualls DL. Factor structure of mental health measures. J Pers Soc Psychol 1996;71:406-413. 

  16. Lopez SJ, Snyder CR.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2011. 

  17. Diener E, Emmons RA, Larson RJ,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 Pers Assess 1985;49:71-75. 

  18. Watson D, Clark LA, Tellegen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 Pers Soc Psychol. 1988;54:1063-1070. 

  19. Peterson C, Park N, Seligman MEP.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J Happiness Stud 2005;6:25-41. 

  20. Lee K, Ashton MC. Psychometir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Multivariate Behav Res 2004:39;329-358. 

  21. Yoo TY, Lee K, Ashton MC.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Korean J Soc Pers Psychol 2004;18:61-75. 

  22. Cawley MJ, Martin JE, Johnson JA. A virtues approach to personality. Pers Individ Dif 2000;28:997-1013. 

  23. Goldberg LR.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Am Psychol 1993;48:26-34. 

  24. Goldberg LR. A broad-bandwidth, public 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In Mervielde I, Deary I, Fruyt FD, Ostendorf F, editors.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Tilburg, The Netherlands: Tilburg University Press;1999. p.7-28. 

  25. Peterson C, Ruch W, Beerman U, Park N, Seligman MEP. Strengths of character,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 Posit Psychol 2007;2:1-8. 

  26. Chan DW. The hierarchy of strengths: their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Teach Educ 2009;25:867-8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