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20 no.1, 2014년, pp.7 - 13  

전영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백종훈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승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충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한정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 well as patient survival, the restoration of postoperative function such as ambulation is important in limb salvage operations for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The authors analyzed clinical outcomes of limb salvage operations using tumor prosthese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6,7) 종양 대치물의 경우 악성 골 종양의 광범위 절제 후, 재건하는 술식으로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이고 있다.8) 이에 저자들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따라서 하지 기능 평가는 환자의 경과가 가장 좋을 때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수술과 관련하여 재발, 혈종, 감염, 탈구, 치환물 해리, 골절 등의 합병증 및 수술 시간, 출혈량, 수술과 관련된 수혈량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 2). 수술 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3예에서는 시멘트형으로, 17예에서는 무시멘트형의 고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술 후 6주간 전족부 부하 보행을 허용하였으며, 3개월까지 체중의 이분의 일을 부하하는 목발보행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점차적으로 완전 체중부하 및 독립보행을 허용하였다.
  • 이들 중 3예는 이전에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였는데, 고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재발 및 삽입물 주위 골절 1예, 양극성 반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 후 재발 1예, 과거 병적 골절로 종양 제거술 및 내고정술 시행 후 재발한 1예였다. 수술 적응증으로는 대퇴 근위부 원발성 또는 전이성 악성 골 종양이 대퇴골 전자하부 또는 골간까지 확장되어 있는 경우, 경부 및 골두까지 퍼져 있는 경우, 병적 골절 또는 임박 골절의 경우로 하였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MUTARS®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고, Kotz’s® Modular Tumor Prosthesis(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이 3예에서 사용되었다(Fig.
  • 수술 전 신장세포암의 전이에 의한 병변 1예에서 술전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근위 대퇴골 절제 후, 종양 대치물을 조립하여 절제된 길이에 맞게 치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중 박리하였던 외전근 및 장요근, 단외회전근을 재건하기 위해 부착튜브(attachment tube)를 종양 대치물 길이에 맞게 자르고 대치물에 고정한 후,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재건하였다(Fig.
  • 수술 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3예에서는 시멘트형으로, 17예에서는 무시멘트형의 고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술 후 6주간 전족부 부하 보행을 허용하였으며, 3개월까지 체중의 이분의 일을 부하하는 목발보행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점차적으로 완전 체중부하 및 독립보행을 허용하였다.
  • 수술 전 신장세포암의 전이에 의한 병변 1예에서 술전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근위 대퇴골 절제 후, 종양 대치물을 조립하여 절제된 길이에 맞게 치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중 박리하였던 외전근 및 장요근, 단외회전근을 재건하기 위해 부착튜브(attachment tube)를 종양 대치물 길이에 맞게 자르고 대치물에 고정한 후,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재건하였다(Fig. 2). 수술 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3예에서는 시멘트형으로, 17예에서는 무시멘트형의 고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
  •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MUTARS®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고, Kotz’s® Modular Tumor Prosthesis(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이 3예에서 사용되었다(Fig. 1).
  • 수술 후, 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의 합병증은 없었으며, 1예에서 수술 후 2주째 지주막하출혈로 사망하였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다. 국소 재발 2예 중 1예는 수술 후 2년 8개월에 재발하여 방사선 치료를 하였고, 1예는 1년 3개월에 재발하였으나 치료를 거부하였다.

이론/모형

  •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AS 점수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을 이용하였다.9) 전이성 골 종양 환자의 경우 골 종양의 전신이환 또는 원발 종양의 악화에 따라 환자의 전신 상태 역시 변하므로 수술 후, 같은 시기에 하지 기능을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지 구제술로는 무엇이 있나? 1-3) 과거 전이성 악성 골 종양 환자의 경우 원발암에 의한 전신 쇠약에 의해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어려웠지만 의학의 발달에 따른 치료법의 발달로 인해 사지 구제술 등의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4,5) 사지 구제술로는 종양 제거 후, 골수강내 고정, 금속판 고정의 내고정 장치를 하는 등의 방법들이 있지만 내고정 실패에 따른 합병증이 종종 발생하며, 광범위한 골 침범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쉽지 않다.6,7) 종양 대치물의 경우 악성 골 종양의 광범위 절제 후, 재건하는 술식으로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이고 있다.
대퇴골 근위부의 특징은? 대퇴골 근위부는 원발성 악성 골 종양의 발생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전이성 골 종양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부위다. 특히, 대퇴골 근위부는 해부학적, 생역학적으로 많은 힘이 집중되는 부위며 병적 골절이 쉽게 유발될 수 있는 곳으로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등의 기능회복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온것은?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전자간부 또는 전자하부를 침범하고 병적 골절 또는 병적 골절의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 병소의 제거 및 시멘트 삽입술과 함께 골수강내 고정 또는 금속판 고정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고, 현재까지도 병소가 전자간부에 국한되어 있거나 내측 지지 구조물이 정상적인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내고정술 후 평균 35%정도의 유합률11)과 47%의 국소 재발률,12) 12~23%의 내고정 실패12-15) 등이 보고 되고 있으며, 골수강내 고정의 경우 의원성 전이가 발생할 위험성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ll RS. Treatment of axial skeleton bone metastases. Clin Orthop Relat Res. 2003;(415 Suppl):S198-200. 

  2. Menendez LR, Ahlmann ER, Kermani C, Gotha H. Endoprosthetic reconstruction for neoplasms of the proximal femur. Clin Orthop Relat Res. 2006;450:46-51. 

  3. Sung KS, Chang MJ. Tumor prosthetic replacement for the metastatic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J Korean Bone & Joint Tumor Soc. 2007;13:48-53. 

  4. Simon MA, Aschliman MA, Thomas N, Mankin HJ. Limbsalvage treatment versus amputation for osteosarcoma of the distal end of the femur. J Bone Joint Surg Am. 1986;68:1331-7. 

  5. Eckardt JJ, Eilber FR, Dorey FJ, Mirra JM. The UCLA experience in limb salvage surgery for malignant tumors. Orthopedics. 1985;8:612-21. 

  6. Donati D, Giacomini S, Gozzi E, Mercuri M. Proximal femur reconstruction by an allograft prosthesis composite. Clin Orthop Relat Res. 2002;(394):192-200. 

  7. Damron TA, Sim FH. Surgical treatment for metastatic disease of the pelvis and the proximal end of the femur. Instr Course Lect. 2000;49:461-70. 

  8. Gainor BJ, Buchert P. Fracture healing in metastatic bone disease. Clin Orthop Relat Res. 1983;(178):297-302. 

  9. Enneking WF, Dunham W, Gebhardt MC, Malawar M, Pritchard DJ. A system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reconstructive procedure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tumor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Clin Orthop Relat Res. 1993;(286):241-6. 

  10. Lin PP, Mirza AN, Lewis VO, et al. Patient survival after surgery for osseous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J Bone Joint Surg Am. 2007;89:1794-801. 

  11. Rompe JD, Eysel P, Hopf C, Heine J. Metastatic instability at the proximal end of the femur. Comparison of endoprosthetic replacement and plate osteosynthesis. Arch Orthop Trauma Surg. 1994;113:260-4. 

  12. Wedin R, Bauer HC. Surgical treatment of skeletal metastatic lesions of the proximal femur: endoprosthesis or reconstruction nail? J Bone Joint Surg Br. 2005;87:1653-7. 

  13. Wedin R, Bauer HC, Wersall P. Failures after operation for skeletal metastatic lesions of long bones. Clin Orthop Relat Res. 1999;(358):128-39. 

  14. Yazawa Y, Frassica FJ, Chao EY, Pritchard DJ, Sim FH, Shives TC. Metastatic bone disease. A study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166 pathologic humeral and femoral fractures. Clin Orthop Relat Res. 1990;(251):213-9. 

  15. Steensma M, Healey JH. Trend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pathologic proximal femur fractures among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embers. Clin Orthop Relat Res. 2013;471:2000-6. 

  16. Farid Y, Lin PP, Lewis VO, Yasko AW. Endoprosthetic and allograft-prosthetic composite reconstruction of the proximal femur for bone neoplasms. Clin Orthop Relat Res. 2006;442:223-9. 

  17. McGoveran BM, Davis AM, Gross AE, Bell RS. Evaluation of the allograft-prosthesis composite technique for proximal femoral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a primary bone tumour. Can J Surg. 1999;42:37-45. 

  18. Zehr RJ, Enneking WF, Scarborough MT. Allograft-prosthesis composite versus megaprosthesis in proximal femoral recon-struction. Clin Orthop Relat Res. 1996;(322):207-23. 

  19. Bickels J, Meller I, Henshaw RM, Malawer MM. Reconstruction of hip stability after proximal and total femur resections. Clin Orthop Relat Res. 2000;(375):218-30. 

  20. Holzer G, Windhager R, Kotz R. One-stage revision surgery for infected megaprostheses. J Bone Joint Surg Br. 1997;79:31-5. 

  21. Donati D, Zavatta M, Gozzi E, Giacomini S, Campanacci L, Mercuri M. Modular 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proximal femur after resection of a bone tumour a long-term follow-up. J Bone Joint Surg Br. 2001;83:1156-60. 

  22. Finstein JL, King JJ, Fox EJ, Ogilvie CM, Lackman RD. Bipolar proximal femoral replacement prostheses for musculoskeletal neoplasms. Clin Orthop Relat Res. 2007;459:66-75. 

  23. Potter BK, Chow VE, Adams SC, Letson GD, Temple HT. Endoprosthetic proximal femur replacement: metastatic versus primary tumors. Surg Oncol. 2009;18:343-9. 

  24. Capanna R, Morris HG, Campanacci D, Del Ben M, Campanacci M. Modular uncemented prosthetic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tumours of the distal femur. J Bone Joint Surg Br. 1994;76:178-86. 

  25. Lee SH, Oh JH, Lee KS, Yoo KH, Kim HS. Infection after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limb salvage surgery. Int Orthop. 2002;26:179-84. 

  26. McDonald DJ, Capanna R, Gherlinzoni F, et al. Influence of chemotherapy on perioperative complications in limb salvage surgery for bone tumors. Cancer. 1990;65:1509-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