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위한 2×k 교차설계법의 통계적 고려
Some Statistical Considerations on 2×k Crossover Designs for Bioequivalence Trial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4, 2013년, pp.675 - 686  

노소영 (중앙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박상규 (중앙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2{\times}2$ 교차설계법을 기초로 제제간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고변동성 제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에서 $2{\times}2$ 교차설계법에 의한 시험은 지나치게 많은 피험자를 필요로 할 수 있어 윤리적이고 경제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times}2$ 교차설계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2{\times}4$ 교차설계법은 미국 및 유럽 등에서는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설계 방법이고, $2{\times}3$ 교차설계법도 $2{\times}2$$2{\times}4$ 교차설계법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으로 관심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2{\times}4$$2{\times}3$ 교차설계법의 통계적 모형과 제시된 통계적 모형에 연계된 분산분석표를 유도한다. 현행 국내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규정에 의하면 $2{\times}4$$2{\times}3$ 교차설계법의 분산분석표는 반드시 제시되어야 하지만 아직 문헌상에 존재하지 않아 관련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times}4$$2{\times}3$ 교차설계법에 기초한 피험자 계산을 $2{\times}2$ 교차설계법과 비교 제시하여 고변동성 제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연구에 적절한 시험 설계 선택에 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recommends the use of a $2{\times}2$ crossover design to assess the bioequivalence of generic drugs. However, a standard $2{\times}2$ crossover design for bioequivalence trials is often considered problematic due to ethical and eco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변동성 제제의 생동성 시험에 활용될 수 있는 고차 교차설계법의 통계적 고려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4 혹은 2×3 교차설계법이 이미 알려져 있긴 하지만 생동성 모형과 연계되어 있는 분산분석표 유도는 아직 문헌에 존재하지 않는다.
  • 생동성 시험의 분산분석표는 제제변동 및 CV의 추정치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동성 모형의 각종 효과를 추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생동성 평가의 기초자료 역할을 한다. 특히 KFDA에서는 의약품 동등성 규정에서 생동성 시험의 분산분석표를 반드시 요구하고 있어 본 연구는 앞으로 활발해질 고변동성 제제의 생동성 시험에 참고문헌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2×4 교차설계법이 2×2 교차설계법을 두 번 반복한 형태라 사용상에 편의가 있지만 한 피험자가 4기간 동안 지나치게 많은 채혈 등에 노출되어 있어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최근 들어 2×3 교차설계법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설 설정

  • KFDA의 의약품 동등성 시험기준 제14조에서 생동성 시험은 원칙적으로 2×2 교차설계법에 의하여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교차시험을 수행할 시에 제15조 제2항 제4호에 따라 충분한 휴약기간을 두도록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충분한 휴약기간을 거쳐 잔류효과(carryover effect)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통계적 모형을 설정한다. 또한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 제17조에서는 제제간 생동성 평가에 90% 신뢰구간을 사용하고, 시험을 설계할 때는 순서 군당 최소 12명 이상으로 해야 하며, 분산분석표를 제시하여야 한다는 등 제제간의 생동성 평가 방법을 명시하고 있다.
  • 는 k번째 순서, j번째 기간, i번째 피험자에게서 관측되는 제제의 변동성을 의미하는 확률변수이다. 여기서 Sik와 ϵijk는 통계적으로 독립임을 가정한다. #은 Sik의 분산으로 피험자에 기인한 변동을 의미하고, #는 ϵijk의 분산으로 제제에 기인한 변동을 의미한다.
  • 대부분 국가의 생동성 시험 자료가 공개되고 있는 경우가 드물어 군당 12명으로 실험된 2×2 교차설계법에서 제제간의 생동성 평가가 고변동성으로 인해 실패되고, 군을 추가했을 때 제제간의 생동성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가상적인 예를 만들었다. 측정된 값은 생체일용률값 중 AUC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4 교차설계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앞서 설명한 2×4 교차설계법의 경우 결과적으로 생동성을 입증하는데 피험자 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피험자 당 4기간 동안의 관측값이 필요하게 되므로 시험기간이 길어지고, 시험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용 및 피험자 관리 측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US FDA의 2001 FDA 가이드라인에서는 대안으로 2×3 교차설계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네릭 의약품이란 무엇인가? 제네릭 의약품이란 기존 시장에 존재하는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된 후, 용량, 복용방법, 안전성, 용도, 품질 등을 똑같이 만들어 낸 복제의약품을 말한다. 제네릭 의약품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오리지널 제제와 약효가 동등하다는 생물학적 동등성(이하 ‘생동성’이라 한다)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2×4 교차설계법의 시험기간이 길고, 시험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앞서 설명한 2×4 교차설계법의 경우 결과적으로 생동성을 입증하는데 피험자 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피험자 당 4기간 동안의 관측값이 필요하게 되므로 시험기간이 길어지고, 시험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용 및 피험자 관리 측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US FDA의 2001 FDA 가이드라인에서는 대안으로 2×3 교차설계법을 제안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ek, I., Seong, S. and Kwon, K. (2009). Bioequivalence approaches for highly variable drugs: Issue and solu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19, 50-60. 

  2. Benet, L. (2006). Why highly variable drugs are safer, Meeting of FDA Committee for Pharmaceutical Science, http://www.fda.gov/ohrms/dockets/ac/06/slides/2006-4241s22.ppt(assessed 3/17/2011). 

  3. Chow, S. C. and Liu, J. (2008). Design and Analysis of Bioavailability and Bioequivalence Studies, Third edition, Chapman & Hall. 

  4. Dangi, Y. S., Soni, M. L. and Namdeo, K. P. (2010). Highly variable drugs: Bioequivalence requirements and regulatory perspectives, Journal of Current Pharmaceutical Research, 3, 24-28. 

  5. Endrenyi, L. and Tothfalusi, L. (2009). Regulatory condi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bioequivalence of highly variable drugs, Journal of Pharmacy & Pharmaceutical Sciences, 12, 138-149. 

  6. Jeong, G. and Park, S. (2011). On Evaluation of Bioequivalence for Highly Variable Drug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4, 1055-1076. 

  7. IMS Health (2011). IMS Health Report. IMS. 

  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2). Regulations of Bioequivalence Trials, Publication No.2012-103. 

  9. Jones, B. and Kenward, M. G. (2003). Design and Analysis of Cross-over Design, Second Edition, Chapman & Hall. 

  10. Park, S. (2007). On sample size determination of Bioequivalence Trials,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 365-373. 

  11. Schuirmann, D. J. (1987). A comparison of two one-sided tests procedures and the power approach for assessing the bioequivalence trials, Journal of Pharmacokinetics and Biopharmaceutics, 15, 657-6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