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족부에 발생한 원발성 골종양
Primary Bone Tumors in Hindfoot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19 no.1, 2013년, pp.1 - 8  

신덕섭 (영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이성준 (영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다른 부위에서의 골종양과 비교하여 발생 빈도가 낮고 진단이 늦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 및 보고는 적은 실정으로 후족부의 원발성 골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그 임상적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11년까지 본원에서 진단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 환자 44명의 45예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에 대한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44명의 환자 중 남자가 26예, 여자가 18예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5.1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3.1개월이었다. 양성 골종양이 44예, 악성 골종양은 1예였으며, 종골에 발생한 골종양이 36예, 거골의 골종양 9예였다. 전체적으로 양성 골종양 중에는 단순골낭종이 20예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골내지방종이 12예, 연골모세포종 4예 순이었고, 악성 골종양은 유잉 육종이 1예였다. 발생부위 별로 종골에서는 단순골낭종이 18예, 골내지방종이 12예 순이었고, 거골에서는 연골모세포종 3예, 단순골낭종 2예, 골내결절종 2예 등의 순이었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은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았다.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는 2예였다. 수술 방법으로는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술, 관혈적 정복과 금속고정술 및 골이식술, 종양 절제술, 슬관절 하 절단술 등을 시행하였다. 결론: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빈도가 드물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양성 종양이었으나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uncommon compared with other locations, and there have been few large-group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ive cases in 44 p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후족부에 해당하는 종골과 거골의 종양에 대한 연구는 각기 따로 증례 발표로 보고되었을 뿐, 후족부의 골종양에 초점이 맞추어진 연구 및 대규모 연구는 적었다. 최근 Young 등이 후족부의 원발성 골종양과 그 진단에 대하여 보고하였으며,8) 이에 저자들은 그 동안 치료한 후족부 골종양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바탕으로 임상적인 증상과 발생한 종양의 종류 및 분포 등 역학적 조사를 통하여 후족부 골 종양의 특성을 알고, 그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부에 발생하는 골종양의 진단이 늦어지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2,6,7) 족부에 발생하는 골종양은 진단이 늦어지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다.8-10) 이는 발생 빈도가 적고, 대다수의 정형외과의사 또한 자주 접하지 않아 임상 경험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진되기도 하며, 골종양 자체의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족부에 발생하는 골종양은 무엇으로 오진되는가? 발생부위 별로 종골에서는 단순골낭종이 18예, 골내지방종이 12예 순이었고, 거골에서는 연골모세포종 3예, 단순골낭종 2예, 골내결절종 2예 등의 순이었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은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았다.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는 2예였다.
족부에 발생하는 골종양의 특징은 무엇인가? 족부에 발생하는 골종양은 다른 부위의 골종양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낮으며, 악성 종양의 발생 빈도는 더욱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그리고 후족부에 해당하는 종골과 거골의 골종양은 족부 종양 중에도 많은 수를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alling AK, Gasser SI. Soft-tissue and bone tumors about the foot and ankle. Clin Sports Med. 1994;13:909-38. 

  2. Murari TM, Callaghan JJ, Berrey BH Jr, Sweet DE. Primary benign and malignant osseous neoplasms of the foot. Foot Ankle. 1989;10:68-80. 

  3. Steinberg MD, Steinberg LB, Calihman N. Tumors of the foot: benign and malignant. J Am Podiatry Assoc. 1979;69:135-8. 

  4. Choi WJ, Shin KH, Lee JW, Han CW. Tumors in the foot and ankle (185 cases). J Korean Foot Ankle Soc. 2007;11:1-7. 

  5. Buchner M, Bernd L, Zahlten-Hinguranage A, Sabo D. Bone and soft-tissue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Chirurg. 2005;76:391-7. 

  6. Ozdemir HM, Yildiz Y, Yilmaz C, Saglik Y.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analysis of 196 cases. J Foot Ankle Surg. 1997;36:403-8. 

  7. Bakotic B, Huvos AG. Tumors of the bones of the feet: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150 cases. J Foot Ankle Surg. 2001;40:277-86. 

  8. Young PS, Bell SW, MacDuff EM, Mahendra A. Primary osseous tumors of the hindfoot: why the delay in diagnosis and should we be concerned? Clin Orthop Relat Res. 2013;471:871-7. 

  9. Shin DS, Park SH, Ahn JC. Tumors of the foot. J Korean Bone & Joint Tumor Soc. 2003;9:69-76. 

  10. Dhillon MS, Singh B, Singh DP, Prabhu V, Nagi ON. Primary bone tumors of the talus. J Am Podiatr Med Assoc. 1994;84:379-84. 

  11. Monroe MT, Manoli A 2nd. Osteoid osteoma of the lateral talar process presenting as a chronic sprained ankle. Foot Ankle Int. 1999;20:461-3. 

  12. Killian JT, Wilkinson L, White S, Brassard M. Treatment of unicameral bone cyst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J Pediatr Orthop. 1998;18:621-4. 

  13. Glaser DL, Dormans JP, Stanton RP, Davidson RS. Surgical management of calcaneal unicameral bone cysts. Clin Orthop Relat Res. 1999;(360):231-7. 

  14. Hollawell SM. Allograft cellular bone matrix as an alternative to autograft in hindfoot and ankle fusion procedures. J Foot Ankle Surg. 2012;51:222-5. 

  15. Delawi D, Kruyt MC, Huipin Y, et al. Comparing autograft, allograft, and tricalcium phosphate ceramic in a goat instrumented posterolateral fusion model. Tissue Eng Part C Methods. 2013. [Epub ahead of print] 

  16. An HS, Lynch K, Toth J. Prospective comparison of autograft vs. allograft for adult posterolateral lumbar spine fusion: differences among freeze-dried, frozen, and mixed grafts. J Spinal Disord. 1995;8:131-5. 

  17. Aumar DK, Dadjo YB, Chagar B. Intraosseous lipoma of the calcaneus: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Foot Ankle Surg. 2013;52:360-3. 

  18. Greenspan A, Raiszadeh K, Riley GM, Matthews D. Intraosseous lipoma of the calcaneus. Foot Ankle Int. 1997;18:53-6. 

  19. Weinfeld GD, Yu GV, Good JJ. Intraosseous lipoma of the calcaneus: a review and report of four cases. J Foot Ankle Surg. 2002;41:398-411. 

  20. Bloem JL, Mulder JD. Chondroblastoma: a clinical and radiological study of 104 cases. Skeletal Radiol. 1985;14:1-9. 

  21. Edel G, Ueda Y, Nakanishi J, et al. Chondroblastoma of bone. A clinical, radiological, light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Virchows Arch A Pathol Anat Histopathol. 1992;421:355-66. 

  22. Lee YK, Han IK, Oh JH, Lee SH, Kim HS. Treatment and prognosis of chondroblastoma. J of Korean Bone & Joint Tumor Soc. 2007;13:81-7. 

  23. Giudici MA, Moser RP Jr, Kransdorf MJ. Cartilaginous bone tumors. Radiol Clin North Am. 1993;31:237-59. 

  24. Han CS, Park PY, Park JS, Park KH. Osteochondroma of the Os calcaneum - A case report -. J of Korean Bone & Joint Tumor Soc. 2008;14:152-6. 

  25. Karasick D, Schweitzer ME, Eschelman DJ. Symptomatic osteochondromas: imaging features. AJR Am J Roentgenol. 1997;168:1507-12. 

  26. Blitz NM, Lopez KT. Giant solitary osteochondroma of the inferior medial calcaneal tubercl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Foot Ankle Surg. 2008;47:206-12. 

  27. Kennedy JG, Frelinghuysen P, Hoang BH. Ewing sarcoma: current concep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Curr Opin Pediatr. 2003;15:53-7. 

  28. Weber KL. Current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Ewing's sarcoma. Expert Rev Anticancer Ther. 2002;2:687-94. 

  29. Weber KL, Sim FH. Ewing's sarcoma: presentation and management. J Orthop Sci. 2001;6:366-71. 

  30. Leeson MC, Smith MJ. Ewing's sarcoma of the foot. Foot Ankle. 1989;10:147-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