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욕창분류와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교육이 간호사의 욕창 지식 및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about New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Pressure Ulcer among Nurs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0 no.1, 2013년, pp.52 - 61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차선경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철규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ducation about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pressure ulcer among nurses. Method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41 nurses in a te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욕창분류체계 및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교육이 이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 환자 간호사정의 중요 부분이며, 환자안전 및 비용 측면과 노인인구와 만성질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욕창간호와 관련하여, 병원간호사들에게 6단계 욕창분류체계 및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여 간호사들의 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욕창분류 및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교육이 간호사들의 욕창분류 및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욕창분류와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교육을 통해 병원간호사들의 욕창분류체계와 실금관련 피부염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는 것을 설문지와 사진을 통해 평가하고, 아울러 간호사들의 단계별 욕창 및 실금관련피부염 구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이란? 욕창(pressure ulcers)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졌을 때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조직에 발생한 괴사를 의미한다(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UAP], 2007). NPUAP에서는 해마다 백만명 이상의 환자들이 욕창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욕창 발생과 관련된 사망도 해마다 60,000건수에 이른다고 추측하고 있다.
자기효능이란? 자기효능은 특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의 능력 정도에 대한 판단(Bandura, 1986)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욕창분류단계와 실금관련피부염의 구분에 대한 간호사들의 자기효능감은 본 연구진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욕창분류체계와 실금관련피부염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한 점수이다.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욕창의 분류방법은? 욕창분류체계는 욕창의 심각성 여부를 결정하는 표준이 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욕창 관리방법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욕창분류는 매우 중요하다.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욕창을 1단계에서 4단계로 구분하는 단계별 분류법 (staging)이었다(Shea, 1975). 그러나 이 방법은 괴사조직으로 덮인 욕창의 단계를 구분할 수 없어 욕창 사정시 욕창의 단계를 모두 포함할 수 없는 단점이 지적되어, 미국 NPUAP와 유럽 욕창자문위원단(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EPUAP])의 공동연구로 미분류욕창과 심부조직손상 의심 단계를 포함하여 개발된 6단계 욕창분류법을 국제적으로 통용하고 있다(EPUAP, 2010; NPUAP,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E. K. (2000). A model for clinical nurses' self-efficacy and work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 Altun, I., & Zencirci, D. A. (2011). Knowledge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Impact of lecture-based interactive workshops on training of nurses.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24 (6), 262-266. http://dx.doi.org/10.1097/01.ASW.0000398664.74153.ce 

  3. Ayello, E. A., Baranoski, S., & Salati, D. S. (2005). A survey of nurses' wound care knowledge.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18(5), 268-275. 

  4. Baik, M. R. (2012). A study on knowledge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6. Beeckman, D., Schoonhoven, L., Boucque, H., Maele, G. V., & Defloor, T. (2008). Pressure ulcer: E-learning to improve classification by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1697-170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00.x 

  7. Bergquist-Beringer, S., Davidson, J., Agosto, C., Linde, N. K., Abel, M., Spurling, K., et al. (2009). Evaluation of the national database of nursing quality indicators (NDNQI) training program on pressure ulcer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0 (6), 252-258. http://dx.doi.org/10.3928/00220124-20090522-05 

  8. Defloor, T., Schoonhoven, L., Katrien, V., Weststrate, J., & Myny, D. (2006). Reliability of the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2), 189-19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801.x 

  9.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10). EPUAP-NPUAP guidelines. Retrieved February 28, 2013, from http://www.epuap.org/guidelines/ 

  10. Fader, M., Clarke-O'Neill, S., Cook, D., Dean, G., Brooks, R., Cottenden, A., et al. (2003). Management of night-time urinary incontinence in residential settings for older people: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different pad changing regimes on skin healt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 (3), 374-86.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3.00731.x 

  11. Finlay, K., Smith, J., Abrams, S., & Evangelista, M. (2004). The impact of nursing education on pressure ulcer prevention.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1 (3S), S3-S4. http://dx.doi.org/10.1097/00152192-200405001-00007 

  12. Gray, M. (2010). Optimal management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11(3), 201-210. http://dx.doi.org/10.2165/11311010-000000000-00000 

  13. Im, M. J., & Park, H. S. (2006). A study on the pressure ulcers in neurologica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2), 190-199. 

  14. Kelly, J., & Isted, M. (2011) Assessing nurses' ability to classify pressure ulcers correctly. Nursing Standard, 26(7), 62-71. 

  15. Lee, E. J., & Yang, S. O. (2011). Clinical knowledge and actual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care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2), 251-261. 

  16. Lee, J. K. (2003).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2), 267-277. 

  17. Lee, M. O. (2000). Knowledge level of pressure ulcer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4), 619-628. 

  18. Lee, Y. J., Kim, J. Y., & Lee, T. W. (2011).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Wound Management Society, 7(2), 75-80. 

  19.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07). NPUAP pressure ulcer stages/categories. Retrieved November 25, 2012, from http://www.npuap.org/resources/educational-and-clinicalresources/npuap-pressure-ulcer-stagescategories/ 

  20. Nixon, J., Thorpe, H., Barrow, H., Phillips, A., Nelson, E. A., Mason, S. A., et al. (2005). Reliability of pressure ulcer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 (6), 613-62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439.x 

  21. Park, K. H. (2010). Wound management. Seoul: Koonja. 

  22. Park, Y. O., Cho, E., Lee, N., & Seo, Y. S. (2010). Factors influencing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 (1), 10-20. 

  23. Shea, J. D. (1975). Pressure sore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112, 89-100. http://dx.doi.org/10.1097/00003086-197510000-00012 

  24. Song Y. (2009). A correlation study on self-efficacy, disposition to critical thinking and nursing competency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56-63. 

  25. Song, H. J., Kim, S. M., & Kim, N. C. (2003). A study of voiding patterns and pressure ulcer for the residents of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Continence Society, 7(2), 91-97. 

  26. Suddaby, E. C., Barnett, S., & Facteau, L. (2005). Skin breakdown on acute care pediatrics. Pediatric Nursing, 31(2), 132-138. 

  27.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2).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Seoul: Doosandonga. 

  28. Yang, N. Y., & Moon, S. Y. (2009). Perceived importance, educational needs,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cerning pressure ulcer care by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1), 95-104. 

  29. Young, Z. F., Evans, A., & Davis, J. (2003). Nosocomial pressure ulcer prevention: a successful projec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3(7/8), 380-383.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307000-00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