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욕창 분류체계교육프로그램이 병원간호사의 욕창 분류체계와 실금관련 피부염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nd Visual Discrimination Ability of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for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342 - 348  

이윤진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education on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visual discrimination ability of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Methods: One group pre- and post-test was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욕창 분류체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교육 전후의 욕창 분류체계와 실금 관련 피부염에 대한 지식에 대한 이해 정도와 시각적 감별 능력을 평가해보고, 그 차이를 확인하여 추후 욕창 분류체계에 대한 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삼고자 시도되었다.
  • 이를 위해 현재 간호사의 계속교육프로그램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형적인 강의 위주의 전달식 교육 프로그램에서 욕창 호발 부위의 해부학적 지식과 사례 중심별 교육내용과 구성요소를 포함한 실무 측면이 강조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욕창 사정의 이론적 지식과 실무에서의 시각적 감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일회성 교육의 사전 사후 결과를 비교하였으므로 장기간의 시간이 지난 후 교육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욕창 분류체계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이 욕창 분류체계와 실금관련 피부염에 대한 지식 정도와 시각적 감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욕창 사정에 관한 이론적 지식이 실제 임상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욕창 사정 실무적 기술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욕창 간호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욕창 사정에 대한 지식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지만(Richbourg, Smith, & Dunzweiler, 2011) 평가를 위해 사용된 도구가 2007년 이후 새롭게 추가된 욕창 분류체계의 지식상태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현재 임상 실무에 반영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 본연구는병원간호사의 욕창 분류체계와 실금관련 피부염의 지식과 시각적 감별능력의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 발생 시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욕창은 응전력이나 마찰력, 또는 지속적으로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및 조직의 손상으로(Baumgarten et al., 2006) 욕창 발생 시 재원기간의 연장, 치료와 검사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의 증가 등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며,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감염과 같은 합병증이 진행되어, 사망의 위험성도 증가시키는 심각한 건강문제이다(Hopkins, Dealey, Bale, Defloor, & Worboys, 2006). 또한 욕창은 국내외적으로 환자 안전에 관한 문제로 인식 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욕창이란 무엇인가? 욕창은 응전력이나 마찰력, 또는 지속적으로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및 조직의 손상으로(Baumgarten et al., 2006) 욕창 발생 시 재원기간의 연장, 치료와 검사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의 증가 등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며,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감염과 같은 합병증이 진행되어, 사망의 위험성도 증가시키는 심각한 건강문제이다(Hopkins, Dealey, Bale, Defloor, & Worboys, 2006).
욕창을 예방하고 사정하며, 근거에 기반한 과학적 중재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욕창 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역량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욕창 관리는 환자를 돌보는 모든 의료인들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나, 간호사는 입원 시 환자의 욕창 발생 위험요인과 피부 상태를 사정하며, 기본간호업무로서 욕창 발생 위험 환자를 정기적,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체위변경이나 예방적 피부간호 등의 일차적 간호업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므로 전반적인 욕창 관리에서 간호사는 매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Hopkins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tun, I., & Zencirci, D. A. (2011). Knowledge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Impact of lecture-based interactive workshops on training of nurses.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25(6), 262-266. http://dx.doi.org/10.1097/01.ASW.0000398664.7 4153.ce 

  2. Aydin, A. K., & Karadag, A. (2010). Assessment of nurses' knowledge and practice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ep tissue injury and stage I pressure ulcer.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7(5), 487-494. 

  3. Baumgarten, M., Margolis, D. J., Localio, A. R., Kagan, S. H., Lowe, R. A., Kinosian, B., et al. (2006). Pressure ulcers among elderly patients early in the hospital sta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 Medical Sciences, 61(7), 749-754. http://dx.doi.org/10.1093/gerona/61.7.749 

  4. Beeckman, D., Schoonhoven, L., Boucque, H., Maele, G. V., & Defloor, T. (2008). Pressure ulcer: E-learning to improve classification by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13), 1697-170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00.x 

  5. Chianca, T. C., Rezende, J. F., Borges, E. L., Nogueira, V. L., & Caliri, M. H. (2010). Pressure ulcer knowledge among nurses in a Brazilian university hospital. Ostomy Wound Management, 56(10), 58-64. 

  6. Defloor, T., & Schoonhoven, L. (2004).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EPUAP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using photograph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8), 952-95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4.00974.x 

  7. Defloor, T., Schoonhoven, L., Katrien, V., Weststrate, J., & Myny, D. (2006). Reliability of the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2), 189-198. http://dx.doi.org/ 10.1111/j.1365-2648.2006.03801.x 

  8. Gray, M., Bohacek, L., Weir, D., & Zdanuk, J. (2007). Moisture vs pressure: making sense out of perineal wounds. Journal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ing, 34, 134-142. 

  9. Gray, M. (2010). Optimal management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11(3), 201-210. http://dx.doi.org/10.2165/11311010-000000000-00000 

  10. Hopkins, A., Dealey, C., Bale, S., Defloor, T., Worboys, F. (2006). Patient stories of living with a pressure ulc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4), 345-35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4007.x 

  11. Kim, M. S., & Chung, S. S. (2013). Empowerment of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pressure ulcer staging by phtographic-centered education. The Proceedings of the Congress Aisa Pacific Enterostomal Therapy Nurses Association, Seoul, Korea 

  12. Kim, S. S. (2003). Evaluating the predictive validity for the new pressure sores risk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3. Lee, E. J., & Yang, S. O. (2011). Clinical knowledge and actual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care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51-261. 

  14. Lee, Y. J., Kim, J. Y., & Lee, T. W. (2011).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Wound Management Society, 7(2), 75-80. 

  15. Lee, Y. J., Park, S. M., Kim, J. Y., Kim, C. G., & Cha, S. K. (2013).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visual differentiation ability in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4), 526-535,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526 

  16. Richbourg, L., Smith, J., & Dunzweiler, S. (2011). Suspected deep tissue injury evaluated by North Carolina WOC nurses: A descriptive study.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8(6), 655-660. http://dx.doi.org/10.1097/WON.0b013e31823429e7 

  17. Sinclair, L., Berwiczonek, H., Thurston, N., Butler, S., Bulloch, G., Ellery, C., et al. (2004). Evaluation of an evidence-based education program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31(1), 4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