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욕창분류체계와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Visual Differentiation Ability in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4, 2013년, pp.526 - 535  

이윤진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형외과) ,  김철규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차선경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visual differentiation diagnostic ability for the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PUCS)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AD).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602 nurses took the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6단계의 욕창분류체계와 욕창과 구별이 요구되는 IAD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효율적 간호 수행을 도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4단계의 욕창분류체계와 더불어 심부조직손상의심과 미분류 욕창과 같이 새롭게 추가된 6단계 분류체계와 욕창과는 다른 병태생리적 기원인 실금관련피부염을 감별할 수 있는 간호사의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 정도를 평가하고, 일반적 특성과 관련 지식이 보다 통합적인 감별능력이 요구되는 시각적 감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서, 간호사가 정확하게 욕창을 사정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간호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욕창분류체계와 IAD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와 관련한 이론적 지식 및 사진과 관련 정보를 통한 시각적 감별 수행 능력을 측정하고 시각적 감별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욕창분류체계와 IAD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을 확인하고,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6단계 욕창분류체계와 IAD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욕창분류체계와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을 파악하고 시각적 감별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이란? 욕창은 응전력 또는 지속적으로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및 조직의 손상으로 활동에 제한이 있는 환자들에게 주로 발생한다(Baumgarten et al., 2006).
미국의 급성 치료 병원의 6년간의 욕창유병률은 어느정도 였는가? , 2006). 미국의 급성 치료 병원의 6년간의 욕창유병률은 14 -17%, 발생률은 7-9%로 나타났으며(Whittington & Briones, 2004), 유럽의 욕창유병률은 18.1%였다(Vanderwee, Clark, Dealey, Gunningberg, & Defloor, 2007).
임상간호사의 욕창분류체계와 IAD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을 확인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병원 상처장루실금 간호사회가 주최하는 보수교육에 참여한, 어느 정도 욕창에 관심이 많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욕창분류체계와 실금관련피부염 지식도구의 경우 기존의 지식도구를 수정보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므로 추구 반복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ydin, A. K., & Karadag. (2010). Assessment of nurses' knowledge and practice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ep tissue injury and stage I pressure ulcer.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7(5), 487-494. http://dx.doi.org/10.1097/WON.0b013e3181edec0b 

  2. Baumgarten, M., Margolis, D. J., Localio, A. R., Kagan, S. H., Lowe, R. A., Kinosian, B., et al. (2006). Pressure ulcers among elderly patients early in the hospital stay.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1(7), 749-754. 

  3. Beeckman, D., Schoonhoven, L., Boucque, H., Van Maele, G., & Defloor, T. (2008). Pressure ulcers: E-learning to improve classification by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13), 1697-1707. 

  4. Beeckman, D., Schoonhoven, L., Fletcher, J., Furtado, K., Gunningberg, L., Heyman, H., et al. (2007). EPUAP classification system for pressure ulcers: European reliability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6), 682-69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74.x 

  5. Bennett, G., Dealey, C., & Posnett, J. (2004). The cost of pressure ulcers in the UK. Age and Ageing, 33(3), 230-235. http://dx.doi.org/10.1093/ageing/ afh086 

  6. Defloor, T., & Schoonhoven, L. (2004).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EPUAP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using photograph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8), 952-95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 04.00974.x 

  7. Defloor, T., Schoonhoven, L., Katrien, V., Weststrate, J., & Myny, D. (2006). Reliability of the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2), 189-198. http://dx.doi. org/10.1111/j.1365-2648.2006.03801.x 

  8. Fader, M., Clarke-O'Neill, S., Cook, D., Dean, G., Brooks, R., Cottenden, A., et al. (2003). Management of night-time urinary incontinence in residential settings for older people: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different pad changing regimes on skin healt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3), 374-386. 

  9. Finlay, K., Smith, J., Abrams, S., & Evangelista, M. (2004). The impact of nursing education on pressure ulcer prevention.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1(3S), S3-S4. 

  10. Gray, M. (2010). Optimal management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11(3), 201-210. http://dx.doi.org/10.2165/11311010-000000000-00000 

  11. Honaker, J. S., Forston, M. R., Davis, E. A., Wiesner, M. M., & Morgan, J. A. (2013). Effects of non contact low-frequency ultrasound on healing of suspected deep tissue injury: A retrospective analysis. International Wound Journal, 10(1), 65-72. http://dx.doi.org/10.1111/j.1742-481X. 2012.00944.x 

  12. Hopkins, A., Dealey, C., Bale, S., Defloor, T., & Worboys, F. (2006). Patient stories of living with a pressure ulc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4), 345-35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4007.x 

  13. Jin, Y. S. (2009). Knowledge, performance,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n pressure ulcer care among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Kelly, J., & Isted, M. (2011). Assessing nurses' ability to classify pressure ulcers correctly. Nursing Standard, 26(7), 62, 64, 66 passim. 

  15. Kim, H. Y. (2003). The knowledge of pressure ulcer and the nursing intervention of nurse in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6. Kim, K. S., Kim, J. A., Kim, M. S., Kim, Y. J., Kim, E. S., Park, K. O., et al. (2009).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1), 133-147. 

  17. Korean Association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s. (2011). Clinical guideline for pressure ulcer. Seoul: Fornurse. 

  18. Kwon, E. O., Eom, I. H., Chang, S. J., Shim, M. Y., & Lee, S. H. (2012). Accuracy of nurses' assessments of pressure ulcers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1), 29-38. 

  19. Lee, E. J., & Yang, S. O. (2011). Clinical knowledge and actual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care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51-261. 

  20. Lee, M. O. (2000). Knowledge level of pressure ulcer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4), 619-628. 

  21. Lee, Y. J., Kim, J. Y., & Lee, T. W. (2011).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Korean Wound Management Society, 7(2), 75-80. 

  22. Nixon, J., Thorpe, H., Barrow, H., Phillips, A., Andrea Nelson, E., Mason, S. A., et al. (2005). Reliability of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6), 613-623. http://dx.doi. org/10.11 11/j.1365-2648.2005.03439.x 

  23. Pedley, G. E. (2004). Comparison of pressure ulcer grading scales: A study of clinical ut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2), 129-140. 

  24. Richbourg, L., Smith, J., & Dunzweiler, S. (2011). Suspected deep tissue injury evaluated by North Carolina WOC nurses: A descriptive study.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8(6), 655 -660. http://dx.doi.org/10.1097/WON.0b013e31823429e7 

  25. Russell, L. (2002).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The systems and the pitfall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1(12 Suppl), S49-S50, S52, S54-S47 passim. 

  26. Shea, J. D. (1975). Pressure sore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112), 89-100. 

  27. Suddaby, E. C., Barnett, S., & Facteau, L. (2005). Skin breakdown in acute care pediatrics. Pediatric Nursing, 31(2), 132-138, 148. 

  28. Vanderwee, K., Clark, M., Dealey, C., Gunningberg, L., & Defloor, T. (2007). Pressure ulcer prevalence in Europe: A pilot study.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13(2), 227-235. http://dx.doi.org/10.1111/j.136 5-2753.2006.00684.x 

  29. Whittington, K. T., & Briones, R. (2004). National Prevalence and Incidence Study: 6-year sequential acute care data.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17(9), 490-494. 

  30. Yang, N. Y., & Moon, S. Y. (2009). Perceived importance, educational needs,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cerning pressure ulcer care by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1), 95-104. 

  31. Young, Z. F., Evans, A., & Davis, J. (2003). Nosocomial pressure ulcer prevention: A successful projec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3(7-8), 380-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